{{{#!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196ab2><colcolor=#fff> 주요 정보 |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선수단 · 대한민국 중계 현황 · 메달 순위 | |
개별 종목 | |||
컬링 | |||
마스코트 빈빈, 니니 · 개·폐회식장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체육 센터 · 개회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미정 | |||
{{{#!wiki style="margin: -5px -5px" | 氷雪同夢, 亞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컬링 | |||
날짜 | 2025년 2월 4일 ~ 2월 14일 | ||
경기장 | 하얼빈 핑팡구 빙상 스포츠 센터 컬링장 | ||
종목 | 믹스더블, 남자, 여자 | ||
챔피언 | 믹스더블 | ||
남자 | |||
여자 | |||
← 2017 | 2029 → |
1. 소개
2025년 2월 4일부터 2월 14일까지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개최되는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아시안 게임 처음으로 믹스더블 종목이 추가됐다.
2. 경기 일정
종목 | 날짜 |
믹스더블 | 2월 4~8일 |
남자·여자 | 2월 9~14일 |
3. 참가 선수 명단
3.1. 남자
대한민국[1] | 사우디아라비아 | 일본 | 중국 |
[스킵] 이재범 [서드] 김효준 [세컨드] 표정민 [리드] 김은빈 [얼터] 김진훈 | [스킵] 술레이만 알라켈 [서드] 후세인 하가위 [세컨드] 모하메드 알다란 [리드] 무니르 알베엘비시 [얼터] 압둘라 알자라니 | [스킵] 아오키 료[2] [서드] 와타나베 하루키 [세컨드] 헨미 아유무 [리드] 미야 오스케 [얼터] 쿄토 린 | [스킵] 쉬샤오밍[3] [서드] 페이슈칭 [세컨드] 왕지위 [리드] 리지차오 [얼터] 예젠쥔 |
중화 타이베이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키르기스스탄 |
[스킵] 류보가이 [서드] 린팅리 [세컨드] 창처룬 [리드] 린천한 [얼터] 허우이러 | [스킵] 아빌라이한 주즈바이 [서드] 아이도스 알리야르 [세컨드] 아딜 주마고자 [리드] 예르메크 무사이노브 [얼터] 아르만 이랴노브 | [스킵] 무바라크 알마리 [서드] 아흐메드 알파하드 [세컨드] 압둘라만 알랴페이 [리드] 모하메드 알나이미 [얼터] 나이프 알루마이히 | [스킵] 아이베크 아나날리예프 [서드] 이스하크 아비키예프 [세컨드] 베크술탄 미르자바예프 [리드] 무하메드 다시푸 |
태국 | 필리핀[4] | 홍콩 | |
[스킵] 퐁삭 마하타나사쿨 [서드] 누스 부냐포른 [세컨드] 테파릿 리윈 [리드] 아옹가트 마네넷 [얼터] 프라웨스 카에윈 | [스킵] 마르크 피스터[5] [서드] 크리스천 할러 [세컨드] 엔리코 피스터[6] [리드] 알란 프라이 [얼터] 벤조 델라멘트[7] | [스킵] 제이슨 창 [서드] 호 틴 마틴 얀 [세컨드] 칭남 청 [리드] 척 헤이 충 [얼터] 츠 랍 마 |
3.2. 여자
대한민국[8] | 일본 | 중국 | 중화 타이베이 | 카자흐스탄 |
[스킵] 김은지 [서드] 김민지 [세컨드] 김수지 [리드] 설예은 [얼터] 설예은 | [스킵] 미우라 유이나 [서드] 마츠나가 아이 [세컨드] 사쿠마 유나 [리드] 이케다 하나 [얼터] 야스이 스즈네 | [스킵] 왕루이 [서드] 한위 [세컨드] 둥즈치 [리드] 장자이 [얼터] 수팅위 | [스킵] 양코 [서드] 리이춘 [세컨드] 류이링 [리드] 창차츠 | [스킵] 틸시마이 알리야로바 [서드] 예카테리나 콜리할로바 [세컨드] 안젤리나 에바우예르 [리드] 메레이 타스테미르 [얼터] 야나 에바우예르 |
카타르 | 태국 | 필리핀 | 홍콩 | |
[스킵] 사라 알카에트 [서드] 암나 알카에트 [세컨드] 하세나 알파하드 [리드] 알다나 알파하드 [얼터] 파티마 알파하드 | [스킵] 카냐 나차나롱 [서드] 수파칸 카에모라콧 [세컨드] 나티다 쿰페라킷 [리드] 완비사 푸냐네라밋디 [얼터] 피차야티다 자오삽 | [스킵] 캐틀린 두버스틴 [서드] 레일라니 두버스틴 [세컨드] 제니퍼 데라푼트 [리드] 셰일라 마리아노 [얼터] 앤 마리 보나시 | [스킵] 링웨 훙 [서드] 윙 인 에이다 상 [세컨드] 폔폔 후 [리드] 웬 팅 웡 [얼터] 카 찬 |
3.3. 믹스더블
대한민국 | 몽골 | 일본 | 중국 |
[여자] 김경애 [남자] 성지훈 | [여자] 엔흐자야 간밧 [남자] 바야르 불간후 | [여자] 코아나 토리 [남자] 아오키 고[9] | [여자] 한위 [남자] 왕지위 |
중화 타이베이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쿠웨이트 |
[여자] 처우이수완 [남자] 류보가이 | [여자] 아미나 세이차노바 [남자] 아지즈벡 나디르바예브 | [여자] 마바르카 알압둘라 [남자] 나세르 알랴페이 | [여자] 파테마 압둘라테프 [남자] 사우드 알칸다리 |
키르기스스탄 | 태국 | 필리핀 | 홍콩 |
[여자] 케레멧 아산바에바 [남자] 이스하크 아비케프 | [여자] 차나팁 손캄 [남자] 테칸윈 제아라티라윗 | [여자] 캐틀린 두버스틴 [남자] 마르크 피스터 | [여자] 링웨 훙 [남자] 호 틴 마틴 얀 |
4. 여담
- 아시아 컬링이 한중일 3파전 양상인 가운데, 일본만 기존 국가대표팀이 아닌 대학 선수들이 대표로 출전한다.[10] 이번 아시안 게임과 비슷한 시기에 2025년 일본선수권을 개최하면서 2024년 6월 열린 동계 아시안 게임 대표팀 선발전 때 아시안 게임 대표팀으로 선발될 경우 2025년 일본선수권에 출전할 수 없음을 명문화하면서 당시 대학 선수들만 대표팀 선발전에 참가했다.
- 2012 런던 올림픽 태권도 종목 -49kg 동메달리스트인 차나팁 손캄이 태국 믹스더블 대표로 출전한다.
[1] 의성군청 컬링팀[2] 믹스더블에 출전하는 아오키 고의 동생.[3] 김지선의 남편. 평창 올림픽 전후로 선수에서 은퇴해서 지도자로서 2023년 세계주니어선수권 당시 중국 대표팀의 코치로서 팀의 우승에 일조하기도 했으나 2024년 선수로 복귀했다.[4] 얼터 벤조 델라멘트를 제외한 4명은 원래 필리핀계 스위스인으로, 4명 모두 모계가 필리핀계여서 2023년부로 필리핀 국적으로 활동한다.[5] 엔리코 피스터의 형.[6] 마르크 피스터의 동생.[7] 필리핀 컬링 동계스포츠 협회장이다.[8] 경기도청 컬링팀[9] 남자팀 스킵 아오키 료의 형.[10] 남자 대표팀은 관동지역 연합팀, 여자 대표팀은 삿포로국제대학 컬링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