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196ab2><colcolor=#fff> 주요 정보 |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 대한민국 중계 현황 · 메달 순위 · 비판 및 문제점 | |
개별 종목 | |||
| |||
마스코트 빈빈, 니니 · 개·폐회식장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 센터 · 개회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장훙 | |||
{{{#!wiki style="margin: -5px -5px" | | 冰雪同梦, 亚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
1. 개요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 대한 대한민국 내 중계 방송을 다룬다.대한민국 내 중계권은 SPOTV의 모기업 에이클라미디어그룹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당시엔 에이클라가 KBS, MBC, SBS와 TV CHOSUN에게 중계권 재판매를 했던 바 있다.
2025년 1월 24일, KBS 김진웅 아나운서가 인스타를 통해 모태범과 중계 리허설을 하고 있다고 올려 KBS에서 중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같은 날 MBC 스포츠국 유튜브 채널인 'MBC스포츠탐험대'에 김아랑이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합류했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1월 26일, 김명정 캐스터가 프리미어 리그 (울버햄튼:아스날) 중계 시작 전 SPOTV에서도 이번 아시안 게임을 중계한다고 언급했다.
1월 31일, 편성표를 통해 KBS, MBC, SPOTV의 중계가 확정되었으며, SBS는 회사 사정으로 인해서인지 중계하지 않았다.[1] SPOTV NOW와 네이버 스포츠, 치지직이 뉴미디어 중계를 담당한다.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시차를 고려하면 대부분의 경기는 10~18시에 진행된다. 평일의 경우 낮 뉴스 토크 프로그램들은 결방 내지 단축 방송이 불가피하고, 생활 정보 프로그램 등은 결방이 거의 확실시된다. 다만 동계 아시안 게임의 인기나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황금 시간대엔 정규 방송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경기는 녹화 중계할 수도 있다.
SPOTV 중계의 경우 2020년 이후 송출이 중단된 아름방송 권역인 경기도 성남시 지역 시청자들은 IPTV나 스카이라이프로 바꾸거나, 혹은 온라인 중계를 이용해야 시청이 가능하다.
대회 기간 동안 12시, 2시 뉴스 및 시사대담 프로그램은 평소 대비 시간이 줄어들거나 결방할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시간은 대부분 프로그램 재방송이 편성되는 시간대라서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편성 변동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개회식의 경우 SPOTV가 21:00~23:00에 생중계하며 KBS는 8일 00:50에 녹화 중계하고, MBC는 중계하지 않았다.
폐회식의 경우 SPOTV가 단독 생중계한다.
뉴미디어 중계에서 SPOTV NOW와 치지직은 SPOTV 계열 채널의 중계를 그대로 송출하며, KBS+는 KBS의 중계, MBC 어플은 MBC의 중계를 재송출한다.
- 방송사별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슬로건
- KBS: 다시 열정으로 채울 나야, 하얼빈
- MBC: 함께 하얼빈 함께 MBC
- SPOTV: 동계 아시안게임은, 지금 바로 SPOTV
2. 대회 전 전망
- KBS
캐스터는 자사 아나운서로만 구성되며 중계 베테랑인 이재후 아나운서와 최승돈 아나운서, KBS를 퇴사한 이광용 아나운서가 합류하지 않는다.[6] 대신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를 통해 유명세를 얻은 엄지인, 홍주연을 비롯해 김진웅, 남현종 등이 캐스터로 이번에도 함께 한다. 특히 홍주연은 처음으로 개회식을 혼자서 중계한다.[7] 베테랑 캐스터진을 배제한 것은 젊은 캐스터진의 경험을 쌓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해설 위원으로는 기존 진선유, 이재호, 박재민, 송동환, 배지영은 그대로 잔류한 채 스피드 스케이팅 해설로는 이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KBS 해설로 활약한 이상화, 이강석의 후임으로 이상화의 절친인 모태범이 합류하였으며, 곽민정이 해설을 그만 둔 피겨 스케이팅 해설 자리에는 김예림이 합류하였다. 이창수가 해설한 프리스타일 스키는 시청자들의 평가가 매우 좋은 박재민이 스노보드와 함께 해설한다. 한편, 쇼트트랙 해설위원이었던 이정수는 이번 대회에서 선수로 활약한다. 다만 이전 올림픽에서 컬링노트 중계로 유명세를 떨친 이재호가 기존 파트너였던 최승돈이 아닌 새 파트너인 김종현과 어떤 호흡을 맞출지 관심사. 결국 신인 캐스터들의 중계 능력에 시청률이 달려 있다.
- MBC
동계 올림픽과 달리 동계 아시안게임에서는 유명한 종목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컬링, 피겨 스케이팅만 중계하는 방향으로 잡혀 있다. 아무래도 동계 아시안게임 관심도가 올림픽에 비하면 떨어지는 편이며, 1TV와 2TV가 있는 KBS는 종목 중계를 넓게 할 수 있지만 MBC는 주요 종목만 해설할 수 밖에 없다. 자사 출신의 프리랜서 김성주가 합류해 쇼트트랙 캐스터로 활약할 예정이며 스피드 스케이팅 캐스터로는 김나진, 컬링 캐스터로는 정영한, 그리고 피겨 캐스터로는 이재은이 함께 할 예정이다. 해설위원 역시 피겨 스케이팅의 해설 김해진을 제외하고 모두 교체를 단행했다. 쇼트트랙 해설위원에는 김아랑이 합류했으며, 스피드 스케이팅 해설로는 김보름이 합류했다. 그리고 컬링 해설위원으로는 김은정이 합류. 김성주, 김나진과 해설위원이 모두 김씨라는 공통점을 더해 2025 NEW 팀 킴이라는 컨셉을 들고 나왔다. # 새로 합류한 세 명의 해설위원이 얼마나 좋은 해설을 해주느냐에 따라 시청률 경쟁이 결정될 전망이다.
- SPOTV
스포츠 전문 채널이고 SPOTV 1,2를 비롯 프라임, NOW 등 여러 채널이 있어 다양한 종목 중계가 가능한 점은 장점으로 작용된다. 또한 캐스터 역시 스포츠 중계 전문 아나운서라는 점도 장점이다. 특히 피겨 스케이팅 캐스터를 맡을 김민아는 2022년 ISU 국제심판 자격증을 취득하였기 때문에 전문성이 더욱 높을 전망이다. 해설진의 경우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오랜 경력을 자랑한 안상미가 해설로 합류했으며, 컬링 해설위원으로는 이전 MBC 컬링 해설위원인 신미성과 더불어 피겨 스케이팅 해설 임은수, 스노보드 이민식, 이준식 형제 해설위원과 더불어 아이스하키에는 전직 국가대표 오솔길, 이민지와 스피드 스케이팅 전직 국가대표 김유림 등이 합류하였다.
3. 중계진
3.1. 중계진 현황
2020 도쿄 올림픽부터 시작된 프리랜서 아나운서의 캐스터진 기용이 이번 대회에서도 계속된다. 그 동안 자사나 자회사 소속 아나운서들로만 캐스터진을 구성하던 KBS는 역시 그대로며, MBC는 자사 출신의 김성주가 이번 아시안 게임 캐스터진에도 이름을 올리면서 여전한 건재함을 보였다.또한, 그간 경험치를 쌓아 온 자사 저연차 캐스터들이 스포츠 중계를 맡으며 본격적으로 중계에 투입되었는데 KBS의 경우 남현종, 이윤정, 박철규, 홍주연, MBC의 경우 정영한이 투입되었다.
3.2. 캐스터
아래의 명단은 해당 인물의 SNS, 방송사의 예고 영상, 보도자료 등을 통해 확인된 인물이다.담당 종목에 메인 MC 또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사람은 서울/하얼빈 현지 스튜디오에서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메인 또는 하이라이트 프로그램 앵커를 맡는다.
별도 표시가 있는 캐스터는 케이블 소속 또는 프리랜서. (KN[KN]: KBS N SPORTS, MS[MS]: MBC SPORTS+, FL[FL]: 프리랜서), T[T] 표시는 하얼빈 현지 중계.
| |||||||
이름 | 담당 종목 | 진행 프로그램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종현 | 컬링 | KBS 스포츠 9(1TV, 주말) | ||||
김진웅 | 스피드 스케이팅 | 생방송 굿모닝 대한민국(2TV, 토),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2TV, 일)[A] | |||||
남현종 | 쇼트트랙, 피겨 스케이팅 | KBS 월드 24(2TV, 월~목) | |||||
박철규 | 아이스하키 | KBS 뉴스광장(1TV, 평일)[13], TV비평 시청자데스크(1TV, 일)[14] | |||||
엄지인 | 스노보드 | 생로병사의 비밀(1TV, 수), 아침마당(1TV, 월~목)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2TV, 일) | |||||
이영호 | 프리스타일 스키 | 건강 365(3라디오), 오늘 밤 1라디오(1라디오, 월/수) | |||||
이윤정 | 스노보드 | KBS 스포츠 9(1TV, 평일) | [15] | ||||
정지원 | 프리스타일 스키 | KBS 아침 뉴스타임(2TV, 평일) | |||||
한상헌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스포츠 스포츠(1라디오, 평일) | |||||
홍주연 | 개회식 | 스테이션 제로(쿨FM, 평일),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2TV, 일)[A] |
| |||||||
<rowcolor=white> 이름 | 담당 종목 | 진행 프로그램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나진 | 스피드 스케이팅 | 차카차카(표준FM), MBC 선데이 베이스볼(야구시즌) | ||||
김성주 | 쇼트트랙 | 복면가왕(일) | [FL] | ||||
이재은 | 피겨 스케이팅 | - | |||||
정영한 | 컬링 | 정영한의 플레이볼(표준FM) |
| |||||||
<rowcolor=white> 이름 | 담당 종목 | 진행 프로그램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명정 | 개회식, 메인 MC | - | ||||
김민수 | 폐회식, 스노보드 | - | |||||
김민아 | 피겨 스케이팅 | - | |||||
김영찬 | 스노보드 | - | |||||
김윤희 | 하이라이트 MC | - | |||||
김태우 | 개회식, 하이라이트 | - | |||||
김형책 | 컬링 | - | |||||
노윤주 | 개회식 | - | |||||
백승협 | 아이스하키 | - | |||||
양동석 | 스피드 스케이팅 | - | |||||
이승현 | 쇼트트랙 | - | |||||
이연직 | 프리스타일 스키 | - | |||||
장영태 | 스피드 스케이팅 | - | |||||
조주영 | 아이스하키 | - | |||||
최두영 | 컬링 | - |
3.3. 해설위원
| |||||||
종목 | 이름 |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쇼트트랙 | 진선유 | 2007 창춘 1000m 금메달, 1500m, 3000m 계주 은메달 | ||||
스피드 스케이팅 | 모태범 | 2011 아스타나·알마티 1500m, 팀추월 은메달 | |||||
피겨 스케이팅 | 김예림 | - | |||||
컬링 | 이재호 | 2007 창춘 금메달 | |||||
스노보드, 프리스타일 스키 | 박재민 | - | |||||
아이스하키 | 송동환 | 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메달 |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배지영 | - |
| |||||||
<rowcolor=white> 종목 | 이름 |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쇼트트랙 | 김아랑 | - | ||||
스피드 스케이팅 | 김보름 | 2011 아스타나·알마티 3000m 은메달 2017 삿포로 5000m 금메달, 3000m, 팀추월 은메달, 매스스타트 동메달 | |||||
피겨 스케이팅 | 김해진 | - | |||||
컬링 | 김은정 | 2017 삿포로 은메달 |
| |||||||
<rowcolor=white> 종목 | 이름 |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 비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쇼트트랙 | 안상미 | 1996 하얼빈 3000m 계주 은메달 1999 강원 3000m 계주 금메달 | ||||
스피드 스케이팅 | 김유림 | 2007 창춘 1000m 동메달 | |||||
피겨 스케이팅 | 임은수 | - | |||||
컬링 | 신미성 | 2003 아오모리 은메달 | |||||
문성관 | - | ||||||
스노보드 | 이민식 | - | |||||
이준식 | - | ||||||
프리스타일 스키 | 신희선 | - | |||||
아이스하키 | 오솔길 | - | |||||
이민지 | - | ||||||
폐회식 | 이성필 | - |
4. 중계 현황
- KBS 1TV
- 2월 7일
- [쇼트트랙] 남녀 1500m 준준결승, 500m 예선(10:00~12:00)
- [쇼트트랙] 남녀 1000m 예선,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준결승(13:00~14:00)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일본(14:10~16:00)
- 2월 8일
- [개회식](00:50~01:50)[녹화]
- [컬링] 혼성 더블 결승(09:40~12:00)
- [프리스타일 스키] 남녀 하프파이프 결승,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m, 1500m, [스노보드] 남녀 슬로프스타일 결승(12:10~17:00)
- 2월 9일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0m, 여자 팀 스프린트, [크로스컨트리 스키] 여자 5km 프리(14:20~16:00)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일본(17:40~20:30)
- 2월 10일
- KBS 스포츠 중계석-[프리스타일 스키] 남녀 에어리얼 결승(00:15~02:00)[녹화]
- [스노보드] 남녀 빅에어 결승(13:00~14:00)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카자흐스탄, [크로스컨트리 스키] 남자 10km 프리(14:10~16:00)
- 2월 11일
- [프리스타일 스키] 남녀 슬로프스타일 결승(13:00~14:00)
- [프리스타일 스키] 남자 에어리얼 싱크로 결승(14:30~15:30)
- KBS 2TV
- 2월 7일
- [컬링] 혼성 더블 준결승(13:45~16:05)
- 2월 8일
-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결승, 남녀 1500m 준결승~결승, 남녀 500m 준준결승~결승(10:50~14:40)
- 2월 9일
- [쇼트트랙] 남녀 1000m 준준결승~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결승,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10:40~15:20)
- 2월 10일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여자 3000m, 남자 팀 스프린트(12:40~15:45)
- 2월 11일
-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0m, 남녀 탐 추월(12:40~16:00)
-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쇼트(19:40~20:30)
- 2월 12일
-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쇼트(13:50~16:00)
- 2월 13일
- [스노보드] 남녀 하프파이프 결승[20], [아이스하키] 여자 A조 대한민국:일본, 남자 준결승 대한민국:일본,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11:30~18:00)
-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프리(20:30~21:50)
- 2월 14일
- [컬링] 남자 결승 대한민국:필리핀(09:40~12:35)
- [컬링] 여자 결승 대한민국:중국(13:55~16:35)
- MBC
- 2월 7일
- [쇼트트랙] 남녀 1500m 준준결승, 500m 예선, 1000m 예선,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준결승(09:45~13:55)
- 2월 8일
- [컬링] 혼성 더블 결승,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 결승, 남녀 1500m 준결승~결승, 남녀 500m 준준결승~결승,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m(09:30~15:00)
- 2월 9일
- [쇼트트랙] 남녀 1000m 준준결승~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결승,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10:40~15:15)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일본(17:40~20:30)
- 2월 10일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12:25~13:55)
- 2월 12일
- [피겨] 남자 싱글 쇼트,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0m(00:55~03:00)[녹화], [피겨] 여자 싱글 쇼트(17:10~18:50)
- 2월 13일
- [피겨] 여자 싱글 프리(17:10~18:05), 남자 싱글 프리(23:40~00:30)[녹화]
- 2월 14일
- [컬링] 여자 결승 대한민국:중국(13:40~16:25)
- SPOTV
- 2월 4일
- [아이스하키] 여자 B조 대한민국:홍콩(16:23~18:30)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중국(20:50~23:30)
- 2월 5일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대만(16:50~19:00)
- 2월 6일
- [컬링] 혼성 더블 B조 대한민국:중국(10:50~13:00)
- [컬링] 혼성 더블 B조 대한민국:키르기스스탄(18:50~21:00)
- [아이스하키] 여자 B조 대한민국:태국(16:20~19:00)[SPOTV2]
- 2월 7일
- [쇼트트랙] 남녀 1500m 준준결승, 500m 예선, 1000m 예선,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준결승(09:50~13:50)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일본(13:20~16:00)[SPOTV2]
- [컬링] 혼성 더블 준결승(13:50~16:00)
- [개회식](20:50~23:00)
- 2월 8일
- [컬링] 혼성 더블 결승(09:50~12:00)
- [스노보드] 남자 슬로프스타일(10:30~)[NOW]
- [프리스타일 스키] 남녀 하프파이프 결승(10:55~13:00)[Golf&Health]
- [쇼트트랙] 남녀 1500m 결승, 500m 준준결승~결승(12:00~15:00)
-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m, 1500m(12:50~16:20)[SPOTV2]
- [아이스하키] 여자 B조 대한민국:대만(16:20~19:00)[SPOTV2]
- [아이스하키] 남자 A조 대한민국:태국(16:50~19:30)
- 2월 9일
- [쇼트트랙] 남녀 1000m 준준결승~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결승(10:50~14:00)
-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500m, 남자 5000m(12:50~16:20)[SPOTV2]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0m, 여자 팀 스프린트(14:00~17:00)
- [아이스하키] 여자 B조 대한민국:카자흐스탄(16:20~19:00)[SPOTV2]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일본(17:50~20:00)
- 2월 10일
- [스노보드] 남녀 빅에어 결승(11:50~14:30)[Golf&Health]
-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 여자 3000m, 남자 팀 스프린트(12:50~17:00)
- [아이스하키] 남자 예선 대한민국:카자흐스탄(12:50~15:30)[SPOTV2]
- [컬링] 남자 A조 대한민국:대만(14:50~17:00)[Golf&Health]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홍콩(19:50~22:00)
- 2월 11일
- [스피드 스케이팅] 남녀 1000m, 남녀 팀 추월(12:50~17:00)
- [컬링] 남자 A조 대한민국:카자흐스탄(14:50~17:00)[SPOTV2]
-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쇼트(17:50~21:00)[SPOTV2]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중국(19:50~21:00)
- 2월 12일
- [스노보드] 남녀 하프파이프 예선(10:50~15:00)[Golf&Health]
-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쇼트(14:20~17:30)
- [아이스하키] 여자 A조 대한민국:중국(14:50~17:30)[SPOTV2]
- [컬링] 여자 예선 대한민국:필리핀(19:50~22:00)
- 2월 13일
- [아이스하키] 여자 A조 대한민국:일본(10:50~13:30)[SPOTV2]
- [스노보드] 남녀 하프파이프 결승(11:50~14:50)[Golf&Health]
-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13:50~17:30)[SPOTV2]
- [아이스하키] 남자 준결승 대한민국:일본(14:50~17:30)[Golf&Health]
-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프리(18:20~21:30)[SPOTV2]
- [컬링] 여자 준결승 대한민국:카자흐스탄(19:50~22:00)
- 2월 14일
- [컬링] 남자 결승 대한민국:필리핀(09:50~12:00)
- [아이스하키] 여자 A조 대한민국:카자흐스탄(10:50~13:30)[Golf&Health]
- [아이스하키] 남자 동메달 결정전 대한민국:중국(10:50~13:30)[SPOTV2]
- [컬링] 여자 결승 대한민국:중국(13:50~16:00)
- [폐회식](20:50~23:00)
5. 시청률 현황
(시청률은 닐슨코리아 전국 기준 시청률을 적용, 시청률이 나오면 추가하되 1위는 볼드체로 작성. 단위: %, 시간은 한국시간 기준)<rowcolor=#ffffff> 경기명 | 경기 시각 | KBS1 | KBS2 | MBC | SPOTV | 합계 | 출처 |
쇼트트랙 남녀 1500m 준준결승 김길리,심석희,최민정,박지원,장성우,김태성 500m 예선 남녀 1000m 예선 혼성 2000m 준준결승~결승 | 2월 7일 10:00 - 14:00 | 2.6 남현종 | 진선유 | - | 김성주 | 김아랑 | 이승현 | 안상미 | 2.6+ | 출처 |
컬링 믹스더블 결승 김경애, 성지훈 | 2월 8일 10:00 - 12:10 | 4.1 김종현 | 이재호 | - | 정영한 | 김은정 | 최두영 | 신미성 | 4.1+ | 출처 |
쇼트트랙 남녀 1000m 준준결승~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결승 | 2월 9일 10:50 - 14:00 | - | 4.0 남현종 | 진선유 | 4.6 김성주 | 김아랑 | 이승현 | 안상미 | 8.6+ | 출처1 출처2 |
컬링 여자 예선 2차전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 2월 9일 18:00 - 20:30 | 4.8 김종현 | 이재호 | - | 3.9 정영한 | 김은정 | 김형책 | 신미성 | 8.7+ | 출처1 출처2 |
스피드스케이팅 남자 500m 구경민, 김준호, 김태윤, 조상혁 | 2월 10일 12:25 - 13:25 | - | 김진웅 | 모태범 | 1.3 김나진 | 김보름 | 장영태 | 김유림 | 1.3+ | 출처 |
컬링 여자 예선 4차전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 2월 10일 20:00 - 22:00 | - | - | - | 1.1 김형책 | 신미성 | 1.1 | 출처 |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쇼트 프로그램 김현겸, 차준환 | 2월 11일 18:00 - 21:00 | - | 5.2 남현종 | 김예림 | - | 김민아 | 임은수 | 5.2+ | 출처 |
컬링 여자 예선 5차전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 2월 11일 20:00 - 22:00 | - | - | - | 1.2 김형책 | 신미성 | 1.2 | 출처 |
컬링 여자 예선 7차전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 2월 12일 20:00 - 22:00 | - | - | - | 1.2 김형책 | 신미성 | 1.2 | 출처 |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 프로그램 김채연, 김서영 | 2월 13일 14:00 - 18:00 | - | 남현종 | 김예림 | 1.4 이재은, 김해진 | 김민아 | 임은수 | 1.4+ | 출처 |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프리 프로그램 차준환 | 2월 11일 18:30 - 22:00 | - | 4.8 남현종 | 김예림 | - | 김민아 | 임은수 | 4.8+ | 출처 |
컬링 여자 준결승 김은지, 김민지, 김수지, 설예은, 설예지 | 2월 12일 20:00 - 22:00 | - | - | - | 0.9 김형책 | 신미성 | 0.9 | 출처 |
6. 총평
- KBS[45]: 두 개의 채널을 활용하여 SPOTV 다음으로 많은 종목을 중계하며 크로스컨트리 스키는 단독 중계했다. 광고방송을 하는 KBS 2TV에서는 인기 종목을 중계했고, KBS 1TV에서는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의 다양한 종목을 중계하며 공영방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중계 방송 시간도 두 채널을 합쳐서 대략 6시간 이상으로 전 대회보다 중계시간이 늘어났다.
- MBC: 중계는 이번 중계 방송사 중 가장 적은 중계를 했지만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중계에서 모두 KBS를 앞지른 성과를 거두는데 성공하였다. 특히나 새로 합류한 김아랑, 김보름 해설위원이 첫 해설위원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해설을 보여주며 호평을 받는데 성공하였다. 다만 컬링에서 김은정을 해설위원으로 내세웠으나 역시 컬링 중계 강자의 KBS를 이기기는 쉽지 않았다. 또한 일부 경기는 녹화중계로 보여주었다.
- SPOTV: 지상파가 아닌 유일한 케이블 해설인지라 사실상 시청률 경쟁에서는 밀렸으나 가장 많은 종목을 중계하면서 스포츠 전문 채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기 시간대가 오전~오후 시간대라 사실상 TV 중계보다는 네이버 치지직 중계로 많이 시청한 점을 감안해야 한다.
[1] 참고로 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 당시에도 SBS는 지상파 3사 중 유일하게 중계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 당시 SBS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남아공 월드컵 독점 중계 강행으로 비난을 굉장히 많이 받았기에 광저우 하계 아시안 게임과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에 대한 중계를 스스로 포기했었다. 그리고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때는 MBC가 중계를 하지 않았다.[2] 이전의 다른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와는 달리 '여기는 OO' 식의 프로그램명을 사용하지 않는다.[3]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우리말 사용 목적으로 겨울올림픽이라고 부르던 것과 달리 지금은 다시 동계라는 단어를 사용한다.[4] MBC는 정영한의 플레이볼에서 박소영 아나운서, 김아랑, 김은정, 김해진 해설위원을 연결해 라디오에서 경기 분석 등을 전했다.[5] 대회 기간 한정(2/10~13)[6] 이광용 아나운서는 대신 스카이스포츠 K리그1 중계진으로 합류했다.[7] 다만, 2024년 파리 올림픽과 다르게 개막식 현장에는 보내지 않았다.[KN] KBS N SPORTS 소속.[MS] MBC SPORTS+ 소속.[FL] 프리랜서.[T] 현지 중계[A] 엄지인 보스의 을로 출연.[13] 잇슈 컬쳐 코너 진행[14] 시청자의 눈 코너 진행[15] 경기 취소로 인해 자신의 첫 중계를 다 하지 못하고 마이크를 넘겼다.[A] [FL] [녹화] [녹화] [20] 기상 상황 악화로 취소됨[녹화] [녹화] [SPOTV2] [SPOTV2] [NOW] [Golf&Health] [SPOTV2] [SPOTV2] [SPOTV2] [SPOTV2] [Golf&Health] [SPOTV2] [Golf&Health] [SPOTV2] [SPOTV2] [Golf&Health] [SPOTV2] [SPOTV2] [Golf&Health] [SPOTV2] [Golf&Health] [SPOTV2] [Golf&Health] [SPOTV2] [45] 1TV, 2TV 시청률 각각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