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tablebgcolor=#01D2D7> | VCT Pacific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VCT Pacific | |||
2023 | 2024 킥오프 | 스테이지 1 | 스테이지 2 | 2025 킥오프 | 스테이지 1 | 스테이지 2 | 2026 | }}}}}}}}} |
| ||||
2024 VCT Pacific League Stage 2 | → | 2025 VCT Pacific Kickoff | → | 2025 VCT Pacific League Stage 1 |
2025 VCT Pacific Kickoff 우승 팀 | ||||
Gen.G | → | DRX | → | 미정 |
2025 VCT Pacific Kickoff 결승 MVP | ||||
변상범 (GEN Munchkin) | → | 미선정 | → | 미정 (팀명 닉네임) |
| |||||
<colbgcolor=#01D2D7><colcolor=#fff> 2025 VCT Pacific Kickoff | |||||
대회 기간 | 2025. 01. 18. (토) ~ 2025. 02. 09. (일) | ||||
주최 | 라이엇 게임즈 | ||||
주관 | |||||
경기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상암 SOOP 콜로세움 | ||||
패치 버전 | 10.00 | ||||
스폰서 | ZOWIE | Predator | |||
Intel | Pulsar | ||||
인텔 | Pulsar | ||||
중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1D2D7><colcolor=#fff> 중계 플랫폼 | 온라인 | |||
<colbgcolor=#f5f5f5>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
[[미국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중계진 | 캐스터 | ||||
정용검, 채민준, 김수현 | |||||
해설자 | |||||
정인호, 김진영, 유정선, 박동진 | |||||
아나운서 | |||||
동수항, 이정현 |
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1D2D7><colcolor=white> 킥오프 | 상위조 | |||
2025. 01. 18. (토) ~ 2025. 02. 07. (금) | |||||
하위조 | |||||
2025. 01. 26. (일) ~ 2025. 02. 08. (토) | |||||
결승전 | |||||
2025. 02. 09. (일) | |||||
결승전 | 대진 | ||||
DRX vs T1 | |||||
경기장 | |||||
상암 SOOP 콜로세움 |
결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1D2D7><colcolor=white> 우승 | | |||
준우승 | |
[clearfix]
1. 개요
RISE PACIFIC
2025년 1월 18일 토요일에 개막한 2025 VCT Pacific Kickoff에 대한 문서이다.본 대회에서 최종 결승전에 진출한 최상위 2개 팀은 2025 발로란트 마스터스 방콕에 참가하게 된다.
2. 참가 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1d2d7> | 2025 VCT Pacific Kickoff 참가팀 |
| | | |
Gen.G GEN | DRX DRX | Paper Rex PRX | Talon Esports TLN |
| | | |
Team Secret TS | Rex Regum Qeon RRQ | T1 T1 | ZETA DIVISION ZETA |
| | | |
Global Esports GE | DetonatioN FocusMe DFM | Nongshim RedForce NS | BOOM Esports BME |
아메리카스 리그 참가팀 | CN 리그 참가팀 | EMEA 리그 참가팀 | 대한민국 발로란트 프로게임단 |
3.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d2d7> | 2025 VCT Pacific Kickoff 경기 일정 |
킥오프 (1/18 ~ 2/9) | 상위조 | 하위조 |
결승 | ||
결산 |
4. 대회 진행
4.1. 진행 방식 설명
|
- 2024 발로란트 챔피언스 서울에 진출했던 4팀(GEN, DRX, PRX, TLN)은 상위조 2라운드로 직행한다. 그 외 다른 팀은 모두 상위조 1라운드에서 시작하며, 2024 VCT Ascension Pacific에서 올라온 NS와 BME의 경우 이미 맞붙은 적이 있는 만큼 서로 반대편 브라켓에 위치하게 된다. 모든 대진은 무작위로 추첨된다.
4.2. 킥오프 대진표
| ||||||||
<rowcolor=#01d2d7> 1라운드 | 2라운드 | 3라운드 | 4라운드 | 5라운드 | 결승 | |||
상위조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2px -5px" | Grand Finals (2/9) | ||||||
<colbgcolor=#F5F5F5,#282828> ↘ | | 3 |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 (1/18) | |||||||
| 1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6 (1/20) | ||||
| 1 |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3 (1/31) |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9 (2/7)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3 (1/19) | |||||||
| 2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7 (1/25) | ||||
| 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4 (1/19) | |||||||
| 1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8 (1/25) | ||||
| 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4 (1/31)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2 (1/18) | |||||||
| 0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5 (1/20) | ||||
| 2 | |||||||
<colbgcolor=#F5F5F5,#282828> → | | 1 | }}} | |||||
하위조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9 (1/26) | |||||||
<colbgcolor=#F5F5F5,#282828> M1 [ruby(↘,ruby=패자, color=red)] | | 1 | ||||||
M5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5 (2/1) | |||
<colbgcolor=#F5F5F5,#282828> ↘ | | 2 |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7 (2/2) | |||
<colbgcolor=#F5F5F5,#282828> M13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1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20 (2/7)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21 (2/8) | |||
<colbgcolor=#F5F5F5,#282828> M19 [ruby(↘,ruby=패자, color=red)] | | 3 | ||||||
→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1 (1/27) | |||||||
<colbgcolor=#F5F5F5,#282828> M3 [ruby(↘,ruby=패자, color=red)] | | 1 | ||||||
M8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0 (1/26) | |||||||
<colbgcolor=#F5F5F5,#282828> M2 [ruby(↘,ruby=패자, color=red)] | | 0 | ||||||
M6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6 (2/1) | |||
<colbgcolor=#F5F5F5,#282828> ↘ | | 0 | ||||||
↗ | | 2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8 (2/2) | |||
<colbgcolor=#F5F5F5,#282828> M14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 | | 0 | }}} | |||||
{{{#!wiki style="margin: -12px -5px" | Match 12 (1/27) | |||||||
<colbgcolor=#F5F5F5,#282828> M4 [ruby(↘,ruby=패자, color=red)] | | 2 | ||||||
M7 [ruby(↘,ruby=패자, color=red)] | | 0 | }}} |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우승 |
| |||||||||||
<colbgcolor=#01D2D7> 경기 | 1/18[2] | 1/19 | 1/20 | 1/25 | 1/26 | 1/27 | 1/31 | 2/1 | 2/2 | 2/7 | 2/8 |
캐스터 | 채민준 | 김수현 | 채민준 | 정용검 | 채민준 | ||||||
해설가 | 정인호 | 유정선 | 김진영 | 정인호 | 박동진 | 김진영 | 박동진 | 정인호 | 유정선 | 김진영 | |
인터뷰어 | 이정현 | 동수항 | 이정현 | 동수항 | 이정현 | 동수항 | 이정현 | 동수항 | |||
동수항 | |||||||||||
분석 데스크 | 김수현 | 채민준 | 정용검 | 채민준 | 김수현 | 정용검 | 이정현 | 김수현 | |||
김진영 | 정인호 | 박동진 | 정인호 | 김진영 | 정인호 | ||||||
유정선 | 박동진 | 유정선 | 박동진 | 유정선 | 박동진 | 유정선 |
4.3. 스토브리그
4.4. 변경점
5. 주요 기록
6. 여담
- VCT 2025 시즌부터 챔피언스 포인트의 획득 조건이 기존 "국제 4대 리그의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우승", "한 해에 개최되는 2개의 마스터스 대회 우승"에서 "국제 4대 리그의 킥오프/스테이지 1/스테이지 2 상위 팀", "한 해에 개최되는 2개의 마스터스 대회 상위 팀"으로 하향 조정이 되었다. 그에 따라 챔피언스 포인트를 통해 챔피언스에 진출하게 되는 팀이 기존 1개 팀에서 2개 팀으로 늘어났지만, 스테이지 2 플레이오프를 통해 챔피언스에 진출하게 되는 팀이 기존 3개 팀[3]에서 2개 팀[4]으로 줄어들었다.
- 상위조 준결승이 진행되는 1월 31일 부터 그랜드 파이널이 진행되는 2월 9일까지는 부산 이스포츠 경기장에서 뷰잉 파티가 진행된다. 출처
- NS vs RRQ 경기 2세트가 22-20으로 종료되며, 발로란트 퍼시픽 공식 경기 역사상 최장 라운드 스코어 기록을 경신하였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2><tablebgcolor=#fff,#ddd><tablebordercolor=#FF4654><tablewidth=100%><bgcolor=#FF4654>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2025 시즌 ||
국제 대회 | |||||||||||
| 파일:마스터스 토론토.png | 파일:발로란트 챔피언스 파리.png | |||||||||
마스터스 방콕 | 마스터스 토론토 | 챔피언스 파리 | |||||||||
국제 리그 | |||||||||||
| | | | ||||||||
킥오프 S1|S2 | 킥오프 S1|S2 | 킥오프 S1|S2 | 킥오프 S1|S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