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20:36:35

AKB48 그룹/푸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AKB48 그룹|AKB48 그룹]]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파일:AKB48 그룹 로고.svg


[ 일본 그룹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width=33%><bgcolor=#f576a3><nopad> 파일:AKB48 로고.svg ||<width=33%><bgcolor=#f8b600><nopad> 파일:SKE48 로고.svg ||<width=33%><bgcolor=#b76b20><nopad> 파일:NMB48 로고.svg ||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nopad> 파일:HKT48 로고.svg <nopad> 파일:NGT48 로고.svg <nopad> 파일:STU48 로고.svg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 해외 그룹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width=25><bgcolor=#ed1b24><nopad> 파일:JKT48 로고.svg ||<width=25%><bgcolor=#c997c1,#683660><nopad> 파일:BNK48 로고.svg ||<width=25%><bgcolor=#0054a5><nopad> 파일:MNL48 로고.svg ||<width=25%><bgcolor=#f28ea8><nopad> 파일:AKB48 Team SH 로고.svg ||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파일:AKB48 Team TP 로고.svg <nopad> 파일:CGM48 로고.svg <nopad> 파일:KLP48 로고.jpg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유닛
<bgcolor=#fff,#383d40> 파일:Quadlips logo.png파일:Quadlips logo 화이트.webp
[ 해체 그룹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rowbgcolor=#f676a6><rowcolor=#fff><nopad> 일본 ||<-3><nopad> 해외 ||
<nopad> 파일:SDN48 로고.svg <nopad> 파일:SGO48 로고.svg <nopad> 파일:DEL48 로고.svg <nopad> 파일:MUB48 로고.svg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멤버 · 음반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5><bgcolor=#f576a3><width=10000> 정보 ||
용어 구조
기네스 카미
템플릿
{{{#!wiki style="margin: -16px -11px" 멤버 문서 음반 문서 }}}
기획
{{{#!wiki style="margin: -16px -11px"
콘서트 팀 셔플 }}}
총선거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홍백가합전 총선거 · 레낫치 총선거
가위바위보 대회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리퀘스트 아워
{{{#!wiki style="margin: -16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12회 13회 14회 }}}
드래프트 회의
{{{#!wiki style="margin: -16px -11px" 1회 2회 3회 }}}
가창력 결정전
{{{#!wiki style="margin: -16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6회 }}}
미디어
드라마
서브컬쳐
AKB0048
게임
관련 인물
팬 커뮤니티

1. 개요2. AKB48
2.1. 연도별2.2. 기수별
3. SKE484. NMB485. HKT486. NGT487. STU48

1. 개요

AKB48 그룹 주요 푸쉬/차세대 멤버들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

인기 멤버들은 AKB48 그룹/역대 인기 멤버 문서를 참조.

2. AKB48

AKB48은 지점 멤버들도 싱글에 참여하기도 하고, 겸임 제도 등으로 밑에 있는 내용들에는 AKB 멤버만이 아닌 SKE, NMB, HKT 등의 지점 멤버들도 껴있다.

2.1. 연도별


2.2. 기수별

3. SKE48

  • 3기생
    - 키자키 유리아 : 아이돌성과 댄스 실력을 갖춘 SKE의 차세대 에이스로 주목받았으며, 이후 AKB48으로 이적하여 거의 모든 싱글 선발로 뽑혔고, 유닛 냐KB의 멤버로 선발되기도 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일명 ''로 묶이기도 한다.
  • 4기생
    - 키모토 카논 : 비주얼로 주목을 받았으며, SKE 차세대 푸쉬의 주역이었다. HKT48 겸임을 하기도 했다.

4. NMB48

  • 1기생
    - 야마모토 사야카, 와타나베 미유키 : 남바의 투탑이라 불리는 두 명. 원래 와타나베는 NMB의 센터 노선, 야마모토는 캡틴 노선으로 푸쉬를 주는 듯 했으나, 와타나베의 스캔들로 인하여 야마모토가 캡틴과 센터까지 가져갔다. 하지만 스캔들 후에도 와타나베는 센터를 서기도 했고, SKE48과 AKB48 겸임을 하는 등 많은 푸쉬를 받았다. 특히 마츠이 쥬리나와 같이 첫 겸임 멤버였으니 운영이 와타나베에게 건 기대가 얼마나 컸었는지는 알 수 있다. 야마모토는 팀K 겸임을 했으며, 와타나베는 졸업 전까지 거의 계속 팀B 겸임을 했다.
    - 요시다 아카리, 콘도 리나 : NMB 초창기 3인자 푸쉬를 받던 차세대 멤버들이었다. 그러나 NMB48 호텔 사건으로 푸쉬와 인기는 떨어졌으며, 요시다 아카리는 이후 유튜버로 다시 인기를 얻으며 푸쉬를 받기 시작했다.
    - 야마다 나나 : 야마모토와 와타나베, 그리고 야마다까지 NMB48 초기의 쓰리탑으로 불렸다. NMB 싱글 센터 경험은 2번 있으며, SKE48 겸임을 하기도 했다.
    - 시로마 미루 : NMB 초기에는 그렇게 푸쉬멤은 아니었지만, 이후 인기를 얻기 시작하며 AKB48 겸임을 하기도 하고, NMB48 센터로 성장하였다.
  • 2기생
    - 죠 에리코 : 전형적인 아키P사단 센터상. 가입 직후부터 많은 푸쉬를 받았으나 졸업하였고, 다시 4.5기생으로 들어왔다.
    - 야구라 후코 : NMB48 2기생 에이스이며, AKB48 겸임을 하는 등 푸쉬를 받았다.
  • 3기생
    - 야부시타 슈 : 가입 후 얼마 안 되어 바로 선발 멤버로 뽑혔으며, 차세대 유닛 무시카고에 속하는 등 푸쉬를 받았다.
    - 오오타 유우리 : 뛰어난 비주얼로 인해 가입 직후부터 관심을 받았지만, 일명 탄산대응으로 큰 인기는 얻지 못했다. 그러나 고등학생이 되고 팀N 시절부터 서서히 악수회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더니 차세대 푸쉬의 주역 중 하나로까지 성장했고, 현재 NMB의 3인자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하였다.
  • 5기생
    - 야마모토 아야카 : NMB 가입 직후부터 큰 푸쉬를 받으며 시작했다. 야마모토 사야카와 이름이 비슷한데, 팬들 사이에서는 이름 때문에 푸쉬를 받는 게 아니냐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 참고로 한자로는 山本彩加인데 여기서 마지막 한자만 빼면 야마모토 사야카의 이름이다.
    - 죠니시 레이 : 엄청난 몸매를 바탕으로 그라비아에서 맹활약중이며, 이를 발판으로 시로마와 요시다가 없는 NMB의 주역중 한명이 되었다.
    - 우메야마 코코나 : 야마모토 아야카와 일명 '우메야마모토'로 묶이며 강력 푸쉬를 받았다. 야마모토와 함께 W센터를 맡은적도 있을 만큼 유력한 차세대 센터 후보이다.
  • 6기생
    - 요코노 스미레 : 48그룹 역대 최강의 몸매라고 불리며 죠니시 레이와 함께 그라비아에서 미친 활약을 보였다. 하지만 양다리 스캔들로 인해 사퇴.
  • 7기생
    - 와다 미유 : 지하돌 출신이라 가입 당시에 가장 큰 관심을 받았다. 7기생중엔 가장 먼저 잡지 수록 등의 활동에 불려다니고 있다.
    - 히라야마 마이 : 동기들 중 마나베 안쥬와 함께 제일 먼저 승격했으며 퍼포먼스가 좋아 극장공연에 자주 출연한다. 악수회 대응이좋아 7기생 중에서는 매진이 많이 되는 편이다. 그리고 가입 1년만에 恋と愛のその間には의 선발멤버가 되었다.
  • 드래프트 3기생
    - 시오츠키 케이토 : 가입하자 마자 싱글에 선발되고 예능활동 등 운영의 푸쉬멤이다. 시로마 미루의 졸업곡 シダレヤナギ의 솔로 졸업곡 ‘언제나의 의자’를 제외한 모든 수록곡에 참가하기도 했다.


팬들 사이에서 6룡이라 불리던 6명이 NMB 차세대 푸쉬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다. (시로마, 야구라, 야부시타, 시부야, 스토, 오오타)
이들은 서로 인기있는 페어 조합이 있다. 각각 미루, 나기, 유우리리퐁

5. HKT48

  • 2기생
    - 타시마 메루, 토모나가 미오 : 2기생 푸쉬의 중심 메루미오. 타시마의 경우 아키모토 야스시가 제 2의 마츠이 쥬리나라고 언급하며 가입 후 1기생을 제치고 센터를 서는 등 많은 푸쉬를 받았다. 토모나가 역시 HKT 2번째 싱글에서 메루와 더블센터를 섰다. 이 둘은 AKB 차세대 유닛 텐토무츄의 멤버이기도 하다.
  • 4기생
    - 토요나가 아키 : 4기생중 최초로 싱글 선발로 뽑혔으며, 총선거와 악수회 모두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 운죠 히로나 : 높은 악수회 인기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꾸준히 선발에 뽑히더니, 2020년 첫 싱글 3-2에서는 단독 센터까지 맡게 되었다.

6. NGT48

  • 1기생
    - 카토 미나미(졸업) : NGT48 공개 당시부터 센터를 서는 등 NGT의 유력한 센터로 예상되던 강력한 푸쉬 멤버 중 하나였다. 하지만 첫 오리지널과 데뷔 싱글 모두 센터를 놓쳤으며, 이후로도 2번째 오리지널 곡인 君はどこにいる?를 제외하면 센터는 서지 못했지만, 쓰르라미 울 적에 드라마에서 주연인 류구 레나 역을 맡고 키타하라 리에의 졸업 이후 NGT48 팀 NⅢ의 캡틴까지 맡는 등 푸쉬는 여전했다. 그러나 캠틴후 논란에 휘말리며 연구생까지 강등되는 등 싱글 센터는 한번도 하지 못 했다. 유일한 센터인 君はどこにいる?마저도 드라마 주연 출연으로 인한 것이고, 해당 드라마 선발은 오디션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을 생각해보면 센터와는 멀었던 것으로 보인다.
    - 타카쿠라 모에카(졸업) : NGT48 첫 오리지널곡, Maxとき315号 센터. 전형적인 아키P 센터상 단발소녀. 하지만 4차원 캐릭터가 너무 강력했던 데다가 졸업 시기가 하필 코로나와 겹치며 졸업 전의 인기를 흡수하지 못 하였다.
    - 나카이 리카(졸업) : NGT48 데뷔 싱글, 青春時計 센터. 악수회와 쇼룸으로 인기를 끌며 결국 데뷔 싱글의 센터로 뽑히게 되었다. 직설적인 화법으로 구설수에 오르긴 했지만 이후 예능에서 활동하며 NGT48가 활동을 못 하던 시기에도 개인 활동을 이어나가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였다. 그 덕에 결혼까지
    - 오기노 유카(졸업), 혼마 히나타(졸업) : NGT48 데뷔 싱글 기준 2열 정도 포지션을 받는 푸쉬멤버들이었다. AKB48 9회 총선거에서 선발에 진입하며 푸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실제로 오기노는 NGT 두번째 싱글의 센터가 되었고, 혼마는 세번째 싱글의 센터가 되었다. 이듬해 AKB48 10회 총선거에서는 오기노가 4위, 혼마가 16위를 받으며 NGT를 넘어 AKB 선발까지 꿰찰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이후에는 혼마만이 NGT 전체를 통틀어서 유일하게 AKB 선발에 뽑혔다.
  • 드래프트 3기생/2기생 (일명. 니키도라[2])
    - 후지사키 미유 : 사건 이후 복귀 첫 싱글의 센터를 맡았으며, 이후 캡틴까지 역임중이다. 푸쉬가 하루카에게 넘어갔다고 인식되어왔으나, 一瞬の花火의 트리플 센터를 맡으며 푸쉬가 여전함을 보여주었다.
    - 오고에 하루카(졸업) : 6번째7번째 싱글의 센터를 맡았으며, NGT48의 첫 앨범의 더블 센터를 나카이 리카와 함께 차지하는 등 니키도라 중에서도 강력한 푸쉬멤이었다. 개인 유튜브 채널도 유일하게 가지고 있었으며 영상에 소속사 사장까지 등장할 정도로 대놓고 밀어주었다. 이후, 연기에 도전하며 드라마나 영화에도 출연하였으며 一瞬の花火의 트리플 센터 중 1명이었으며 해당 싱글을 끝으로 졸업하였다.
    - 오오츠카 나나미 : 싱글 센터에 든 적은 없었으나 드라마의 주연이나, 방송 리포터 등 여러 활동에서 푸쉬를 주고 있었으며, 이후 一瞬の花火의 트리플 센터를 맡으며 센터까지 차지하였다.
  • 4기생
    - 이소자키 나나 : 4기생 중 유일하게 一瞬の花火 선발에 진입했다. 또한, 4기생 수록곡의 더블 센터를 맡는 등 푸쉬가 보인다.

7. STU48

  • 1기생
    - 타키노 유미코 : STU48의 첫 오리지널 곡과 첫 싱글의 센터이다.
    - 이시다 치호 : 악수회로 인기를 끌어 AKB48 선발에 드는 등 꾸준한 푸쉬를 받고 있다. 다만 한동안은 악수 인기가 올라온 데 비해서는 푸쉬가 약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1] BAKA48. 메챠이케 기말테스트의 하위 7인으로 결성한 이벤트성 유닛.[2] 2기, 드래프트 3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