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대한민국| | |||
지상파 계열 | ||||
대원방송 | ||||
애니플러스 | ||||
사교육 계열 | ||||
기타 | ||||
|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 ||||
NBC 유니버설 | {{{#!wiki style="margin: 0px auto; max-width: 120px;" | |||
폐국 채널 | ||||
<colbgcolor=#000> 지상파 계열 | 1 | |||
외국계 | ||||
기타 | ||||
1: 끝은 지상파 계열인 SBS바이아컴으로 끝났지만 시작은 바이아컴과 온미디어의 합작 회사 MTV네트웍스코리아였기 때문에 외국계나 온미디어 계열로 보는 시각도 있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주식회사 챔프비전 Champ Vision Inc. | }}} | ||
<colbgcolor=#ee6f23><colcolor=#fff> 최신 인기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챔프! | |||||
국가 |
| ||||
개국 | 2005년 5월 2일 | ||||
폐국 | 2023년 5월 15일 (애니원과 통합) | ||||
채널 구분 | 유료방송채널 | ||||
운영 유형 | 민영방송 | ||||
장르 |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 | ||||
소유 | 대원방송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6길 19 | ||||
방송 품질 | 화질 | ''' 486-line/59.94Hz ''' '''FHD 1080i/59.94Hz ''' | |||
음향 | ''' 2ch 스테레오(AC-3/MP4 AAC) ''' | ||||
홈페이지 |
1. 개요
구 대원방송 산하 애니메이션 채널.2. 역사
| | |
개국 초기 로고 (2005~2006)[1] | ㅋㄷㅋㄷ 캐치프레이즈 당시 로고 (2006~2010)[2] | 2006년부터 2023년까지의 로고 (2006~2023) |
2003년 CJ미디어가 대원방송의 2대 주주로 오르며 온미디어의 투니버스를 견제하기 위해 스카이라이프 전용 채널이었던 애니원을 케이블TV에도 송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케이블TV 사업자와 스카이라이프의 갈등으로 인해 확장에 어려움이 발생하자 대원C&A홀딩스와 CJ미디어가 5:5 비율로 합자하여 주식회사 챔프비전을 설립하고# 5월 2일 기존 애니원이 방영되던 채널에서 챔프TV를 송출했다. 편성과 판권은 대원방송이 담당하고 송출만 CJ미디어가 맡는 구조였다.
개국 기자 간담회에서는 대놓고 갈등을 언급하기 곤란한 상황이었으므로 챔프TV를 아동용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이라고 얼버무렸지만, 첫 방영작이 강철의 연금술사(2003년 애니메이션)인 것도 그렇고 애니원과 편성표 구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케이블TV를 밀어주던 CJ미디어의 입김으로 인해 애니원보다 챔프에서 분기 신작이 더 빨리 편성되는 일도 있었다. 다만 2006년 애니박스 개국 이후 애니원이 지향하던 마니아 취향 애니메이션이 애니박스로 넘어감에 따라 애니원도 저연령층 애니메이션을 주력으로 편성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처음부터 저연령층을 지향하고 있던 챔프의 위치가 많이 애매해졌다.
2009년 CJ미디어가 투니버스 매각 경쟁에 뛰어들면서 CJ는 더 이상 챔프에 연연할 이유가 없어졌고 상호간의 의견 충돌로 인해 2011년 1월 챔프비전이 잠시 대원방송으로 인수되었고 이 과정에서 CJ와 결별하게 된다. 이후 CJ는 온미디어와 합병해 CJ E&M으로 새출발하고 투니버스에 집중하게 된다. 다만 홀로서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았는지, 2011년 6월 9일 t.cast를 소유하고 있는 태광그룹과 5:5 비율로 챔프비전을 재설립했다.# CJ 시절처럼 티캐스트는 송출만 담당하고 편성은 여전히 대원방송이 맡는다.
이후 2023년 2월 27일 대원방송이 티캐스트로부터 챔프비전의 지분 50% 및 경영권 송출권을 회수하면서 대원방송에 흡수합병되었다.# 그런데 이 사실이 3월 20일에서야 공시가 되었다는 점, 챔프의 모든 활동이 3월 1일 도라에몽 생일축하를 마지막으로 뚝 끊기는 등 폐국을 암시하는 징조가 보이기 시작했다. 결국 4월 21일 애니원과 합병된다는 보도자료가 배부되었고# 5월 15일 0시부터 챔프TV 브랜드를 폐지해 애니원으로 통합했다. 편성표상 마지막으로 방영된 애니메이션은 캐치! 티니핑 1화였으나, 통합 시점이 0시였기 때문에 된다! 뭐든!이라는 단편 애니메이션이 8화까지 송출되었다.
| |
폐국 공지사항 | 폐국 직전인 5월 14일 큐톤표 |
3. 특징
애초에 케이블TV와 IPTV 간의 갈등으로 인해 개국한 채널이었던 만큼, 대원방송이 판권을 소유하고 있던 애니메이션의 짬처리 느낌이 강했던 채널이었다. 애니원이나 애니박스보다 본방 시간이 시청에 불편한 시간대에 편성되는데다, 사실상 재방송 편성은 없다시피 하다. 이는 비단 매니아작뿐 아니라 아동용 작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반면, 도라에몽이나 소년탐정 김전일 등 일부 프로그램의 편성비율은 상당히 높다. 지상파 3사나 종편 4사의 방영작을 수입해서 송출하는 군소 PP 같은 편성 전략인 셈. 이것의 연장선으로 ID나 NEXT, 연령고지 영상 등의 채널 디자인도 2015년에 10주년을 기념해 바꾼 뒤로 2023년 애니원과 채널을 통폐합할 때까지 무려 8년간 지독하게 사골 우려먹듯이 우려먹었다. 또한 대다수의 케이블TV 회사가 아날로그/SD 화질 방송 송출을 중단한 2010년대 후반 이후에 많은 채널들이 로고 옆 HD 마크를 떼어 냈음에도 챔프TV만 거의 유일하게 로고 옆에 HD 마크가 폐국 직전까지도 붙어있었다. HD 마크를 늦게 떼어낸 편인 투니버스조차 2019년 채널 리브랜딩 이후로 HD 마크를 떼어냈던 것을 감안하면 굉장히 오래 붙이고 있던 것인데, 아무래도 2015년 채널 리브랜딩 이후로 한번도 채널 디자인 변경을 하지 않았던 탓으로 보인다. 애니박스나 애니원은 챔프에서 채널 디자인 8년 우려먹을 때 최소 3~4번 채널 디자인 변경을 했고, 같은 t.cast 산하 방송사들인 E채널이나 드라마큐브 등도 챔프보다는 채널 디자인을 자주 바꿨던 것을 보면 챔프가 IPTV 점유율 상승 이후 채널 규모가 꽤 줄었음을 체감할 수 있다.파워레인저 시리즈와 가면라이더 시리즈 같은 특촬물이 대원으로 판권이 넘어간 이후 꾸준히 수입하며, 프리큐어 시리즈 역시 매년 방영해주고 있다.[3] SO에 따라 챔프와 애니박스가 동시에 송출되는 지역이라면 본방 사수의 기회가 한 차례 더 주어지는 셈. 물론 100% 다 그런 건 아니고 블랙 잭 등의 일부 작품은 챔프에서 미방영되거나 한참 뒤에 방영했다. 그 예로 상술한 것처럼 블랙 잭이 애니원과 애니박스에서 방영된지 한참 뒤인 2022년 11월에 방영했다. 그런데 원래 자정이었다가 김전일에 밀려서 새벽 2시에 방영하고, 전체 62회차임에도 16회차까지만 방영한 후 더 방영하지도 않았다. 이는 아래에서 언급한 문제점도 있고, 챔프에서 방영할 즈음엔 한국 타채널 막방을 기준으로 해도 거진 13년 된 옛날 애니다 보니 꽤 박한 취급을 받았을 것이다.
과거 2005~2008년과 2020년 이후 기준으로 챔프 뮤직이라고 뮤직 방송들도 했다. 다만 2005~2008년에 했던 것은 지상파/대원방송 방영 애니들의 주제가를 모아놓은 1시간짜리 프로그램인 반면, 2020년부터 방영했던 챔프 뮤직의 경우 프로그램-프로그램 사이 광고 시간대에 시간 때우기용으로 만든거라 분 단위의 짧은 영상이었고, 투니버스 애니뮤직과 비슷하게 최신곡에 여러 애니를 짜집기한 영상이다. 대표적으로는 싹쓰리의 다시 여기 바닷가, 한나 몬타나의 RookStar, 방탄소년단의 다이너마이트, 폴 아웃 보이의 곡 등을 방영했던 애니들로 뮤직송으로 만들었다. 이는 챔프-애니원 통폐합 이후에도 ONE MUSIC이라는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다.
폐국 전 대원방송 3개의 채널 중에서 유일하게 실시간 스트리밍과 유튜브 채널도 제공하지 않았으며 모바일 OTT에서의 시청 또한 불가능했다. 이로 인해서 송출 기간 내내 m3u8 주소가 부재했던 채널이었다. 다만 챔프TV에서만 방송되는 작품은 없었거니와 애니원이나 애니박스 중 하나 이상의 채널이 국내 실시간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OTT에서 서비스중에 있기에 큰 문제로 비화된 적은 없었고, 애니원과의 통합 발표 시점부터는 애니원의 스트리밍을 통해 챔프TV의 방송을 볼 수 있었다.
3.1. 챔프에몽
특히 투니버스와의 경쟁을 위해 도배성 편성을 하게 되어 애니메이션 채널 전반에 편성 질 저하를 일으킨 주범으로 유명하다. 2008년까지만 해도 투니버스나 챔프나 비교적 균형잡힌 편성이 이뤄지고 있었는데, 2007년부터 일본 애니메이션의 시장 변화로 인해 아동용 애니메이션이 감소하고 수입이 어려워진데다 챔프가 2006년 5월부터 방영한 도라에몽의 시청률이 높게 나오자 "도라에몽 편성을 높이면 그만큼 전체 시청률이 더 높아지겠다"라는 생각으로 2009년부터 도라에몽의 편성을 대폭 늘려버렸다. 라이벌 채널인 투니버스도 당연히 이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같은 시기에 짱구는 못말려와 명탐정 코난의 편성을 대폭 늘려버렸다.2010년 10월 10일에는 도라에몽 런칭 기념이라며 10기를 하루종일 방영하자, 투니버스도 그날 원래 예정된 편성표를 날려버리고 짱구는 못말려 10기를 전면 방송했다.(...). 공휴일에는 한 술 더 떠서 아예 워터마크 밑에 도라에몽 DAY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하루 편성의 90% 이상을 도라에몽으로 돌려막았다. 물론 경쟁 채널도 짱구는 못말려로 편성표를 도배하고 짱구 DAY 타이틀을 내걸었다(...). 심지어 이 시기에 재능TV에서도 포켓몬스터 DP로 편성표를 도배했었다. 게다가 짱구는 못말려(TV판)가 투니버스에서 시청률이 잘 나오자 대원방송도 2008년부터 극장판을 수입해 2009년부터 어린이날, 명절 같은 공휴일은 물론 평일 저녁과 일요일 아침까지도 돌려막았다. 이때는 투니버스를 틀면 TV판 짱구가 나오고, 챔프를 틀면 극장판 짱구가 나오는 상황이 펼쳐졌다. 이때부터 두 채널의 막장 편성이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아직도 서로 경쟁 의식을 부추겨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어쨌든 이 도라에몽 편성 도배로 생긴 별명이 챔프에몽. 심지어 신 도라에몽 9기 방영 기념으로 신 도라에몽 시즌을 주말마다 하루 종일 하나씩 방송했다.
이러한 막장 편성으로 인해 2009년 봄 이후부터 케이블 전체 시청률 10위에도 못 드는 날이 비일비재한데다 심지어 그 해 8월 15일 도라에몽 종일 편성은 투니버스의 명탐정 코난 종일 편성에 밀려버렸다. 반면 투니버스 측은 똑같이 편성으로 욕을 먹는데도 항상 애니 채널 중에서 시청률 1위(...), 전체 시청률 7위(2011년 12월 기준)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투니버스 못지 않게 편성 관련 논란이 꽤 있는데 가장 압권인 게 2009년 4월 스튜디오 지브리 극장판 릴레이. 이미 일정까지 다 광고해 놓았지만 첫 주 동 시간대에 나오던 투니버스의 코난 극장판에 시청률이 밀리자 일주일만에 편성을 취소해버렸다.
티캐스트가 챔프를 인수한 뒤로는 편성이 조금 묘하게 변경되었다. 먼저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도라에몽의 편성의 경우 예전엔 거의 도배 수준이었지만 그나마 줄어들었고 밤 10~12시 사이를 'BLUE NITE'라는 청소년 타겟 블록으로 만들어 대원의 각종 청소년향 작품들을 방영하고 있다. 대부분 애니박스에서 선방영된 애니들을 가져온 것. 같은 시간대에도 저연령층 애니를 방영하는 투니버스와 비교하면 이 점은 꽤 좋게 볼 부분. 하지만 2012년 들어서 쟁여놓은 청소년용 애니가 다 떨어졌는지 블록 시간이 1시간 정도로 줄었다. 편성은 CJ 때와 큰 차이가 없었는데, 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재방송을 30분 앞뒤로 왔다갔다 하다가 예고도 없이 토요일로 재방일을 변경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문제는 이런 일이 비일비재했다는 것이다.
2012년 초 이후에는[4] 도라에몽의 편성이 눈에 띄게 줄었다. 도배는 고사하고 본방 시간이 평일 오전일 정도. 이는 비단 매니아작뿐 아니라 쾌걸 조로리와 같은 아동용 작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라에몽이나 소년탐정 김전일 등 일부 프로그램의 편성비율은 상당히 높다. SO에 따라 챔프와 애니박스가 동시에 송출되는 지역이라면 본방 사수의 기회가 한 차례 더 주어지는 셈. 물론 100% 다 그런 건 아니고 블랙 잭 등의 일부 작품은 챔프에서 미방영되거나 한참 뒤에 방영했다.
4. 기타
- 티캐스트 인수 초기에는 태광그룹 공채 홍보를 하기도 했다. 프로그램은 구 도라에몽 4기 43화 A파트이다. 또한 2020년대 즈음 애니매이션 오프닝이 끝난 직후 첫번째 광고로 E채널의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광고가 나오기도 했었다.
- 2007~2009년까지의 연령고지를 보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CHAMP 철자가 무서워하는 모습이 있다. 전체 시청가[5]는 무서워하지 않고, 7세 시청가는 엎드려 자고, 12세 시청가는 그냥 도망치거나 A만 바들바들 떨고, 15세 시청가는 AMP만 바들바들 떨고, 19세 시청가는 모든 철자가 바들바들 떤다.
- 2023년까지는 연령고지와 내레이션이 나왔는데 ALL은 "이 프로그램은 모든 연령의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7세, 12세는 "이 프로그램은 ~세 미만의 어린이가 시청하기에 부적절하므로 보호자의 시청 지도가 필요한 프로그램입니다.", 15세는 "이 프로그램은 15세 미만의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하므로 보호자의 시청지도가 필요합니다."19세 시청가는 "이 프로그램은 19세 미만의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라고 내레이션이 나온다. 전체 시청가는 빨간색과 노랑 물감 방울들이 움직이고 7세와 12세 시청가는 큰 물방울들이 비치고, 15세 시청가는 15 부분에 물방울이 위에 있다. 19세 시청가는 보라색으로 19세 마크가 써져있고 배경이 붉은 세포들같은 배경과 계란이 깨지고 노른자가 두 개로 분열이 된다...[6][7]
- 특이하게도 등기 사항을 조회해 보면 합성수지, 의류, 문구류, 금속공예품 등의 판매업 허가를 받았었다. 아마 챔프비전의 경영권을 갖고 있던 티캐스트의 모기업인 태광산업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CJ 산하 시절에는 설탕 판매업 허가를 받았을까?
5. 관련 문서
6. 관련 인물
[1] 해당 로고가 적용된 ID 영상[2] 2006년 5월 2일 개국 1주년을 맞아 새롭게 선보인 로고. # 챔프TV의 그나마 전성기였던 시절이었다. 참고로 채널 ID 리뉴얼을 하게 되면서 채널 마스코트를 적절히 활용하여 자체 아이덴티티 영상을 만들었는데, 배경이 파주 영어마을이다(...).[3] 대개 초/중반기는 가면라이더와 프리큐어, 중/후반기는 파워레인저를 방영한다.[4] 화질구지와 작붕을 자랑하는 1980년대 초반 제작분을 수입하기 시작했다.[5] 7, 12, 15, 19 숫자들이 모두 모여있다.[6] 2023년까지 19세 시청가들은 기생수, 이토 준지 컬렉션, 마지막으로 19세는 2022년 기준의 새벽 2시 베르세르크: 황금시대 편 작품으로 과거보다 훨씬 많이 줄어들었다.[7] 15세와 19세 연령고지는 음악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