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21:54:32

Calamity Mod/아이템/무기/소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Calamity Mod/아이템/무기|Calamity Mod/아이템/무기]]

[[Calamity Mod|
파일:Calamity Mod 로고.png파일:Calamity Mod 로고(다크 테마).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아이콘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tablebgcolor=#FFF,#262626><tablewidth=100%>
생물 관련
[[Calamity Mod/NPC|
파일:Calamity Mod/술 취한 공주/아이콘.png
NPC]]
[[Calamity Mod/몬스터|
파일:Calamity Mod/아스트랄 탐사정.png
몬스터]]
[[Calamity Mod/보스|
파일:Calamity Mod/신들의 포식자/아이콘.png
보스]]
[[Calamity Mod/이벤트|
파일:Calamity Mod/산성비/아이콘.png
이벤트]]
아이템 관련
[[Calamity Mod/아이템|
파일:Calamity Mod/재앙의 잿더미.png
아이템
]]
[[Calamity Mod/아이템/무기|
파일:Calamity Mod/잠수정 분쇄기.png
무기]]
[[Calamity Mod/아이템/방어구|
파일:Calamity Mod/빅타이드 흉갑.png
방어구]]
[[Calamity Mod/아이템/치장품|
파일:Calamity Mod/불행의 로브.png
치장품]]
[[Calamity Mod/아이템/블록|
파일:Calamity Mod/코스밀라이트 벽돌.png
블록]]
[[Calamity Mod/아이템/가구|
파일:Calamity Mod/눈부신 머니퓰레이터.png
가구]]
[[Calamity Mod/아이템/장신구|
파일:Calamity Mod/하피의 반지.png
장신구]]
[[Calamity Mod/아이템/장비|
파일:Calamity Mod/물어뜯는 바다뱀.png
장비]]
[[Calamity Mod/아이템/소모품|
파일:Calamity Mod/유황의 플라스크.png
소모품]]
[[Calamity Mod/아이템/도구|
파일:Calamity Mod/울프럼 채광 거북이.png
도구]]
[[Calamity Mod/아이템/재료|
파일:Calamity Mod/루메닐.png
재료]]
[[Calamity Mod/아이템/변경된 기존 아이템|
파일:Terraria/앙크 방패.png
변경사항]]
기타
[[Calamity Mod/시스템|
파일:Calamity Mod/리벤전스 모드.png
시스템]]
[[Calamity Mod/모드로 인한 변동사항|
파일:Terraria/해바라기.png
바닐라 변경점]]
[[Calamity Mod/버프 및 디버프|
파일:Calamity Mod/원소의 혼합물.png
버프 및 디버프]]
[[Calamity Mod/지형|
파일:Calamity Mod/침몰한 바다/아이콘.png
지형]]
[[Calamity Mod/설정|
파일:Calamity Mod/브림스톤 엘레멘탈 (로어).png
설정]]
[[Calamity Mod/애드온|
파일:Terraria/톱니.png
애드온]]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텍스트 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tablebgcolor=#FFF,#2D2F34><colbgcolor=#3D2A2A,#2D2B2C"><colcolor=#FFF,#EFEFEF><tablewidth=100%>
생물 관련
<colbgcolor=#FFF,#262626><colcolor=#212529,#E0E0E0>NPC · 몬스터 · 보스 · 이벤트
아이템 관련
아이템 (무기 (근접 · 원거리 · 마법 · 소환 · 로그) · 방어구 · 치장품 · 블록 · 가구 · 장신구 (전투) · 장비 · 소모품 · 도구 · 재료)
기타
시스템 · 지형 · 설정 · 애드온}}}}}}}}}{{{#!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표기 설명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3px; padding: 1px; background: rgb(0 0 0 / 0.7); font-size: 1em"
}}}}}}}}}}}}

아이템 - 무기
[[Calamity Mod/아이템/무기/근접|
파일:Calamity Mod/부서진 바이옴 블레이드.png
근접]]
[[Calamity Mod/아이템/무기/원거리|
파일:Calamity Mod/살진균제.png
원거리]]
[[Calamity Mod/아이템/무기/마법|
파일:Calamity Mod/풍향 순전.png
마법]]
[[Calamity Mod/아이템/무기/소환|
파일:Calamity Mod/밤의 눈.png
소환]]
[[Calamity Mod/아이템/무기/로그|
파일:Calamity Mod/지옥의 크리스 단도.png
로그]]
[[Calamity Mod/아이템/무기#기타 무기|
파일:Calamity Mod/에어로 다이너마이트.png
기타]]


1. 개요
1.1. 바닐라 변경점
2. 목록
2.1. 하드모드 이전2.2. 하드모드2.3. 달의 군주 이후2.4. 하드모드 이전2.5. 하드모드2.6. 달의 군주 이후2.7. 하드모드 이전2.8. 하드모드2.9. 달의 군주 이후

1. 개요

소환 무기는 미니언, 센트리 혹은 기타 투사체를 이용해 소환 대미지를 입히는 무기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미니언과 센트리들은 각각 미니언 슬롯, 센트리 슬롯이라는 별개의 능력치를 소모하며, 이는 장신구 및 갑옷을 통해 늘릴 수 있다. 기타 소환 무기들은 슬롯을 소모하지 않는다.
칼라미티 모드는 새로운 채찍을 추가해 주지 않으므로, 채찍에 관련된 정보는 바닐라 채찍 문서 참고.

접두사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이 없는 무기들은 무자비한(Ruthless)을 최고 접두사로 삼는다.

본 문서는 Calamity Mod에 추가된 소환 무기에 대해 서술한다. 무기들은 그 종류별로, 희귀도 및 게임을 진행해 나가며 얻을수 있는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1.1. 바닐라 변경점

Calamity Mod에서 플레이어가 서머너 외 직업군의 무기를 들고 있을 때, 모든 미니언, 센트리 및 기타 소환 무기들은 75%의 피해만 입힌다.
또, 채찍의 표적 공격력은 합연산이 아닌 곱연산으로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 및 아이템 변경점은 해당 항목 참고.

2. 목록

소환 무기
미니언
하드모드 이전
울프럼 컨트롤러서리 꽃 지팡이벨라돈나 정령 지팡이태양의 정령 지팡이폭풍턱 지팡이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마법에 걸린 고둥죽음의 응시 로드뻐끔버섯바일 피더스캡 리퍼잉걸불 꽃 지팡이축축한 지팡이부정한 살덩이별 포식자 격납고청어 지팡이강령술사의 지팡이밤의 눈오염슬라임 지팡이진홍슬라임 지팡이
하드모드
블랙 호크 조종기고대의 얼음덩어리부식성 지팡이귀신들린 두루마리조개껍데기 지팡이빙하의 포옹툰드라 화염 꽃 지팡이화성의 항진잊혀진 정점의 지팡이다이달로스 골렘 지팡이심해의 지팡이잠들어있는 유황추적자고정된 스캐너복수심에 불타는 태양 지팡이엔트로피의 기도바이러스성 발아모래 샤크네이도 지팡이위 벨처 지팡이버려진 슬라임 지팡이플랜테이션 지팡이반혼접연료 세포 주머니감염된 조종기시든 꽃 지팡이별의 탄생 나선 지팡이
달의 군주 이후
원소의 도끼죽음의 꽃전술 역병 엔진눈부신 단도 지팡이뱀의 눈신록의 선봉용혈 분출별의 궤도 지팡이공허 응축 지팡이코스밀램프별자리의 지배자, 천룡천상의 지배자식용 오징어의 탄식감마 심장시리우스워록의 문 피스트돌연변이 송로버섯기계벌레의 지팡이칼란드라의 거울전우주적 바이퍼 엔진징조의 까마귀 지팡이엔도 히드라 지팡이사로스의 유물폴 워퍼야론의 후예 지팡이종언의 백합밤중의 태양 송신기아레스의 외골격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 (엑소급)파멸각성전이엔도제네시스 (개발자)시간의 우산 (개발자)
센트리
하드모드 이전
다람쥐 종자 지팡이부식성 두꺼비 지팡이녹슨 신호기 프로토타입폴립 발사기수확의 지팡이
하드모드
혹한의 지팡이오르토세라스의 껍질공포의 지뢰 지팡이군체 항아리가시바위 지팡이펄스 터렛 조종기
달의 군주 이후
신성화된 불꽃물의 홀망각의 안내등썩어가는 시체아틀라스 군수품 신호기
기타
하드모드 이전
슬라임 인형 지팡이
하드모드
보레알리스 폭격기
달의 군주 이후
비탄의 재플렘스티드 반지 (개발자)우주 분해기 (개발자)

===# 미니언 #===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1c1d1f><-2> 이름 || 공격력 || 넉백 || 마나 || 요구
슬롯
|| 자동
공격
|| 등급 ||
파일:Calamity Mod/울프럼 컨트롤러.png 울프럼 컨트롤러
(Wulfrum Controller)
16 0.5
(극도로 약함)
10 1 <colcolor=green> o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얼음꽃 스태프.png 얼음꽃 스태프
(Frost Blossom Staff)
10 2
(매우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벨라돈나 정령 지팡이.png 벨라돈나 정령 지팡이
(Belladonna Spirit Staff)
22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태양 영혼 스태프.png 태양 영혼 스태프
(Sun Spirit Staff)
12 1.15
(극도로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폭풍턱 스태프.png 폭풍턱 스태프
(Stormjaw Staff)
11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png 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
(Brittle Star Staff)
10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마법의 소라고둥.png 마법의 소라고둥
(Magical Conch)
20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죽음의 응시 로드.png 죽음의 응시 로드
(Deathstare Rod)
20 2
(매우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뻐끔버섯.png 뻐끔버섯
(Puff Shroom)
1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바일 피더.png 바일 피더
(Vile Feeder)
14 0.5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스캡 리퍼.png 스캡 리퍼
(Scab Ripper)
16 0.5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재의 꽃 스태프.png 재의 꽃 스태프
(Cinder Blossom Staff)
16 2
(매우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축축한 스태프.png 축축한 스태프
(Dank Staff)
14 2.25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부정한 살덩이.png 부정한 살덩이
(Flesh of Infidelity)
20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별 포식자 억제장치.png 별 포식자 억제장치
(Star Swallower Containment Unit)
24 2.25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Dark Orange.svg
파일:Calamity Mod/청어 스태프.png 청어 스태프
(Herring Staff)
15 1.25
(극도로 약함)
5 1
(1슬롯당 3마리)
o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강령술사의 스태프.png 강령술사의 스태프
(Staff of Necrosteocytes)
31 3.5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밤의 눈.png 밤의 눈
(Eye of Night)
24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3.svg
파일:Calamity Mod/오염슬라임 스태프.png 오염슬라임 스태프
(Corroslime Staff)
2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진홍슬라임 스태프.png 진홍슬라임 스태프
(Crimslime Staff)
2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블랙 호크 조종기.png 블랙 호크 조종기
(Black Hawk Remote)
25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고대의 얼음덩어리.png 고대의 얼음덩어리
(Ancient Ice Chunk)
25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부식성 지팡이.png 부식성 지팡이
(Caustic Staff)
15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빙의된 두루마리.png 빙의된 두루마리
(Haunted Scroll)
25 3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조개껍데기 스태프.png 조개껍데기 스태프
(Shellfish Staff)
70 2
(매우 약함)
10 2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빙하의 포옹.png 빙하의 포옹
(Glacial Embrace)
48 4.5
(보통)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툰드라 화염꽃 스태프.png 툰드라 화염꽃 스태프
(Tundra Flame Blossoms Staff)
40 3
(매우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불의의 항진.png 불의의 항진
(Igneous Exaltation)
34 4.5
(보통)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잊혀진 정점의 지팡이.png 잊혀진 정점의 지팡이
(Forgotten Apex Wand)
28 4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다이달로스 골렘 지팡이.png 다이달로스 골렘 지팡이
(Daedalus Golem Staff)
70 3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심해의 스태프.png 심해의 스태프
(Deepsea Staff)
40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잠든 유황추적자.png 잠든 유황추적자
(Dormant Brimseeker)
42 3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고정된 스캐너.png 고정된 스캐너
(Mounted Scanner)
2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Dark Orange.svg
파일:Calamity Mod/복수의 태양 스태프.png 복수의 태양 스태프
(Vengeful Sun Staff)
60 1.25
(극도로 약함)
10 1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6.svg
파일:Calamity Mod/무질서한 예배.png 무질서한 예배
(Entropy's Vigil)
47 2
(매우 약함)
10 2
(2슬롯당 3마리)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바이러스성 발아.png 바이러스성 발아
(Viral Sprout)
30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모래 샤크네이도 스태프.png 모래 샤크네이도 스태프
(Sand Sharknado Staff)
9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위 벨처 스태프.png 위 벨처 스태프
(Gastric Belcher Staff)
60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버려진 슬라임 스태프.png 버려진 슬라임 스태프
(Abandoned Slime Staff)
56 3
(매우 약함)
40 남아있는 모든
미니언 슬롯
x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플랜테이션 스태프.png 플랜테이션 스태프
(Plantation Staff)
58 1
(극도로 약함)
10 3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반혼접.png 반혼접
(Resurrection Butterfly)
66 1
(극도로 약함)
10 1
(1마리당 0.5슬롯)
o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연료성 세포 묶음.png 연료성 세포 묶음
(Fuel Cell Bundle)
25 7
(강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감염된 원격 조종기.png 감염된 원격 조종기
(Infected Remote)
50 5
(보통)
10 3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말라버린 꽃 스태프.png 말라버린 꽃 스태프
(Wither Blossoms Staff)
50 3
(매우 약함)
10 2
(한 번만 소환 가능)
x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스타스폰 헬릭스 스태프.png 스타스폰 헬릭스 스태프
(Starspawn Helix Staff)
103 1.25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9.svg
파일:Calamity Mod/원소의 도끼.png 원소의 도끼
(Elemental Axe)
57 5
(보통)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11.svg
파일:Calamity Mod/필멸의 꽃.png 필멸의 꽃
(Flowers of Mortality)
72 5
(보통)
10 3
(한 번만 소환 가능)
o 파일:Terraria/희소성/11.svg
파일:Calamity Mod/전술 역병엔진.png 전술 역병엔진
(Tactical Plague Engine)
140 0.5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Terraria/희소성/11.svg
파일:Calamity Mod/눈부신 단도 지팡이.png 눈부신 단도 지팡이
(Dazzling Stabber Staff)
127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뱀의 눈.png 뱀의 눈
(Snake Eyes)
200 3
(매우 약함)
12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Dark Orange.svg
파일:Calamity Mod/신록의 선구자.png 신록의 선구자
(Virid Vanguard)
280 5
(보통)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용혈 분출.png 용혈 분출
(Dragonblood Disgorger)
215 4
(약함)
10 6
(한 번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별의 궤도 지팡이.png 별의 궤도 지팡이
(Stellar Torus Staff)
142 4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공허 응축 지팡이.png 공허 응축 지팡이
(Void Concentration Staff)
105 4
(약함)
10 3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코스밀램프.png 코스밀램프
(Cosmilamp)
89 4
(약함)
10 2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별자리의 지배자, 천룡.png 별자리의 지배자, 천룡
(King of Constellations, Tenryū)
187 2
(매우 약함)
10 4
(하나만 소환 가능, 1마리당 2슬롯)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천상의 지배자.png 천상의 지배자
(Ethereal Subjugator)
200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식용 오징어의 탄식.png 식용 오징어의 탄식
(Calamari's Lament)
110 2.5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감마선 심장.png 감마선 심장
(Gamma Heart)
85 3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시리우스.png 시리우스
(Sirius)
175 3
(매우 약함)
10 6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워록의 문피스트.png 워록의 문피스트
(Warlok's Moon Fist)
450 2
(매우 약함)
10 4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변이된 송로버섯.png 변이된 송로버섯
(Mutated Truffle)
275 5
(보통)
10 3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3.svg
파일:Calamity Mod/기계벌레의 지팡이.png 기계벌레의 지팡이
(Staff of the Mechworm)
100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칼란드라의 거울.png 칼란드라의 거울
(Mirror of Kalandra)
317 4
(약함)
10 1
(최대 5마리 소환 가능)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전우주적 바이퍼 엔진.png 전우주적 바이퍼 엔진
(Cosmic Viper Engine)
321 4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징조의 까마귀 지팡이.png 징조의 까마귀 지팡이
(Corvid Harbinger Staff)
114 2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엔도 히드라 지팡이.png 엔도 히드라 지팡이
(Endo Hydra Staff)
232 3
(매우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사로스 소유물.png 사로스 소유물
(Saros Possession)
200 4
(약함)
10 8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4.svg
파일:Calamity Mod/폴 워퍼.png 폴 워퍼
(Pole Warper)
310 8
(매우 강함)
12 1
(1슬롯당 2마리)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Dark Orange.svg
파일:Calamity Mod/야론의 후예 지팡이.png 야론의 후예 지팡이
(Yharon's Kindle Staff)
300 7
(강함)
10 5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종언의 백합.png 종언의 백합
(Lilies of Finality)
512 5
(qhxhd)
10 2
(한 번만 소환 가능)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한밤중의 태양 송신기.png 한밤중의 태양 송신기
(Midnight Sun Beacon)
150 1
(극도로 약함)
10 1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아레스의 외골격.png 아레스의 외골격
(Ares' Exoskeleton)
625 1
(극도로 약함)
80 3
(최대 4마리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png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
(Cosmic Immaterializer)
560 0
(없음)
10 10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파멸.png 파멸
(Perdition)
375 4
(약함)
10 5
(하나만 소환 가능)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각성.png 각성
(Vigilance)
115 4
(약함)
10 1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전이.png 전이
(Metastasis)
400 2
(매우 약함)
10 4
(하나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엔도제네시스.png 엔도제네시스
(Endogenesis)
1,300 4
(약함)
80 10
(하나만 소환 가능)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6.svg
파일:Calamity Mod/시간의 우산.png 시간의 우산
(Temporal Umbrella)
193 1
(극도로 약함)
99 5
(한 번만 소환 가능)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6.svg

2.1. 하드모드 이전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울프럼 컨트롤러, 영=Wulfrum Controller, 희소=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6, 넉=0.5, 마=10, 시=34, 은=20,
조합=,
링1=울프럼 금속 조각, 링1모드=,
글2=(9)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울프럼 드로이드, 영=Wulfrum Droid, 확장자=gif,
추가=슈퍼차지 상태,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에너지 볼트,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감정표현, 추가3설명=,
툴팁=울프럼 드로이드가 당신을 지켜줄 것입니다)]

울프럼 테마 소환 무기로, 보통 소환 무기들 중 제일 먼저 만들게 된다.
좌클릭 시 사용자 주위를 날아다니며 적에게 약한 유도성이 있는 녹색 에너지 볼트를 발사하는 울프럼 드로이드를 소환한다. 드로이드는 0.49~1.83초의 랜덤한 간격으로 볼트를 발사하며, 볼트를 발사할 때 반동으로 약간 밀려난다.
우클릭 시 드로이드는 슈퍼차지 상태가 되어 공격을 멈추고 커서 위치에 가장 가까운 플레이어에게 이동한다. 플레이어와 충분히 가까워지면 드로이드와 플레이어가 짧은 광선으로 연결되며, 드로이드당 3의 방어력과 1의 체력 재생을 부여한다.

플레이어가 로버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있다면 공격 틱당 33.33%의 확률로 로버 드라이브 방어막을 복구할 수도 있다.

드로이드는 적을 공격하지 않을 때 기계 효과음과 함께 감정표현을 출력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얼음꽃 스태프, 영=Frost Blossom Staff, 희소=Blue,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0, 넉=2, 마=10, 시=35, 은=20,
조합=,
링1=서리가시꽃,
글2=(5) +,
링2=아무 얼음 블록,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확장자=gif,
글3=(50) +,
링3=아한대나무, 링3문서=아이템/블록, 링3개행=,
글4=(10)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얼음꽃, 영=Frost Blossom, 툴팁=차갑고 가시돋힌 꽃이 당신주위를 불안하게 떠다닙니다)]

게임 초반 설원 지상을 조금 탐험하면 바로 만들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의 머리 위에 떠 있는 얼음꽃을 소환한다. 얼음 꽃은 0.58초마다 주변 적에게 비관통성 얼음 광선을 발사한다. 광선은 적을 타격하면 3~5개의 꽃잎을 가진 꽃 모양의 폭발을 일으키며, 이 폭발은 무기 공격력의 1/3에 해당하는 추가 피해를 입힌다. 얼음꽃은 단 하나만 소환 가능하다.

극초반 서머너 플레이에 많은 도움이 되는 무기로, 보통 위의 울프럼 컨트롤러와 같이 사용한다.

가장 좋은 접두사는 무자비한(Ruthless)이 아닌 신화의(Mythical)다. 둘의 공격력 증가 수치가 같은 와중에, 후자의 경우 넉백 등의 옵션이 추가로 붙기 때문에 더 낫다.

하드모드에서 툰드라 화염꽃 스태프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벨라돈나 정령 지팡이, 영=Belladonna Spirit Staff, 희소=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2, 넉=1, 마=10, 시=34, 은=20,
조합=,
링1=덩굴,
글2=(4) +,
링2=정글 포자,
글3=(5) +,
링3=독침,
글4=(8) +,
링4=진한 마호가니, 링4문서=아이템/블록, 링4개행=,
글5=(25)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벨라돈나 정령, 영=Belladonna Spirit, 확장자=gif,
추가=벨라돈나 꽃잎, 추가설명=,
툴팁=귀여운 숲의 정령이 당신을 따릅니다.)]

정글 지하를 탐험해 제작할 수 있는 소환 무기.
사용 시 사용자 근처에 날아다니는 벨라돈나 정령 미니언을 소환한다. 정령은 블록을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고, 1.25초마다 공중에 독성 꽃잎을 1개 소환한다. 이 꽃잎은 1초 후 적 방향으로 빠르게 발사되어, 무기 기본 공격력의 대미지를 입히며 4초간 파일:Terraria/독.png 디버프를 유발한다. 근처에 적이 없다면 꽃잎은 아래로 천천히 떨어지며 소멸한다.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만들 수 있는 무기인데다, 기본 데미지도 강력하고 디버프까지 붙어있다. 또한 울프럼 컨트롤러와는 다르게 벽 너머의 적까지 공격할 수 있어, 굉장히 강력한 모습을 보여, 서머너의 초반 플레이를 아주 쾌적하게 해 준다. 다만 이 무기를 제작하려면 정글을 탐험해야 하는데, 그 과정이 꽤나 험난한 편이다.

슬갓 이후 밤의 눈의 재료로 들어가고, 엑소 무기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 제작 트리에 포함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태양 영혼 스태프, 영=Sun Spirit Staff, 희소=Blue,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2, 넉=1.15, 마=10, 시=35, 은=40,
조합=,
링1=스톰라이온 아래턱, 링1모드=,
글2=(2) +,
링2=사암 벽돌,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20)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태양 영혼, 영=Solar Spirit, 툴팁=태양 영혼이 당신을 지켜줄 것입니다)]

사막 지하를 탐험해 제작하는 소환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 머리 위에 고정된 태양을 소환한다. 태양은 0.83초마다 적에게 노란 에너지 광선을 발사하며, 광선은 적과 블록을 관통하지 않는다. 태양은 오직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

소환수만으로도 자체적으로 약한 빛을 내며 접근하는 적에게 약간의 경직도 먹여줘, 굳이 서머너가 아니더라도 지하 탐사할 때 하나 소환해 두면 좋다.

기계보스 전원 격파 이후 태양신 스태프로 강화할 수 있으며 개발자 무기인 시간의 우산 제작 트리에 포함되니, 하나 정도는 만들어 두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폭풍턱 스태프, 영=Stormjaw Staff,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1, 넉=2, 마=10, 시=34, 은=40,
드롭=,
링1=스톰라이온,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0,
글2=(20%))]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기 스톰라이온, 영=Baby Stormlion,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아기 스톰라이온이 당신을 지켜줄 것입니다)]

사막 지하에서 볼 수 있는 스톰라이온이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바닥을 기어다니는 미니 스톰라이온을 소환한다. 스톰라이온은 적 공격 시 대상의 앞뒤를 빠르게 돌진해 왕복하며 스파크를 튀긴다. 돌진 자체에는 아무 피해량도 없지만, 돌진하며 생성된 스파크는 2초간 그 자리에 유지되며 적의 무적 프레임을 일부 무시하며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나사빠진 AI로 인해 단일몹에겐 별 효용이 없지만, 관통+지속피해를 주는 스파크의 특성상 다수의 몹이 뭉쳐있는 상황이나 사막의 무법자, 세상을 먹는 자같은 다관절 보스를 상대할 때 발군의 성능을 발휘한다.

가장 좋은 접두사는 무자비한(Ruthless)이 아닌 신화의(Mythical)다. 둘의 공격력 증가 수치가 같은 와중에, 후자의 경우 넉백 등의 옵션이 추가로 붙기 때문에 더 낫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 영=Brittle Star Staff,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0, 넉=2, 마=10, 시=32, 은=40,
드롭=,
링1=사막의 무법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거미불가사리, 영=Brittle Star, 툴팁=거미불가사리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사막의 포식자 드롭 무기.
사용 시 거미불가사리를 불러낸다. 거미불가사리는 적에게 돌진해 공격하며, 돌진을 4회 한 이후 부서져 내리고, 곧바로 빠르게 재생한다.
특이사항으로 거미불가사리가 소환된 채로 우클릭을 하면, 소환된 모든 거미불가사리들이 공격을 멈추고 플레이어 주위를 공전한다. 이 상태에서도 여전히 불가사리들의 적 타격 판정은 남아 있으며, 적과 부딪혔다고 해서 부서지지도 않는다. 또, 소환되어 있는 불가사리 하나 당 방어력이 5씩 증가한다.

어딘가 모자란 듯한 공격 방식으로 인해 서머너가 주 무장으로 쓰기엔 애매하지만, 높은 방어력을 제공해 주는 우클릭 모드 덕에 다른 직업군이 초반 부 무장으로 쓰기 좋다.

가장 좋은 접두사는 무자비한(Ruthless)이 아닌 신화의(Mythical)다. 둘의 공격력 증가 수치가 같은 와중에, 후자의 경우 넉백 등의 옵션이 추가로 붙기 때문에 더 낫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마법의 소라고둥, 영=Enchanted Conch,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0, 넉=2, 마=10, 시=35, 은=40,
구입=,
링1=바다의 왕,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한=소라게, 영=Hermit Crab, 확장자=gif, 툴팁=소라게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바다의 왕이 판매하는 무기.
사용 시 소라게를 불러낸다. 소라게는 땅에서 빠르게 기어다니거나 점프하며 적에게 접촉 피해를 입힌다. 만약 사용자와 멀어진다면 소라게는 빙글빙글 돌며 사용자에게 날아오지만 이 때에는 적에게 접촉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소라게의 피해량은 높지만 점프 높이가 높지 않아, 공중의 적들에 대한 견제가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AI도 심하게 구려터져서 울퉁불퉁하고 구멍이 많은 지형에서는 어딘가에 끼어 공격을 못하는 상황이 자주 나와 더욱 쓰기 힘들다. 그래도 특유의 높은 공격력 덕분에 지상의 적들은 빨리 잡을 수 있어서 아예 못 써먹을 수준은 아니다. 재소환 컨트롤을 응용하면 마법 무기처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한 방 피해량이 높은 특성 덕에 대미지가 잘 뽑힌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죽음의 응시 로드, 영=Deathstare Rod, 희소=Green,
유형=소환 무기, 공=20, 넉=2, 마=10, 시=35, 은=20,
드롭=,
링1=크툴루의 눈,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미니어처 크툴루의 눈, 영=Miniature Eye of Cthulhu, 확장자=webp,
추가=죽음의 응시 빔, 추가설명=,
툴팁=당신을 보고 있습니다)]

크툴루의 눈 드롭 무기.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위에 작은 눈을 소환하여 매 초마다 근처의 적에게 광선을 발사한다. 눈은 단 하나만 소환 가능하다.

사거리가 길고 벽 너머의 적도 공격할 수 있으며, 범위 공격 판정이라 초반 블러드 문이나 고블린 습격 등의 물량전에서 나름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다.[1] 또 눈은 푸른색의 발광 효과도 있어 초반 탐사에 약간의 도움도 줄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뻐끔버섯, 영=Puff Shroom,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4, 넉=2, 마=10, 시=35, 은=40,
드롭=,
링1=크래뷸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뻐끔전사, 영=Puff Warrior,
추가=점프 모습, 추가설명=,
추가2=뻐끔구름,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툴팁=당신을 자신감 있고 신나게 보호해줍니다)]

크래뷸론 드롭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를 졸졸 따라다니는 버섯 형태의 뻐끔전사를 소환한다. 뻐끔전사는 플레이어와 마주보려는 습성이 있다. 반경 22.5블록 이내에 적이 있다면 뻐끔전사는 적을 향해 점프하며 3개의 비관통성 구름을 발사해 공격한다.[2]

뻐끔전사는 할로우 나이트버섯 전사로부터 그 모습을 따 왔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일 피더, 영=Vile Feeder,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4, 넉=0.5, 마=10, 시=29, 은=40,
조합=,
링1=데모나이트 주괴, 링1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5) +,
링2=그림자 비늘,
글3=(9) +,
링3=칠흑나무, 링3문서=아이템/블록, 링3개행=,
글4=(20)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스캡 리퍼, 영=Scab Ripper,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6, 넉=0.5, 마=10, 시=30, 은=40,
조합=,
링1=크림테인 주괴, 링1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5) +,
링2=조직 샘플,
글3=(9) +,
링3=그늘나무, 링3문서=아이템/블록, 링3개행=,
글4=(20)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기 영혼을 먹는 자, 영=Baby Eater of Souls, 확장자=gif,
추가=미니 이터,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버프=바일 피더, 버프구분자=(버프), 툴팁=아기 영혼을 먹는 자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기 블러드 크롤러, 영=Baby Blood Crawler, 확장자=gif,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벽 모습,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툴팁=아기 블러드 크롤러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바닐라 오염 지대 보스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들.

바일 피더는 사용 시 근처 적에게 달라붙는 아기 영혼을 먹는 자를 소환한다. 미니언은 적에게 달라붙고[3] 커럽터의 채찍과 유사한 유도성 작은 이터들을 소환한다.

스캡 리퍼는 사용 시 적에게 달라붙는 아기 블러드 크롤러를 소환한다. 미니언은 적에게 달라붙어 피해를 입히고 하늘에서 2개의 핏방울을 낙하시켜 추가 피해를 입힌다. 핏방울은 적을 1회 관통한다. 아기 블러드 크롤러는 바닐라 거미 스태프의 거미처럼 벽을 기어다닐 수 있다.

둘이 분명 같은 티어, 같은 게임 진행도의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스캡 리퍼는 바일 피더보다 공격력이 약간 더 높은데다 미니언이 접촉 피해를 입힐 수 있어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스캡 리퍼는 다른 평범한 소환무기들처럼 무자비한(Ruthless)를 최고 접두사로 삼지만, 바일 피더는 위에 언급했던 몇몇 무기들과 같은 이유로 신화의(Mythical)를 최고 접두사로 삼는다.

둘 모두 밤의 눈의 재료로 사용 가능하고, 엑소 소환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 제작 트리에 포함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재의 꽃 스태프, 영=Cinder Blossom Staff, 희소=Orange,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6, 넉=2, 마=10, 시=30, 은=80,
조합=,
링1=화염초,
글2=(5) +,
링2=잿빛나무,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10) +,
링3=지옥석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3개행=,
글4=(10)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재의 꽃, 영=Cinder Blossom, 툴팁=뜨겁고 그을린 꽃이 당신 주위를 불안하게 떠다닙니다)]

지하세계를 탐험해 제작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의 뒤에 떠다니는 재의 꽃을 소환한다. 꽃은 주변 적에게 타오르는 잿덩이를 발사하고, 잿덩이는 블록을 통과할 수 있고 적을 최대 2회 관통한다. 잿덩이가 적을 타격하면 3~5잎의 작은 꽃 모양의 폭발을 일으키며, 파일:Terraria/불이야!.png불이야! 디버프를 입힌다. 재의 꽃은 단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

기계보스 1체 격파 이후 툰드라 화염꽃 스태프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축축한 스태프, 영=Dank Staff,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4, 넉=2.25, 마=10, 시=30, 은=80,
드롭=,
링1=하이브 마인드,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조합2=,
링21=썩은 덩어리,
글22=(3) +,
링22=썩은 물질, 링22모드=, 링22h=18,
글23=(7) +,
링23=데모나이트 주괴, 링2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23개행=,
글24=(8)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정한 살덩이, 영=Flesh of Infidelity, h=56,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0, 넉=1, 마=10, 시=10, 은=80,
드롭=,
링1=퍼포레이터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조합2=,
링21=척추뼈,
글22=(4) +,
링22=혈액 샘플, 링22모드=, 링22h=18,
글23=(10) +,
링23=크림테인 주괴, 링2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23개행=,
글24=(5) @,
링29=제단, 링29문서=오브젝트, 링29h=16)]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축축한 크리퍼, 영=Dank Creeper, 툴팁=축축한 크리퍼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살덩이 공, 영=Flesh Ball, 툴팁=왜 따라다니는거야?)]

모드 오염지대 보스들이 드롭하는 무기들으로, 제작도 가능하다.

축축한 스태프는 사용 시 소형 축축한 크리퍼를 불러낸다. 크리퍼는 적에게 달라붙어 피해를 입히고, 접촉 시 파일:Calamity Mod/부패한 뇌.png부패한 뇌 디버프를 유발한다.
다른 무기들에 비해 기본 공격력은 작지만, 적 위에 떠 있으려는 소환수의 성질에 의해 딜을 빠르게 욱여넣는 게 가능하다. 적들이 모여 있다면 크리퍼의 딜량도 같이 늘어나, 고블린 습격 등의 이벤트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부정한 살덩이는 이리저리 산만하게 튀어다니는 살덩이 공을 소환한다. 살덩이 공은 적 주위에서 튀어다니며 3회 점프할 때마다 위쪽으로 2개의 혈액 입자를 발사한다. 혈액 입자는 적에게 유도되려는 성질이 있지만 불록과 적을 관통할 수 없다.
여담으로 부정한 살덩이의 경우 더 높은 티어의 무기였으나 기존에 있던 응혈 스태프가 삭제되고 퍼포레이터가 드롭하는 무기로 바뀌었다.

축축한 스태프는 신화의(Mythical)를, 부정한 살덩이는 무자비한(Ruthless)을 최고 접두사로 삼는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별 포식자 격납고, 영=Star Swallower Containment Unit, 희소=Orange,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4, 넉=2.25, 마=10, 시=30, 은=80,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4)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8) +,
링3=창공석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4) +,
링4=운석 주괴,
글5=(4) @,
링5=모루, 링5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8=(, 글8개행=,
링8=설계도면 (침몰한 바다),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획득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별 포식자, 영=Star Swallower,
추가=산성 방울, 추가설명=,
툴팁=Mmmm myes)]
'이 단순한 생물은 플라즈마 운반을 위해 기계화되었다네. 흔해빠진 유기체 상태일 때보다 훨씬 유용하지.'
창공석 해금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드레이돈 소환 무기로, 툴팁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드레이돈 본인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사용 시 플레이어 주위를 뛰어다니는 기계 개구리를 소환한다. 적이 근처에 있을 경우 달려나가 중력의 영향을 받는 산성 방울을 발사하며, 개구리는 직접적인 접촉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가장 처음 접할 수 있는 드레이돈 소환 무기로, 사용 전 충전이 필요하다. 총 충전량 50에 1회 사용 시 0.08의 충전량을 소모해, 최대 625회 반복 사용할 수 있다. 게임 내내 625회까지 반복 사용할 일이 없긴 하지만.

공격이 적에게 맞기만 한다면 좋은 딜량을 보여주는데, 산성 방울에 유도성이 없어 움직이는 적은 도무지 맞추지 못한다. 현저히 낮은 실질적 딜량과 사용 전 충전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동티어대 바닐라 무기인 임프 스태프보다 뒤떨어진다.

여담으로, 미니언 버프 툴팁 'Mmmm myes'는 해외의 mmmm myes pet froge 밈에서 따 온 것이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청어 스태프, 영=Herring Staff,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5, 넉=1.25, 마=5, 시=29, 은=80,
보물=,
링1=심연, 링1모드=, 링1문서=지형, 링1문자만=,
글2=의, 글2트림=,
링2=고대의 보물 상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링2한줄로=,
글3=(100%),
글4=(, 글4개행=,
링4=스켈레트론, 링4문서=보스, 링4문자만=, 링4트림=,
글5=격파 시 잠금 해제),
보물2=,
링21=황산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
링22=열수 크레이트, 링22모드=, 링22문서=아이템/소모품, 링22h=24,
글26=(10%),
글27=(, 글27개행=,
링27=슬라임 갓, 링27모드=, 링27문서=보스, 링27문자만=, 링27트림=,
글28=/,
링28=월 오브 플레시, 링28문서=보스, 링28문자만=,
글2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청어, 영=Herring, 확장자=webp, 툴팁=청어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스켈레트론 이후 심연에서 획득할 수 있는 소환 무기.
사용 시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청어 3마리를 소환한다. 청어는 적에게 빠르게 돌진해 공격하며, 돌진 경로에 어두운 물 입자를 남긴다.[4] 청어는 벽을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지만 그 너머의 적을 공격하지는 못한다.

설명만 보면 별다른 효과가 없는 일반적인 몸박형 미니언 소환 무기에 불과하지만, 실상은 프리하드 최강의 소환 무기다. 무기 자체는 비슷한 시기에 획득할 수 있는 무기들의 절반 수준인 15의 공격력을 지니고 있지만, 한 번에 3마리의 청어를 소환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슬롯 하나당 공격력 40 이상의 미니언을 소환하는 것과 같다. 이는 하드모드 진입 이후 기계보스를 1마리 이상 격파했을 때 얻는 무기들과 비등한 수치라,[5] 슬갓 및 월오플과 싸울 때 크나큰 도움이 된다. 하드모드에 진입해서 새로운 소환 무기를 얻기 전까지 함께하게 될 국밥과도 같은 장비.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강령술사의 스태프, 영=Staff of Necrosteocytes,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31, 넉=3.5, 마=10, 시=29, 금=2, 은=40,
드롭=,
링1=암흑 소환사, 링1문서=몬스터/던전, 링1h=24,
글5=(4% /,
글6=6.67%,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소형 스켈레톤, 영=Small Skeleton,
추가=골질,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스켈레톤이 당신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던전의 암흑 소환사가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소형 스켈레톤을 소환한다. 스켈레톤들은 적을 향해 뛰어다니며 공격하며, 간혹 움직일 때마다 그 자리에 골질을 잠시동안 남겨 추가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취향에 따라 월오플전에서 사용해도 좋을 만큼의 성능을 가졌으며, 바로 밑의 밤의 눈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밤의 눈, 영=Eye of Night, 희소=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4, 넉=1, 마=10, 시=30, 은=80,
조합=,
링1=벨라돈나 정령 지팡이,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
링2=바일 피더,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스캡 리퍼,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3h=24,
글4=] +,
링4=임프 스태프, 링4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4h=24,
글5=+,
링5=강령술사의 스태프, 링5모드=,링5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5h=24,
글6=+,
링6=정제된 젤, 링6모드=, 링5h=24,
글7=(10)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밤의 눈, 영=Eye of Night, 구분자=(미니언),
추가=눈 세포, 추가설명=,
툴팁=괴상하게 쳐다본다)]

슬라임 갓 이후 제작 가능한, 밤의 칼날의 소환 무기 버전.
사용 시 사용자 위에서 산만하게 떠다니는 밤의 눈을 소환한다. 공격 시 적 근처를 맴돌며 세포를 쏘아댄다. 세포는 적에게 달라붙어 2회 피해를 입힌 후 소멸하고, 하나의 적에게 최대 4마리까지만의 밤의 눈이 들러붙을 수 있다.

분명 이전 티어대에서 준수한 성능을 보여준 무기들을 합쳐 만들었음에도 영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역시 청어 스태프에게 크게 밀려 잘 사용되지 않는 무기.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플랜테이션 스태프의 재료로써의 가치가 더 높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오염슬라임 스태프, 영=Corroslime Staff,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4, 넉=2, 마=10, 시=30, 금=2, 은=40,
드롭=,
링1=슬라임 갓,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진홍슬라임 스태프, 영=Crimslime Staff,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4, 넉=2, 마=10, 시=30, 금=2, 은=40,
드롭=,
링1=슬라임 갓,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오염슬라임, 영=Corroslime, 확장자=gif,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오염슬라임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진홍슬라임, 영=Crimslime, 확장자=gif,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진홍슬라임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슬갓 드롭 무기.
사용 시 기존의 슬라임 스태프와 비슷하게 지형에 통통 튀면서 적에게 근접 피해를 가하는 오염 슬라임/진홍 슬라임을 불러낸다. 생긴 건 다르게 생겼지만 스펙이나 공격 방식은 똑같다.
월 오브 플레시는 이 두 무기로부터 60%만의 피해를 입는다.

기본적인 성능부터가 청어 스태프에게 밀리는데 월오플 상대로 입히는 피해 감소의 페널티까지 붙어있어, 대부분의 경우 사용되지 않는 무기. 두 무기를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 상위 아이템도 없어, 창고 깊숙히 쳐박히거나 버려지기 일쑤다.

2.2. 하드모드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블랙 호크 조종기, 영=Black Hawk Remote,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5, 넉=1, 마=10, 시=24, 금=2, 은=40,
드롭=,
링1=월 오브 플레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블랙 호크, 영=Black Hawk,
추가=블랙 호크 총알, 추가설명=,
툴팁=전투기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월오플 드롭 소환 무기.
플레이어 주위를 날아다니고 주변에 적이 있으면 총알을 발사하는 작은 전투기를 소환한다. 일반 머스킷 총알을 사용 중이라면 그를 관통성 발광 총알로 바꿔 사용하며, 만약 특수 탄환을 인벤토리에 넣었다면 그 특성을 따라간다. 이코르 총알을 물려줄수도 있고 다른 총알도 쓸 수 있는 만큼 유틸성이 좋다. 또, 전투기는 50% 확률로 탄약을 소모하지 않는다.

데미지도 준수하고 적을 잘 따라가는데다 인식 범위도 넓어서 쌍둥이과 스켈레트론 프라임을 격파하는데 쓸만하다. 단 지형 관통을 못해서 탐사용으로는 영 별로다.

문로드 이후 소환 무기인 전술 역병엔진과 골리앗 이후 원거리 무기인 역병오염 SMG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고대의 얼음덩어리, 영=Ancient Ice Chunk, 확장자=gif,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5, 넉=2, 마=10, 시=25, 금=2, 은=40,
드롭=,
링1=얼음 덩굴손,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33.33%))]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얼음 덩굴손, 영=Ice Clasper, 구분자=(미니언),
추가=얼음 수정, 추가설명=,
툴팁=얼음 덩굴손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하드모드 설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얼음 덩굴손이 드롭하는 소환 무기.
사용 시 슬롯을 하나 소모해 얼음 덩굴손을 불러낸다. 미니언들은 적에게 난잡하게 돌진하며 공격한다. 적과 거리가 멀어지면 돌진을 멈추고 그 대신 얼음 조각을 발사해 피해를 입히고 3초간 파일:Terraria/서릿불.png서릿불 디버프를 유발한다.

하드모드에 진입하자마자 설원에 죽치고 있으면 쉽게 얻게 되는 무기로, 피의 스태프보다 강력한 대미지를 뽐낸다. 다만 원거리 공격의 피해량이 근거리 돌진 공격보다 약해, 보스전에서 거리 조절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입수침범=,
한=부식성 지팡이, 영=Caustic Staff,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5, 넉=2, 마=10, 시=25, 금=2, 은=40,
조합=,
링1=아무 악의 플라스크, 링1확장자=gif, 링1문서=아이템/소모품/포션, 링1h=18,
글2=(5) +,
링2=사망초,
글3=(2) +,
링3=[데모나이트/크림테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3개행=,
글4=(10) +,
링4=밤의 영혼,
글5=(10) @,
링9=제단, 링9문서=오브젝트, 링9h=16)]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식성 드래곤, 영=Caustic Dragon, 확장자=gif,
추가=부식성 가시, 추가설명=,
툴팁=작은 정글 드래곤이 당신을 따라다닙니다)]

하드모드에서 제작 가능한 무기.
사용 시 검은색의 부식성 드래곤을 소환한다. 드래곤은 플레이어를 뒤따라다니며 중력의 영향을 받는 가시를 발사한다. 가시는 블록을 통과할 수 있고 최대 2마리의 적을 관통한다. 소환 무기나 도구를 들고 있을 시 가시는 파일:Calamity Mod/죽음의 각인.png죽음의 각인, 파일:Terraria/이코르(디버프).png이코르, 파일:Terraria/부식성 맹독.png부식성 맹독, 파일:Terraria/저주받은 불길.png저주받은 불길, 파일:Calamity Mod/지옥불.png지옥불 디버프를 1~3초동안 반복적인 순서로 부여한다.

무기 자체의 딜량은 높은 편이 아니라, 디버프용 보조 소환수로 하나 정도 깔아두면 좋은 무기. 둘 이상을 소환한다고 해서 입히는 디버프 수가 늘어나는 건 아니기에, 다수의 드래곤을 소환하는 건 오히려 심각한 딜로스로 이어질 수 있음에 주의.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빙의된 두루마리, 영=Haunted Scroll, 확장자=webp, 하드=,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5, 넉=3, 마=10, 시=24, 금=2, 은=40,
조합=,
링1=아무 나무, 링1문서=아이템/블록, 링1확장자=gif,
글2=(10) +,
링2=빛의 영혼,
글3=(5) +,
링3=밤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4=그릇, 링4문서=아이템/가구/장식, 링4h=8,
글9=@,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빙의된 접시, 영=Haunted Dishes, 확장자=gif,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투사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수정 조각, 추가3설명=,
툴팁=빙의된 접시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하드모드에서 제작 가능한 무기.
사용 시 지면을 뛰어다니는 접시 3개로 이루어진 미니언을 소환한다. 접시는 적에게 접촉 피해를 입히지 않으며, 빠른 속도의 접시를 투척해 공격한다. 접시가 적과 부딪히면 3개의 조각으로 깨지며, 각 조각들은 무기 공격력 50%의 피해를 입힌다. 플레이어와 멀리 떨어진다면, 미니언은 3개의 접시로 나눠져 비행하며 플레이어를 따라온다.

과거 원소의 도끼의 재료로 쓰일 때도 있었으나 이젠 그 재료에서마저도 빠져, 잘 쓰이지 않는 비운의 무기.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조개껍데기 스태프, 영=Shellfish Staff,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70, 넉=2, 마=10, 시=25, 금=4, 은=80,
드롭=,
링1=대합 조개,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25%) (하드모드에서),
보물2=,
링21=프리즘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7%),
글23=(하드모드에서, 글23개행=,
링23=대합 조개, 링23모드=, 링23문서=몬스터, 링23문자만=,
글25=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조개껍데기, 영=Shellfish, 확장자=gif, 툴팁=조개껍데기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대합 조개가 하드모드에서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주변의 적에게 달라붙어 피해를 입히는 조개껍데기[6]를 소환한다. 조게껍데기 하나는 미니언 슬롯을 2칸 차지한다. 조개껍데기는 최초 적에게 달라붙을 때에만 한 번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고, 적에게 달라붙어 있는 동안에는 파일:Calamity Mod/조개껍데기 박수.png조개껍데기 박수 디버프를 적에게 유발한다. DR 99% 이상인 적은 이 디버프에 면역을 갖는다.

주 공격 방식이 돌진도, 투사체 발사도 아닌 디버프인 유일한 소환 무기. 잡다한 디버프를 입히는 무기는 게임 초반부터 엔드게임까지 널리고 널렸지만 어디까지나 보조적 효과일 뿐, 디버프가 피해량 대부분의 지분을 차지하는 무기는 모드 내에서 조개껍데기 스태프가 유일하다. 이 때문인지 대미지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서, 주 무장으로 사용하기엔 하자가 많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빙하의 포옹, 영=Glacial Embrace,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48, 넉=4.5, 마=10, 시=24, 금=4, 은=80, 예시=공격,
드롭=,
링1=크라이오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2=(10%))]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추가=가시, 추가설명=,
한=냉기의 보호막, 영=Cryo Shield, 버프=빙하의 포옹, 버프구분자=(버프), 툴팁=고대 얼음성의 마법이 당신을 도와줍니다)]

크라이오젠이 드롭하는 무기.
공격 방식이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뉜다. 좌클릭 시 소환수 슬롯 1개를 소모하여 플레이어를 감싸는 얼음 보호막 1개와 그 주위를 도는 얼음 가시를 1개 생성한다. 이 얼음 가시는 보호막 주위를 맴돌다 근처의 적에게 발사되며, 발사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재생된다. 무기 사용 1회마다 가시가 하나씩 늘어나지만, 보호막은 중첩되지 않는다.[7]
우클릭 공격 시 커서에 가장 가까운 적에게 그 주변을 공전하는 가시를 소환하여[8]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히며, 시간이 지나면 일제히 대상을 향해 돌격한다. 피격당한 적은 반드시 파일:Calamity Mod/동상.png동상 디버프에 걸린다.

우클릭 공격은 대상을 지정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괴자의 머리 뒤쪽에 사용해 가시가 머리를 계속 때리게 하는 방법으로 파괴자를 쉽게 잡을 수 있다. 바다의 무법자도 마찬가지.

여담으로 과거에는 차가운 신성(Cold Divinity)이라는 이름의 전설 아이템이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툰드라 화염꽃 스태프, 영=Tundra Flame Blossoms Staff, 하드=, 희소=Pink,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40, 넉=3, 마=10, 시=25, 금=4, 은=80,
조합=,
링1=얼음꽃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재의 꽃 스태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빛의 영혼, 링3개행=,
글4=(5)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툰드라 화염꽃, 영=Tundra Flame Blossom,
추가=툰드라 화염꽃 구체, 추가설명=,
툴팁=균형과 아름다움의 완벽한 화합)]

기계보스 1체 격파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 주위를 원형으로 도는 분홍색 꽃을 세 송이 소환한다. 꽃들은 적을 관통하지 않는 툰드라화염 오브를 발사해 공격하며, 발사하기 전에는 크기가 약간 커진다. 꽃은 벽 너머의 적도 감지해 공격할 수 있고, 오브는 파일:Calamity Mod/동상.png동상, 파일:Calamity Mod/지옥불.png지옥불 디버프를 3초간 유발하며 적과 접촉하면 3~5잎의 꽃 모양 폭발을 일으킨다. 한 번에 오직 3송이의 꽃만 존재할 수 있다.

발사체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데다 유지 시간도 길고 벽을 통과하기 때문에 지하에서 매우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유도 성능도 나쁘지 않아 보조 소환수로 사용하기 좋다.

골렘 이후 말라버린 꽃 스태프로 강화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불의의 항진, 영=Igneous Exaltation,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4, 넉=4.5, 마=10, 시=24, 금=4, 은=80, 예시=공격,
조합=,
링1=부정한 코어, 링1모드=, 링1h=24,
글2=(10) +,
링2=혼돈의 정수, 링2모드=,
글3=(5),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불의의 검, 영=Igneous Blade, 툴팁=검이 당신의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기계보스 1체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
공격 방식이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뉘는데, 좌클릭 시 사용자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검을 소환한다. 검들은 적에게 접촉 피해를 입힌다. 검을 소환한 채로 우클릭 시 모든 검들을 커서 방향으로 발사하며,[9] 각각의 검은 최대 3마리의 적을 타격할 수 있다. 검이 적을 타격할 때마다 3개의 작은 검들이 하늘에서 낙하해 추가 피해를 입힌다.

미니언들이 능동적으로 적을 타겟팅해 공격하지 않아, 소환 무기라기보다는 마나를 사용하는 일반 마법 무기와 같은 수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잊혀진 정점의 지팡이, 영=Forgotten Apex Wand,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8, 넉=4, 마=10, 시=25, 금=4, 은=80,
조합=,
링1=금지된 파편,
글2=(2) +,
링2=[아다만타이트/티타늄] 주괴,
글3=(5) +,
링3=자수정,
글4=(4)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고대의 광물 상어, 영=Ancient Mineral Shark, 툴팁=오래 되었지만 여전히 강력합니다)]
'과거에 턱을 잃어버린 것 같습니다.'
기계보스 2체 격파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광물 상어를 소환한다. 상어는 적을 향해 돌진해 모래 폭발을 일으켜 피해를 입히고 그 반동으로 튕겨나온다. 모래 폭발은 33.33%의 확률로 파일:Calamity Mod/갑옷 박살.png갑옷 박살 디버프를 1.5초 유발힌다.

자체 공격력은 나쁘지 않지만, 공격 방식이 적을 관통하지 않고 튕겨나와 다시 돌진하는 방식이기에 성능은 평범한 수준이다.

플랜테라 이후 모래 샤크네이도 스태프로 강화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다이달로스 골렘 지팡이, 영=Daedalus Golem Staff,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70, 넉=3, 마=10, 시=25, 금=4, 은=80,
조합=,
링1=냉동석 주괴, 링1모드=, 링1h=18,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다이달로스 골렘, 영=Daedalus Golem,
추가=다이달로스 탄환,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수정 골렘이 당신을 따라다닙니다)]
'빛나는 탐욕의 신'
기계보스 2체 격파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
사용 시 슬롯을 하나 소모해 다이달로스 골렘을 소환한다. 골렘은 아래 두 가지 패턴 중 무작위 방식으로 공격한다.
• 손에서 다이달로스 탄환 투사체를 발사해 피해를 입히고 파일:Terraria/서릿불.png서릿불 디버프를 3초간 유발한다.
• 손을 모아 잠시 집중한 뒤 붉은 번개를 내뿜는다. 번개는 적을 한 번 관통할 수 있다.
골렘은 벽 너머의 적을 감지해 공격할 수 있고, 투사체들 또한 블록을 통과한다.

소환수가 지상에 붙어있는 게 좀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강력한 딜량과 레이저의 괜찮은 명중률 덕에 기계보스전에 쓰기 좋다.

여담으로 미니언은 할로우 나이트의 보스 수정 수호자의 모습을 본따 만들어졌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심해의 스태프, 영=Deepsea Staff,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40, 넉=2, 마=10, 시=25, 금=4, 은=80,
드롭=,
링1=바다의 무법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0% /,
글6=25%,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수중 별, 영=Aquatic Star, 툴팁=수중 별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바다의 무법자 드롭 무기로, 사막의 무법자가 드롭하는 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의 강화판 정도의 느낌이다.
사용 시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불가사리를 소환한다. 불가사리는 적에게 빠르게 돌진하며 피해를 입힌다. 위의 부서지기 쉬운 별의 지팡이와 비슷한 무기인 셈인데, 우클릭으로 방어력 증가 등의 옵션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미니언의 성능은 밑의 잠든 유황추적자와 비슷하다.[10] 그 외 별다른 특징은 없는 단순한 무기. 무기를 획득하는 시점은 보통 기계 보스를 한 마리 정도 남겨 둔 상태일텐데, 불가사리의 강력한 공격력과 빠른 속도 덕분에 마지막 기계 보스 클리어에 큰 도움을 준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잠든 유황추적자, 영=Dormant Brimseeker,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42, 넉=3, 마=10, 시=25, 금=4, 은=80, 예시=공격,
드롭=,
링1=브림스톤 엘레멘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유황추적자, 영=Brimseeker, 확장자=gif,
추가=광폭화 모습, 추가설명=, 추가확장자=gif,
추가2개행=, 추가2=유황추적 불덩어리, 추가2설명=,
툴팁=너한테서 뭔가를 원하니?)]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면 유황추적자가 더 무섭게 변한 것 같습니다.
브림스톤 엘리멘탈 드롭 무기.
사용 시 유황추적자를 소환한다. 유황추적자는 적에게 일직선으로 돌격해 피해를 입히며 벽 너머의 적을 감지할 수 있다.
소환수 슬롯이 전부 차 있는 경우에 무기 사용 시, 유황추적자를 하나 더 소환해[11] 반경 25블록의 아우라를 전개하며, 추가 유황추적자는 파일:Calamity Mod/유황 불꽃.png유황 불꽃 디버프를 유발하는 불덩어리를 발사한다. 아우라 내의 소환수들은 광폭화해 돌진 속도가 훨씬 빨라져, 그 피해량이 급증한다. 아우라는 13.67초간 유지되며, 오직 하나만 전개할 수 있다. 센트리를 하나 더 소환하는 셈.
유황추적자는 바다의 무법자파괴자에게 50%만의 피해를 입힌다.

서머너의 하드모드 초중반 필수 무기다. 미니언의 기본 대미지도 강력한데 우클릭으로 광폭화된다면 다른 무기들은 범접할 수 없는 무지막지한 dps을 보여준다. 이 무기의 획득 시점은 위의 심해의 스태프와 비슷하게 기계보스 1~2마리 격파 이후가 될 텐데, 이른 획득 시점에도 불구하고 플랜테라는 물론 골렘까지 씹어먹어버리는 무시무시한 성능을 가졌다. 사실상 브림스톤 엘리멘탈을 서머너 필수 보스로 만들어버린 주된 이유.

여담으로, 아이템 및 미니언의 이름과 외형은 인디 게임 Celeste의 몹 'Seeker'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미니언 버프 툴팁 또한 해당 몹을 조우할 수 있는 거울 신전에서 따 온 것.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고정된 스캐너, 영=Mounted Scanner, 희소=Pink,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4, 넉=2, 마=10, 시=24, 금=4, 은=80,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5)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5) +,
링3=공포의 영혼,
글4=(20) +,
링4=[미스릴/오리칼쿰]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10),
글6=@, 글6개행=,
링6=하드모드 모루,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미행성),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고정된 스캐너, 영=Mounted Scanner, 구분자=(미니언), 툴팁=강력한 기계가 당신 주위를 따라다닙니다)]

스켈레트론 프라임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 주위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스캐너를 소환한다. 주위에 적이 있을 경우 2.08초마다 빨간 광선을 발사한다. 광선은 적을 무한히 관통할 수 있지만 블록은 통과하지 않는다.
고정된 스캐너는 바다의 무법자, 파괴자에게 각각 50%, 55%만의 피해를 입힌다.

드레이돈 무기인 만큼 충전이 필요하며, 최대 충전량 85에 1회 사용 시 0.85의 충전량을 소모한다. 총 100회 사용할 수 있는 것.

무한관통이라는 공격 특성 상 앞서 서술한 페널티에도 불구하고 해당 보스들에게 다른 무기들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여 준다. 위의 빙하의 포옹과 함께, 바다의 무법자나 파괴자에게 추천할 만 한 무기이다. 재료에 공포의 영혼이 들어가는 만큼, 본인이 서머너라면 첫 기계 보스로 스켈레트론 프라임을 잡는 걸 고려해 보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입수침범=,
한=복수의 태양 스태프, 영=Vengeful Sun Staff, 하드=, 희소=Light Purple,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60, 넉=1.25, 마=10, 시=25, 금=7, 은=20,
조합=,
링1=태양 영혼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시야의 영혼,
글3=(3) +,
링3=힘의 영혼,
글4=(3) +,
링4=공포의 영혼,
글5=(3) +,
링5=햇빛의 정수, 링5모드=,
글6=(5)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태양신 영혼, 영=Solar God Spirit, 툴팁=격노한 태양 정령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모든 기계보스 격파 이후 제작할 수 있는 태양 영혼 스태프의 강화판.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 위에 태양 영혼을 소환한다. 영혼은 적에게 노란 비관통성 광선을 발사하며, 오직 하나의 태양 영혼만 소환될 수 있다.

기본적인 특성은 태양 영혼 스태프와 동일하지만 공격 속도가 더 빠르며, 레이저에 적중한 적에게 폭발을 일으켜 피해를 준다.
피해량이 나쁘지 않으며 사거리와 정확성도 좋기에 보조무기로 딱이다. 슬롯도 하나밖에 차지하지 않아, 문로드까지 사용해도 좋을 만큼의 성능을 보인다

폴터가스트 이후 시리우스로 강화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무질서한 예배, 영=Entropy's Vigil,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47, 넉=2, 마=10, 시=25, 금=9, 은=60,
드롭=,
링1=칼라미타스 클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쉬머2=,
링21=비탄의 재,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1h=24,
글23=(,
링23=쉬머, 링23문서=액체, 링23트림=,
글24=에 빠뜨리기), 글24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칼라미타미니, 영=Calamitamini, 확장자=gif,
추가=유황 레이저, 추가설명=,
버프=무질서한 예배, 버프구분자=(버프), 툴팁=칼라미타스와 형제들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카타스트로미니, 영=Catastromini, 확장자=gif, 버프=무질서한 예배, 버프구분자=(버프), 툴팁=칼라미타스와 형제들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카타클리미니, 영=Cataclymini, 확장자=gif, 버프=무질서한 예배, 버프구분자=(버프), 툴팁=칼라미타스와 형제들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짭칼 드롭 무기.
사용 시 2개의 미니언 슬롯을 소모해 위의 미니언들을 각각 한 마리씩, 총 3마리를 불러낸다. 사용 가능한 미니언 슬롯이 1개 뿐이라면 칼라미타미니만 소환된다. 미니언들은 블록을 통과해 이동할 수 있지만, 벽 너머의 적을 공격하지 못한다.
각각의 미니언들은 아래의 공격 방식을 따른다.
• 칼라미타미니: 적 근처에서 유황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점점 가속하는 성질이 있고 적을 관통하지 않으며, 파일:Calamity Mod/유황 불꽃.png유황 불꽃 디버프를 입힌다.
• 카타스트로미니: 적을 향해 반복적으로 돌진한다.
• 카타클리미니: 적과 가까운 거리에서 유황불을 방사한다. 유황불은 최대 2개의 대상을 관통하며, 파일:Calamity Mod/유황 불꽃.png유황 불꽃 디버프를 입힌다.

직관적으로 보이듯이, 무기를 드롭하는 칼라미타스 클론과 그의 하수인들에게서 소환수들의 모습과 이름을 따 왔다. 무기 성능은 좋은 편으로, 서머너의 하드모드 중반을 책임져준다. 각각 이동속도가 빠르고 많은 수가 다각도에서 공격하므로 딜로스도 상대적으로 적고 깡딜도 센 편. 플랜테라를 잡을 때 쓰기 알맞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바닐라 아이템인 안구 스태프의 강화판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12] 무기 사용 시 소모하는 슬롯보다 더 많은 수의 미니언을 불러내며, 미니언의 종류마다 각각 다른 공격 방식을 지닌다. 미니언들의 이름도 '원본 보스의 이름-mini'의 형식을 띤다.

슈칼 이후 비탄의 재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바이러스성 발아, 영=Viral Sprout,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0, 넉=2, 마=10, 시=19, 금=9, 은=60,
조합=,
링1=다년생 주괴, 링1모드=,
글2=(12)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샐비어 스피릿, 영=Sage Spirit, 확장자=gif,
추가=샐비어 바늘, 추가설명=,
툴팁=가까이 있기엔 불편한 것)]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
사용 시 적을 발견하면 적의 주위를 돌며 가시 슬라임처럼 가시 3개를 발사하는 꽃을 소환한다. 해당 투사체는 기본적으로 초당 45의 피해를 주며 해당 소환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지속 피해를 입히는 파일:Calamity Mod/샐비어 독.png샐비어 독 디버프를 가한다.

소환수의 공격 명중률이 그리 좋지 않아, 대부분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무기.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나열=,
한=모래 샤크네이도 스태프, 영=Sand Sharknado Staff,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94, 넉=2, 마=10, 시=20, 금=9, 은=60,
조합=,
링1=잊혀진 정점의 지팡이,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거대한 비늘, 링2모드=, 링2h=24,
글3=+,
링3=고대의 천, 링3h=20, 링3개행=,
글4=(5) +,
링4=창공석 주괴, 링4모드=,
글5=(10)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샌드네이도, 영=Sandnado, 확장자=webp,
추가=소형 모래상어, 추가설명=,
툴팁=샌드네이도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플랜테라 이후 제작 가능한 잊혀진 정점 지팡이의 강화판.
사용 시 기존의 태풍의 스태프와 비슷하게 적을 향해 날아가며 자폭하는 모래 상어를 투척하는 샌드네이도를 불러낸다. 태풍의 스태프와는 달리 적이나 지형에 들이박은 모래 상어는 시체로 조각나지 않고 그대로 폭발하며 사라진다.

별다른 부가 효과는 없지만, 기본 공격력부터 94로 굉장히 높고 투사체 정확성도 높은데다 소환수 AI도 좋다. 무엇보다 다음 보스들인 아우레우스, 레비아탄, 골렘이 전부 덩치도 크고 상어에 잘 맞아서, 동티어대 최고의 무기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위 벨처 스태프, 영=Gastric Belcher Staff,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60, 넉=1, 마=10, 시=20, 금=9, 은=60,
드롭=,
링1=레비아탄과 아나히타,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위 변이체, 영=Gastric Aberration, 확장자=webp,
추가=위 거품,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위 토사물, 추가2설명=,
툴팁=수중 변이체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레비아탄이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레비아탄이 불러내던 수중 변이체를 소환한다. 변이체는 대상을 향해 적을 최대 2회 관통하는 토사물을 발사하며, 토사물은 파일:Terraria/부식성 맹독.png부식성 맹독 디버프를 유발한다. 세번째 공격마다 토사물 대신 크기가 다른 5방울의 거품을 무작위로 내뿜으며, 거품은 적과 부딪힐 때까지 짧은 시간 동안 체공한다.

미니언의 투사체가 느린 데다가 중력의 영향도 받기에, 공격 대상의 속도가 빠르다면 빗맞히는 공격이 확 늘어나 처참한 dps를 보인다. 획득 이후 만날 보스인 아우레우스골렘이 덩치는 크지만 속도도 만만찮게 빨라, 애매한 성능을 가진 무기. 그나마 인페르넘에서는 둘 모두 속도가 느려, 이 무기가 쓸만해진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버려진 슬라임 스태프, 영=Abandoned Slime Staff, 하드=, 희소=Lime,
유형=소환 무기, 공=56, 넉=3, 마=40, 시=20, 금=9, 은=60,
드롭=,
링1=아스트랄 슬라임,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글2=(5%),
글8=(, 글8개행=,
링8=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스트랄 젤리, 영=Astral Jelly, 확장자=gif,
추가2=아스트라겔돈 레이저,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툴팁=오직 당신을 보호하기 위해 하늘에서부터 돌아왔습니다!)]
하늘에서 떨어진 이 흉측한 유물은 조용히 비극의 노래를 부릅니다...
아우레우스 이후 아스트랄 슬라임이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바위박힌 아스트랄 슬라임을 소환한다. 슬라임은 주변 적을 향해 점프하거나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노란 레이저를 발사해 공격한다. 특이한 점으로, 슬라임은 소환할 때 남아있는 모든 소환수 슬롯을 소모하며, 차지한 슬롯 수에 따라 크기와 피해량이 증가한다.[13]또한 이 무기를 들고 있을 시 점프 속도가 10% 증가한다.[14] 슬라임의 모든 공격은 파일:Calamity Mod/아스트랄 전염.png아스트랄 전염을 2초간 부여한다.

미니언은 현재 삭제된 보스 아스트라겔돈 슬라임의 모습을 가져와 제작되었다. 무기 툴팁과 미니언 버프 설명의 '하늘(heaven)'과 '혐오스러운(disgust)'도 해당 보스 테마곡인 Cosmic Disgust를 참고한 것.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플랜테이션 스태프, 영=Plantation Staff, 하드=, 희소=Yellow,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58, 넉=1, 마=10, 시=20, 금=12,
조합=,
링1=칼날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밤의 눈,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살아있는 파편,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추가=돌진 시, 추가설명=, 추가확장자=gif,
추가2개행=, 추가2=가시공, 추가2설명=,
추가3=플랜테라 씨앗,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추가4=식물 촉수, 추가4확장자=gif, 추가4설명=,
추가5개행=, 추가5=포자 구름, 추가5설명=,
한=미니 플랜테라, 영=Mini Plantera, 확장자=gif, 버프=플랜테이션, 툴팁=미니 플랜테라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플랜테라 이후 제작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아래의 3가지 패턴을 반복하는 미니 플랜테라를 소환한다.
• 적을 향해 가시공을 뱉고 씨앗을 발사한다. 가시공은 적에게 들러붙어 2회 피해를 입힌다.
• 포자 구름을 방출하고 주변에 촉수가 자라난다. 직후에는 적을 향해 계속 돌진한다.
• 돌진을 끝마치고 촉수가 떨어져 나간다. 떨어진 촉수는 적에게 유도되어 달라붙은 뒤 추가 피해를 입힌다.
미니 플랜테라는 미니언 슬롯을 3칸 차지하고, 오직 한 마리만 소환될 수 있다.

무기의 전체적인 빛깔도 그렇고, 플랜테라 이후 살아있는 파편을 재료로 소모해 제작한다는 점으로 인해, 소환 무기 버전 테라 블레이드라고 볼 수 있다.
미니 플랜테라는 공격 범위가 넓고 미니언 자체의 AI도 좋아, 테라 블레이드가 해당 티어대에서 워리어에게 좋았던 것처럼 슬롯 3칸의 값을 충분히 해낸다. 한 마리밖에 소환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쉬울 따름.

문로드 이후 원소의 도끼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반혼접, 영=Resurrection Butterfly,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66, 넉=1, 마=10, 금=12,
조합=,
링1=나비의 가루, 링1h=20,
글2=(2) +,
링2=생명 합금괴,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심령체,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4=비단, 링4h=20,
글5=(40) @,
링9=베틀, 링9h=16)]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자주색 나비, 영=Purple Butterfly, 확장자=gif, 버프=반혼접, 버프구분자=(버프), 툴팁=벚꽃 아래에서 잠들어라\, 홍백의 나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분홍색 나비, 영=Pink Butterfly, 확장자=gif,
추가=벚꽃 탄환, 추가설명=,
버프=반혼접, 버프구분자=(버프), 툴팁=벚꽃 아래에서 잠들어라\, 홍백의 나비)]

동방요요몽의 최종보스 사이교우지 유유코반혼접 모티브인 무기. 사용 시 기존의 안구 스태프와 유사하게, 1개의 소환수 슬롯을 소모해 한 쌍의 나비를 불러낸다. 분홍색 나비는 적 근처에서 원거리 공격을 하며, 자주색 나비는 적에게 다가가 돌진 공격을 한다.
무기의 피해량은 좋지만, 적이 순간적으로 빠르게 이동하면 이걸 쫒는 과정에서 딜로스가 생긴다. 게다가 치명적인 버그가 존재하는데, 공격 판정이 이상하게 적용되어 소환수가 디스폰되기 일쑤다. 그렇기 때문에 Summoners' Association 등의 모드로 남은 소환수 슬롯을 계속해서 확인해 줘야 한다.

소환수의 툴팁 메세지인 '벚꽃 아래에서 잠들어라, 홍백의 나비' 는 동방요요몽의 실제 인게임 대사이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연료성 세포 묶음, 영=Fuel Cell Bundle,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5, 넉=7, 마=10, 금=12,
드롭=,
링1=질병전이체 골리앗,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미니 질병전이체, 영=Mini Plaguebringer,
추가개행=, 추가=역병 미사일,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유도성 역병 미사일,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툴팁=작은 역병 벌이 당신을 따라다닙니다)]

사용 시 공중으로 플라스크를 던진다. 플라스크가 블록에 닿아 깨지면 슬롯을 1개 소모해 작은 질병전이체 골리앗 모양의 미니언을 한 마리 소환한다. 투척한 플라스크는 피해량이 없다.
소환수는 적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폭발성 미사일을 발사하고, 이 미사일은 낮은 확률로 유도성 미사일로 대체된다. 두 미사일 모두 90%의 피해를 입히며, 적은 관통하지 못하지만 블럭은 관통한다. 또, 모든 미사일은 파일:Calamity Mod/역병.png역병 디버프를 유발한다. 소환수의 공격은 느리게 시작해 점점 빨라지며, 대상이 바뀌면 공격 속도가 초기화된다.

동티어대 소환 무기 중 가장 강력한 무기로, 문로드까지 굉장히 좋은 성능을 보인다. 본인이 서머너라면, 골렘 직후 이 무기와 함께 질병전이체 갑옷 파밍을 위해 골리앗을 잡는 걸 추천한다.

문 로드 이후 전술 역병엔진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감염된 원격 조종기, 영=Infected Remote, 하드=, 희소=Yellow,
유형=소환 무기, 공=50, 넉=5, 마=10, 금=12, 예시=공격,
드롭=,
링1=질병전이체 골리앗,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225px, 나열=,
한=바이릴리, 영=Virili,
추가개행=, 추가=유도성 역병 미사일,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역병 벌,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아기 질병전이체,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툴팁=그녀와 포옹할 수 없다는 게 아쉽군)]
'등 뒤에 붙어있는 한 장의 메모:
경고: 극도로 강한 부식성과 전염성을 지닌 개체.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것.'
사용 시 소환수 슬롯 3칸을 소모하여, 중복 소환이 불가능한 바이릴리를 불러낸다. 공격 방식은 골리앗의 그것과 굉장히 흡사한데, 아래의 패턴을 반복한다.
• 적 위로 이동한 뒤 아래로 돌진하며, 이를 6회 반복한다.
• 적의 대각선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6회 돌진하며, 돌진 회당 8발의 유도성 로켓을 발사한다.
• 적 위에서 정지비행하며 작은 역병 벌들과 아기 질병전이체를 소환한다. 역병 벌들은 적에게 유도되며, 아기 질병전이체는 적에게 3회 돌진 후 소멸한다.
바이릴리의 모든 공격은 파일:Calamity Mod/역병.png역병 디버프를 입힌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입수침범=, 나열=,
한=말라버린 꽃 스태프, 영=Wither Blossoms Staff,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50, 넉=3, 마=10, 금=12,
조합=,
링1=툰드라 화염꽃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질병 세포 보관함, 링2모드=,
글3=(15),
글9=@, 글9개행=,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말라버린 꽃, 영=Wither Blossom,
추가=말라버린 가시, 추가설명=,
툴팁=역병이 당신 주위를 맴돕니다)]

사용 시 2개의 미니언 슬롯을 사용하여 플레이어 주위를 공전하는 말라버린 꽃을 4송이 소환한다. 각 꽃은 0.5슬롯을 차지한다.
적 공격 시 대상에게 유도되는 말라버린 가시를 발사하며, 가시는 파일:Calamity Mod/역병.png역병 디버프를 건다.

문 로드 이후 필멸의 꽃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스타스폰 헬릭스 스태프, 영=Starspawn Helix Staff, 하드=, 희소=Cya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03, 넉=1.25, 마=10, 금=16,
드롭=,
링1=아스트럼 데우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스트랄 프로브, 영=Astral Probe,
추가=아스트랄 레이저,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아스트랄 프로브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플레이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아스트랄 프로브를 소환한다. 적에게 다가가지 않지만, 유도성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는 블록을 통과할 수 있으며 2초간 파일:Calamity Mod/아스트랄 전염.png아스트랄 전염 디버프를 유발한다.

소환수의 탐지 거리는 1920×1080p 기준으로 화면 밖에 있는 적까지 공격할 정도로 길고, Dps는 좋지 않지만 ai가 좋아서 잡몹을 처리할 때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2.3.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원소의 도끼, 영=Elemental Axe,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57, 넉=5, 마=10, 시=15, 금=24,
조합=,
링1=테라프리즈마,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플랜테이션 스태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은하의 특이점,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생명 합금괴, 링4모드=, 링4h=24,
글5=(5) +,
링5=루미나이트 주괴, 링5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5개행=,
글6=(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원소의 도끼, 영=Elemental Axe, 구분자=(미니언), 확장자=gif, 툴팁=원소의 도끼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원소 소환 무기.
사용 시 사용자 주변에 떠다니는 도끼를 불러내며, 도끼는 주변의 적에게 공격적으로 돌진한다. 도끼는 벽 너머의 적도 감지해 공격하며, 돌진 경로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준다. 피격된 적은 1초간 파일:Calamity Mod/원소의 혼합물.png원소의 혼합물 디버프를 입는다.
폭풍의 방직공에게는 50%만의 피해를 입힌다.

성능은 상당히 우수한 편. 포문 서머너 초반을 책임지는 무기다. 준수한 피해량에다가 관통 성질도 가지고 있어 보스전과 잡몹전 양면 모두 훌륭하게 수행해 낸다.

이름에는 도끼가 들어가긴 하지만, 소환 무기인 만큼 나무를 베거나 근접 무기로 사용할 수 없다.

엑소급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필멸의 꽃, 영=Flowers of Mortality,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72, 넉=5, 마=10, 시=15, 금=24,
조합=,
링1=말라버린 꽃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은하의 특이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5)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5),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필멸의 꽃, 영=Flower of Mortality, 구분자=(미니언), 툴팁=천상의 꽃이 당신 주위를 맴돕니다)]

또 다른 원소 소환 무기로, 말라버린 꽃 스태프의 상위 무기이자 얼음꽃 스태프의 최종 강화판.
사용 시 미니언 슬롯 3개를 사용해 플레이어 주위를 공전하는 꽃을 5송이 소환한다.[15] 꽃은 유도성 무지개 투사체를 발사하며, 적 명중 시 이따금씩 파편으로 분해된다. 투사체와 그 파편 모두 블록을 통과할 수 있지만 적을 관통하지 못하고, 투사체는 0.5초간 파일:Calamity Mod/원소의 혼합물.png원소의 혼합물 디버프를 입힌다.

무기 대미지가 나쁘지 않고 적 감지 거리 또한 길어, 위의 원소의 도끼와 밑의 전술 역병엔진이 메인 딜을 책임져 줄 동안 주변 적을 정리해 주는 보조 무기로 사용하기 좋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술 역병엔진, 영=Tactical Plague Engine,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40, 넉=0.5, 마=10, 시=14, 금=24,
조합=,
링1=블랙 호크 조종기,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0,
글2=+,
링2=연료성 세포 묶음,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0,
글3=+,
링3=루미나이트 주괴, 링3문서=아이템/재료/광물, 링3개행=,
글4=(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역병 전투기, 영=Plague Jet, 확장자=gif,
추가=역병 로켓,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버프=전술 역병엔진(버프), 툴팁=커다란 역병 전투기가 당신을 따라다닙니다)]

문로드 직후 제작 가능한 소환 무기.
사용 시 역병 전투기를 소환한다. 재료로 사용되는 블랙 호크 조종기처럼, 공격 시 총알을 소모한다.
전투기는 적 위에 위치해서 대상을 향해 총알을 발사해 공격하며, 이따금 총알 대신 유도성 역병 로켓을 발사한다. 역병 로켓은 무기 공격력 150%의 피해를 가하며, 3초간 파일:Calamity Mod/역병.png역병 디버프를 입힌다.
주변에 공격할 대상이 없으면, 전투기는 플레이어와 수평으로 정렬하려는 성질이 있다.

포문 무기인 만큼 일반적으로는 루미나이트 총알을 사용하며, 다른 총알을 물려 다양한 플레이를 즐겨볼 수도 있다. 위의 원소의 도끼와 함께, 포문 초반 서머너에게 큰 도움이 되어준다.

디오갓 이후 전우주적 바이퍼 엔진으로 강화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눈부신 단도 지팡이, 영=Dazzling Stabber Staff,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27, 넉=2, 마=10, 시=14, 금=30,
예시=공격,
드롭=,
링1=프로비던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눈부신 스태버, 영=Holy Blade, 확장자=gif, 툴팁=준비!)]

프로비던스가 드롭하는 소환 무기로, 바닐라의 칼날 스태프를 연상시킨다.
사용 시 사용자의 머리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정렬하는 성검 미니언을 소환한다. 성검은 근처의 적에게 8자 혹은 ∞를 그리며 빠르게 돌진해 노란 궤적을 남기며[16] 공격하며, 성검의 공격은 3초간 파일:Calamity Mod/신성한 불꽃.png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입힌다.
위의 원소의 도끼처럼, 폭풍의 방직공에게는 50%만의 피해를 입힌다.

무기 자체의 공격력도 낮은 편이 아닌데다, 미니언의 속도가 굉장히 빠른 덕에 공격 빈도도 덩달아 올라가 높은 dps를 뽐내는 무기다. dps가 워낙 높기에, 입히는 피해량 너프가 있음에도 무색하게 스톰 위버 상대로 사용하기 가장 좋다. 또, 미니언의 공격 모션 자체가 화려해 보는 맛도 있어, 프로비던스에게서 웬만하면 얻어 가도록 하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뱀의 눈, 영=Snake Eyes, 포문=, 희소=Turquoise,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00, 넉=3, 마=12, 시=14, 금=30,
조합=,
링1=기이한 전기회로, 링1모드=, 링1h=18,
글2=(18) +,
링2=수상한 도금판, 링2모드=, 링2h=18,
글3=(12) +,
링3=유리블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루미나이트 주괴, 링4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5=(4),
글6=@, 글6개행=,
링6=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6문서=아이템/가구/작업, 링6h=24,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지하세계),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뱀의 눈, 영=Snake Eyes, 구분자=(미니언), 툴팁=항상 보고 있을게...)]
'고급 센서를 장착한 드론을 피할 수 있는 자는 거의 없다네. 그들의 감시를 벗어날 수 있는 존재는 더욱이 적지.'
'영혼으로 작동하는 시각 기반 기계로부터 내 마지막 작품까지를 이어주는 훌륭한 징검다리라네.'
프로비던스 이후 제작 가능한 드레이돈 소환 무기. 툴팁으로 미루어 보아 별 포식자 격납고처럼 드레이돈이 직접 제작한 물건으로 보인다.
사용시 목적지 근처로 순간이동하며 움직이는 구형 드론을 소환한다. 미니언들의 공격 방식이 비교적 특이한데, 적 발견 시 대상을 향해 순간이동해 0.5초 뒤 푸른 관통형 빔을 발사한다. 빔은 적을 관통하며, 적중하고 0.25초 후 하얗게 변해 다시 대상에게 향하며, 드론은 빔의 위치로 순간이동한다. 흰색 빔이 적에게 적중하면 폭발을 일으켜 반경 9.375블록 이내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이후 드론은 적 근처 다른 위치로 순간이동해, 앞의 패턴을 반복한다.
근처에 적이 없는 경우, 드론은 사용자와 약 25블록 내 거리에서 위아래로 떠다니며, 사용자와 거리가 멀어지면 다시 근처로 순간이동하며 따라온다.

무기는 1회 사용 시 1의 충전을 소모하며, 총 190의 충전량을 가진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신록의 선구자, 영=Virid Vanguard,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73, 넉=5, 마=10, 시=14, 금=30,
조합=,
링1=유리블룸 주괴, 링1모드=,
글2=(1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선구자 블레이드, 영=Vanguard Blades, 버프=신록의 선구자(버프), 툴팁=완벽한 화합의 행동이 당신 주위를 맴돕니다)]

프로비던스 직후 제작 가능한 소환 무기로, 불의의 항진의 강화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사용 시 커다란 검을 소환하며, 검들은 사용자 주위를 공전한다.
위의 뱀눈처럼 공격에 일정한 패턴이 있는데, 아래 세 가지 패턴 중 하나를 7회 반복하고 그 다음 패턴으로 공격 방식을 전환한다.
• 대상을 수평으로 휩쓸고 지나가며 경로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 대상의 위로 순간이동한 뒤, 아래로 내리꽂는다.
• 무작위 방향으로 적을 찌른다.
공격 모션은 굉장히 화려하지만 공격 간 딜레이가 은근 길어, 같은 티어 대 다른 무기들에 비해 높은 dps를 뽑긴 힘들다.

개발자 무기인 시간의 우산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용혈 분출, 영=Dragonblood Disgorger, 포문=, 희소=Turquoise,
유형=소환 무기, 공=215, 넉=4, 마=10, 시=15, 금=30,
조합=,
링1=혈석 코어, 링1모드=, 링1h=20,
글2=(12)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뼈만 남은 용, 영=Skeletal Dragon, 확장자=gif, 툴팁=참으로 행복한 가족)]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어린 뼈만 남은 용, 영=Skeletal Dragon Child, 확장자=gif,
추가=혈액탄,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버프=뼈만 남은 용(버프), 툴팁=참으로 행복한 가족)]

프로비던스 이후 혈석을 모아 제작할 수 있는 소환 무기.
사용 시 미니언 슬롯을 6개 소모해 용 가족을 소환한다. 용 가족은 어미 용 1마리, 새끼 용 2마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가족만 소환할 수 있다.
어미 용은 근처의 적들에게 파일:Calamity Mod/불타는 피.png불타는 피 디버프를 입히는 선혈불을 발사하고, 새끼 용들은 적에게 혈액을 발사하거나 돌진해 공격한다. 새끼 용의 투사체는 입힌 피해량의 1%만큼 플레이어의 체력을 치유해 준다.

여담으로, 소환수의 모습은 샌드박스 게임 스타바운드의 보스 'Bone Dragon'에서 따 왔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스텔라 토러스 지팡이, 영=Stellar Torus Staff,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42, 넉=4, 마=10, 시=20, 금=30,
조합=,
링1=제노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장갑 외피, 링2모드=, 링2h=24,
글3=(3) +,
링3=소성단의 파편, 링3개행=,
글4=(6)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토러스 궤도, 영=Torus Orbital, 확장자=gif,
추가=스텔라 토러스 빔, 추가설명=,
버프=스텔라 토러스, 툴팁=토러스 궤도가 당신의 적들을 튀김으로 만듭니다)]

폭풍의 방직공 이후 제작 가능한 소환 무기.
미니언 슬롯 1개를 소모하여 토러스 궤도를 소환한다. 궤도는 플레이어 주위를 따라다니며, 적을 발견하면 광선을 1초간 충전한 뒤 내뿜는다. 광선은 2초의 지속 시간과 150블록의 길이를 가지며 적을 무한히 관통하고, 약간의 회전성이 있다.
궤도는 끝없는 공허가 소환하는 어둠의 에너지에게 60%만의 피해를 입힌다.

다단히트라는 공격 특성 상, 디오갓을 잡을때 쓰기 좋은 무기 중 하나며, 특히 인페르넘에서 빛을 발한다. 그러나, 적을 공격하기 전 1초의 차징 시간이 필요하고, 공격 범위가 제한적이라 덩치가 작거나 속도가 빠른, 올드 듀크 등의 보스 상대로는 영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여담으로, 토러스는 둥근 반지 모양의 3차원 도형인 원환면의 영문명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도넛 모양을 이르는 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공허 응축 지팡이, 영=Void Concentration Staff, 포문=, 희소=Turquoise,
유형=소환 무기, 공=105, 넉=4, 마=10, 시=14, 금=30,
드롭=,
링1=끝없는 공허,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공허 응축 아우라, 영=Void Concentration Aura, 확장자=gif,
추가개행=, 추가=공허의 구체,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블랙홀,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버프=응축된 공허, 툴팁=끝없는 공허는 무한히 갈망한다...)]

끝없는 공허가 드롭하는 소환 무기로, 사용 방식이 좌/우클릭 두 가지로 나뉜다.
좌클릭 시 미니언 슬롯을 3칸 소모해 플레이어를 둘러싸는 공허 아우라를 소환하고, 사용자의 소환 공격력을 5% 증가시킨다. 단 하나의 아우라만 소환할 수 있고, 공격력 증가 버프 또한 중첩이 불가능하다. 아우라는 적에게 접촉 피해를 입힐 수 있고, 적이 근처에 있으면 유도성 공허 구체를 속사해 무기 공격력 75%의 피해를 입힌다.
아우라가 소환된 상태로 우클릭 시, 아우라를 블랙홀로 바꿔서 발사한다. 블랙홀은 무기 공격력 500%의 피해를 입히고 크기가 2.5배까지 커지다 폭발한다. 블랙홀은 그 크기에 따라 0~15.625블록 내의 적을 빨아들여, 그 이름값을 톡톡히 한다.

아우라는 하나만 소환할 수 있지만 5%의 소환 공격력 증가 효과가 있는 덕에, 메인 무기로써보다는 다른 무기들을 사용하고 남은 슬롯에 넣는 보조 무기로서 좋은 성능을 보인다. 엔드게임에 접어들어, 개발자 미니언들을 소환해 놓고 슬롯이 애매하게 남을 때 사용해 줘도 좋기 때문에 하나 정도는 얻어둘 만한 무기.

최고 접두사는 공격력 증가 폭이 가장 큰 무자비한(Ruthless)이나, 우클릭 공격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나 소모량 감소 옵션이 붙은 신화의(Mythical)도 좋은 선택지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코스밀램프, 영=Cosmilamp,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27, 넉=4, 마=10, 시=15, 금=30,
드롭=,
링1=시그너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우주의 등불, 영=Cosmilamp, 확장자=gif, 구분자=(미니언), 툴팁=전우주의 등불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시그너스가 드롭하는 소환 무기.
사용 시, 사용자의 위에 떠다니는 전우주의 등불을 불러내고, 등불은 유도성 보라색 광선을 발사한다. 광선은 블럭을 통과할 수 있으며 적을 최대 2회 관통한다.
등불 하나당 2칸의 미니언 슬롯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슬롯이 하나라면 불러낼 수 없다.

전우주의 등불은 시그너스가 소환하는 전우주적 랜턴과 스프라이트를 공유한다.

엑소급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별자리의 지배자\, 천룡, 영=King of Constellations\, Tenryū, 포문=, 희소=Turquoise,
유형=소환 무기, 공=187, 넉=2, 마=10, 시=25, 금=30,
조합=,
링1=소성단의 드래곤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빛의 조각,
글3=+,
링3=어둠의 조각,
글4=+,
링4=뒤틀린 황천, 링4모드=, 링4h=24,
글5=(3)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350px, 나열=,
한=흑천룡, 영=Black Celestial Dragon, 버프=천상의 용들, 툴팁=천상의 용들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350px, 나열=,
한=백천룡, 영=White Celestial Dragon, 버프=천상의 용들, 툴팁=천상의 용들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움직이지 않는 별을 집어삼키는 용들'
시그너스 직후 제작할 수 있는 소환 무기.
사용 시 미니언 슬롯 4칸을 소모해 흑백의 쌍룡을 소환한다. 각각의 용은 머리 하나, 몸통 스무개, 꼬리 하나로 총 22마디로 이루어지며, 오직 한 쌍의 용만 소환할 수 있다.
두 용은 보통 적을 나란히 쫓으며 공격한다. 공격 방식은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추적 속도는 훨씬 빠르다. 백룡은 적에게 파일:Calamity Mod/동상.png동상 디버프를 5초간, 흑룡은 적에게 파일:Terraria/그림자불꽃.png그림자불꽃 디버프를 5초간 유발한다.

바닐라에서 소성단 드래곤 스태프가 그랬듯, 같은 티어 무기들 중 가장 강력하다. 하지만, 간혹 가다가 소환수가 디스폰되는 버그가 있어[17] 주기적으로 디스폰 여부를 살펴봐 주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천상의 지배자, 영=Ethereal Subjugator,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200, 넉=1, 마=10, 시=10, 금=35,
드롭=,
링1=폴터가스트,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팬텀, 영=Phantom, 툴팁=팬텀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폴터가스트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팬텀을 불러낸다. 팬텀은 폴터가스트가 소환하는 팬텀과 스프라이트를 공유한다.
팬텀은 주변 적을 감지하면 3개의 관통성 유령 구체를 소환한다. 구체는 잠시 그 자리에 머물렀다가 가장 가까운 적에게 빠르게 유도되어 피해를 입히며, 타일을 통과할 수 있다.

공격에 딜레이가 좀 있지만, 자체 공격력이 높아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무기이다. 다만 이후 만날 보스인 디오갓 상대로는 최대 성능을 뽑아내기가 쉽지 않은데다 더 좋은 무기들이 많아, 기껏해야 올드 듀크까지 찔끔 쓰고 말게 된다.

엑소급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식용 오징어의 탄식, 영=Calamari's Lament,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예시=공격,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10, 넉=0, 마=10, 시=10, 금=35,
드롭=,
링1=콜로살오징어,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33.33%),
글8=(, 글8개행=,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식용 오징어, 영=Calamari, 확장자=webp,
추가=먹물,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식용 오징어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심연에서 귀하지 않은 자원은 없으며
모든 종은 나눔이라는 여유 없이 홀로 살아갑니다.'
심연에서 볼 수 있는 몹인 콜로살오징어가 폴터가스트 이후부터 드롭하는 소환 무기.
사용 시 콜로살오징어와 비슷하게 생긴 아기 식용 오징어를 불러낸다. 오징어는 주변의 적에게 먹물 방울을 발사하며, 이 사정거리가 꽤나 길다. 먹물은 강한 유도성을 가지고 있으며, 적을 관통할 수 없다. 사용자가 어느 정도 적과 가까워지면, 오징어는 먹물 발사를 멈추고 빠른속도로 대상에게 달라붙어 공격한다. 이 공격은 125%의 피해를 입히며, 30의 고유 무적 프레임이 적용된다.

원거리 대미지는 약한 편이지만, 단체로 적에게 달라붙기만 하면 어마어마한 dps를 뽐내기에, 디오갓 상대로 큰 활약을 기대할 수 있다. 적에게 달라붙기 위한 거리도 그렇게 짧지만은 않아서, 부동의 디오갓 추천 무장 1순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여담으로, Get Fixed Boi 시드에서 미니언의 효과음이 스플래툰의 것으로 바뀐다.

엑소급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의 재료로 쓰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감마선 심장, 영=Gamma Heart, 포문=, 희소=Pure Green, 자동=, 예시=공격,
유형=소환 무기, 공=85, 넉=3, 마=10, 시=14, 금=35,
드롭=,
링1=방사능의 공포, 링1모드=, 링1문서=이벤트, 링1h=24,
글2=(33.33%),
글8=(, 글8개행=,
링8=폴터가스트,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감마선 히드라, 영=Gamma Hydra, 확장자=gif,
추가개행=, 추가=감마 깡통, 추가설명=,
추가2=감마 탄환, 추가2설명=,
툴팁=...)]

방사능의 공포가 드롭하는 소환 무기.
사용 시 감마선 히드라 머리를 플레이어 머리 위에 소환한다. 무기를 사용할 때마다 머리가 하나씩 들어난다.
히드라는 적을 발견 시 감마 깡통을 포물선 형태로 고각사격해 공격한다. 감마 깡통은 체공하다 3초정도 지나면 유도성을 지니고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진다. 깡통은 적이나 타일에 부딪히면 6방향의 감마 탄환으로 분열되며, 1.1666초 뒤 고속, 고유도 발사체가 되어 적을 공격한다. 감마 탄환은 적을 최대 4번 관통하며, 4초간 파일:Calamity Mod/황산 중독.png황산 중독 디버프를 유발한다.

최초 공격이 피해를 입히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꽤나 길어, 사용하는 데 조금 답답한 모습을 보인다.

여담으로, 감마선 히드라는 인디 슈팅 게임 Nuclear Throne의 캐릭터 호러에서 디자인을 착안했다.[18]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시리우스, 영=Sirius, 포문=, 희소=Pure Green,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600, 넉=3, 마=10, 시=10, 금=35,
조합=,
링1=복수의 태양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루메닐, 링2모드=, 링2h=24,
글3=(5)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2) +,
링4=익소듐 뭉치, 링4모드=,
글5=(12)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시리우스, 영=Sirius, 구분자=(미니언), 툴팁=너무 밝지만\, 당신을 도와줍니다)]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복수의 태양 스태프의 강화판.
사용 시 사용자의 뒤에 뜬 채로 블록과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광선을 발사하는 시리우스를 소환한다. 광선이 적을 타격하면 무지개 수정 스태프와 비슷한 폭발을 일으켜 추가 피해를 입힌다. 광선과 폭발은 모두 나이트위더 디버프를 3초간 입힌다. 시리우스 미니언은 오직 하나만 소환될 수 있으며, 6칸의 미니언 슬롯을 차지한다. 시리우스의 폭발은 XM-05 타나토스에게 70%만의 피해를 입힌다.

적 감지 범위도 넓고 지형 관통도 가능해서 여러모로 쓸만한 무기이나 공격속도가 느린게 흠이다. 그렇지만 무기의 대미지가 좋은데다가 공격이 관통성이기에 상황만 받쳐준다면 딜이 매우 잘 나와, 디오갓 도전시에 추천받는 무기 중 하나다.

디오갓 이후 사로스 소유물으로 강화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워록의 문피스트, 영=Warloks' Moon Fist, 포문=, 희소=Pure Green,
유형=소환 무기, 공=450, 넉=2, 마=10, 시=25, 금=35,
조합=,
링1=골렘 주먹,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루메닐, 링2모드=, 링2h=24,
글3=(10) +,
링3=파멸의 영혼,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익소듐 뭉치, 링4모드=, 링4개행=,
글5=(5) @,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문 피스트, 영=Moon Fist, 확장자=gif, 툴팁=내 손을 잡아)]

폴터가스트 이후 제작 가능한 무기로, 워리어 무기인 골렘 주먹을 요구한다.
사용 시 사용자 위를 떠다니는 푸른 손을 소환한다. 손은 적을 발견하면 주먹을 꽉 쥐고 돌진해 피해를 입히고 튕겨나오며, 이를 계속 반복한다. 피격당한 적은 별을 내뿜는다. 적과 75타일 이상 떨어질 경우, 주먹은 새로운 공격 대상을 물색한다. 각각의 손은 4칸의 미니언 슬롯을 차지한다.

달의 군주 이후 몸을 비틀어 가며 폴터가스트를 먼저 잡았다면, 프로비던스 상대로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디오갓 도전시엔 디오갓의 머리, 꼬리의 명중률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다른 무기를 기용하는 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애초에 프로비던스가 폴터가스트 이전 보스임을 감안하면, 그다지 좋지 않은 성능의 무기임을 알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변이된 송로버섯, 영=Mutated Truffle, 포문=, 희소=Pure Green,
유형=소환 무기, 공=275, 넉=5, 마=10, 시=10, 금=35,
드롭=,
링1=늙은 공작,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베이비부머, 영=Baby Boomer,
추가=이빨 공, 추가설명=,
추가2= 이빨,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유황 소용돌이, 추가3설명=, 추가3h=70,
툴팁=변이된 피시론이 적을 중독시킵니다)]

늙은 공작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늙은 공작과 유사한 생김새의 아기 공작을 소환한다. 아기 공작은 다음의 3가지 공격 패턴을 반복한다.
• 적을 향해 빠르게 돌진한다. 돌진은 무기 공격력 125%의 피해를 입힌다.
• 이빨 공을 발사한다. 공은 2초 후 유도성 이빨로 분열해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 빙글빙글 돌며 유황 소용돌이를 일으킨다. 소용돌이는 적 방향으로 느리게 이동하며 피해를 입힌다.
미니언의 생김새만큼 공격 패턴도 늙은 공작과 닮아 있다.
아기 공작은 오직 한 마리만 소환될 수 있고, 미니언 슬롯을 3칸 차지한다.

이전에는 미니언을 소환하는 장신구였으나 소환 무기로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미니언의 이름인 베이비부머는 보스의 특징을 어느 정도 나타내는 영단어 Boomer에 아기(Baby)를 덧붙인 말장난.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기계벌레의 지팡이, 영=Staff of the Mechworm,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예시=공격,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100, 넉=2, 마=10, 시=9, 금=40,
드롭=,
링1=신들의 포식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쉬머2=,
링21=전이,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1h=24,
글23=(,
링23=쉬머, 링23문서=액체, 링23트림=,
글24=에 빠뜨리기), 글24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기계 지렁이, 영=Mechworm,
추가개행=, 추가=레이저, 추가설명=,
툴팁=기계 지렁이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디오갓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기계 지렁이를 소환하고, 지렁이는 적에게 레이저를 발사하며 돌진하거나 순간이동하며 돌진해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 지렁이의 모든 공격은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며, 지렁이의 머리는 3초간, 꼬리는 1.5초간, 몸통과 레이저는 2초간 파일:Calamity Mod/신살자의 불길.png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유발한다. 다른 다양한 보스 드롭 소환 무기들처럼, 기계 지렁이의 공격 패턴은 디오갓의 것과 굉장히 유사하다.[19]
지렁이가 소환된 상태로 무기 사용 시, 지렁이를 더 불러내지 않는 대신 소성단의 드래곤 스태프와 비슷하게 마디가 하나씩 늘어난다.[20] 기계 지렁이가 소환된 상태로 최대 미니언 슬롯이 감소하면 지렁이의 마디도 그만큼 짧아진다.

성능은 굉장히 우수하다. 우선, 소환수의 속도가 매우 빨라 적들을 잘 쫒는데다, 지렁이형이라 다단히트로 공격하고, 인식 사거리도 매우 길다. 무엇보다 적의 무적 프레임을 무시하며, 자체 딜량도 매우 높아 엔도 히드라 지팡이징조의 까마귀 지팡이같은 디오갓 이후 무기들과 비교했을 때, 동일 세팅에서 단일 슬롯 dps가 2배 이상 높다.
다만 공격 방식 특성 상 슬롯을 더 많이 소모할수록 돌진 주기가 늘어나, dps는 그와 반비례해 줄어든다. 게다가 지렁이는 오직 1마리만 존재할 수 있어, 멀리 있는 적을 공격하는 중이라면 플레이어 주변의 적은 정리하지 못해 안전성도 떨어진다. 따라서, 모든 슬롯을 이 무기에 투자하기보다는 슬롯 한두 칸만 투자하고 나머지는 다른 무기들로 채워주자.

이상하게 그래픽 버그가 굉장히 많은 무기다. 마디마디가 따로 노는 것은 기본이고, 다른 이펙트에 기계 지렁이의 몸통이나 머리가 대신 출력된다거나... 심지어 멀티에서는 일부 마디가 다른 플레이어의 미니언 그래픽으로 대신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이펙트가 강렬한 무기들을 사용하면서 프레임 드롭이 일어나면 종종 발생한다.

슈칼 이후 소환 무기인 전이와, 개발자 마법 무기인 신격화의 재료로 사용된다.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칼란드라의 거울, 영=Mirror of Kalandra, 포문=, 희소=Dark Blue,
유형=소환 무기, 공=317, 넉=4, 마=10, 시=30, 금=40,
조합=,
링1=마법 거울, 링1문서=아이템/도구, 링1h=20,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10) +,
링3=신의 정동, 링3모드=, 링3개행=,
글4=(10) @,
링9=쉬머, 링9문서=오브젝트)]
'궁극적, 측정 불가, 묘사 불가'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소환 무기로, 도구인 마법 거울을 재료로 요구한다.
한 번 사용할 때마다 아래의 무기들을 순차적으로 소환한다. 각 무기들은 미니언 슬롯을 1칸 차지하며, 종류별로 하나씩만을 소환할 수 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앗지리의 경멸, 영=Atziri's Disfavor, 버프=칼란드라의 거울(버프), 툴팁=다섯 가지의 고대 무기가 당신의 적들을 몰살시킵니다)]
가장 먼저 소환되는 무기로, 사용자의 위에 떠다닌다.
적을 향해 맹렬히 돌진해 공격하며, 적 타격 시 노란 폭발을 일으킨다. 폭발은 단순 시각적 효과로, 추가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별의 탄생, 영=Starforge, 버프=칼란드라의 거울(버프), 툴팁=다섯 가지의 고대 무기가 당신의 적들을 몰살시킵니다)]
두 번째로 소환되는 무기. 사용자의 왼쪽 위에 떠다니며 보라색의 작은 먼지구름을 내뿜는다.
앗지리의 경멸처럼 적에게 돌진해 공격하며, 타격 시 더 많은 양의 보라색 구름을 방출한다. 또, 적 공격 시 4초마다 넓은 범위에 225%의 피해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킨다.
칼란드라의 거울 미니언들 중 가장 강력한 무기.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모순, 영=Paradoxica, 버프=칼란드라의 거울(버프), 툴팁=다섯 가지의 고대 무기가 당신의 적들을 몰살시킵니다)]
세 번째로 소환되는 무기로, 사용자의 오른쪽 위에 떠다니며 그 자리에 작은 별 입자를 남긴다.
적 발견 시, 대상 근처로 순간이동한 뒤 앞뒤를 오가며 찌르기를 반복한다. 미니언의 공격은 흰색의 흔적을 짧게 남긴다.
모순은 앗지리의 경멸, 별의 탄생보다 공격 속도가 50% 느리며, XM-05 타나토스에게 75%만의 피해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윈드리퍼, 영=Wind Ripper,
추가개행=, 추가=바람의 화살, 추가설명=,
버프=칼란드라의 거울(버프), 툴팁=다섯 가지의 고대 무기가 당신의 적들을 몰살시킵니다)]
네 번째로 소환되는 무기로, 플레이어의 왼쪽에 떠다닌다.
적에게 0.58초마다 화살을 쏴 공격하며, 화살은 그 경로에 흰색 궤적을 남긴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희망종결자, 영=Hope Shredder,
추가개행=, 추가=화살,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쪼개진 화살, 추가2설명=,
버프=칼란드라의 거울(버프), 툴팁=다섯 가지의 고대 무기가 당신의 적들을 몰살시킵니다)]
다섯 번째이자 가장 마지막으로 소환되는 무기. 사용자의 오른쪽에 떠다니며, 파란색 잔상을 남긴다.
적 발견 시 0.93초마다 화살을 쏴 공격하며, 화살은 적에게 명중 시 3개의 작은 화살로 분열한다. 작은 화살들은 각각 무기 공격력 33%의 피해를 입히며, 적을 최대 2번 관통한다.

칼란드라의 거울의 무기들, 특히 앗지리의 경멸, 별의 탄생, 모순은 기계 지렁이를 제외한 같은 티어 미니언들의 2배에 육박하는 높은 dps를 가져, 야론전은 물론 엑소메카전까지 훌륭히 수행해 낸다. 엑소 메카 이후 무기들을 얻기 전까지는 5슬롯씩 꼬박꼬박 투자해 주도록 하자.

여담으로, 모티브는 패스 오브 엑자일의 칼란드라의 거울. 무기 미니언들도 전부 같은 게임에 등장한 동명의 아이템들에서 이름과 외형을 따 왔다. 무기에 적힌 툴팁 또한 패스 오브 엑자일에서 아이템 드롭 시 출력되는 대사를 그대로 가져왔다.
또 한 가지 특징이라면, 칼란드라의 거울은 쉬머 근처에서만 만들 수 있는 모드 내 유일한 아이템이다. 바닐라 테라리아에서 물병을 물 근처에서 제작하는 것과 같은 메커니즘.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우주적 바이퍼 엔진, 영=Cosmic Viper Engine,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321, 넉=6, 마=10, 시=9, 금=40,
조합=,
링1=전술 역병엔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10),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우주적 건쉽, 영=Cosmic Gunship, 확장자=gif,
추가개행=, 추가=고충격 미사일,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유도 미사일,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분열형 미사일,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추가4=전우주의 파편, 추가4설명=,
버프=전우주적 바이퍼, 툴팁=전우주적 건쉽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전술 역병엔진의 강화판이자 블랙 호크 조종기의 최종 강화형이다. 사용 시 인벤토리의 총알을 발사해 공격하는 전우주적 건쉽을 소환한다. 건쉽은 2번째 공격마다 총알 대신 아래 세 가지 투사체를 발사하여 공격한다.
이름 효과
파일:Calamity Mod/고충격 미사일.gif 고충격 미사일
(Concussion Missile)
미친듯이 빠른 속도를 가진 미사일.
파일:Calamity Mod/유도 미사일.gif 유도 미사일
(Homing Rocket)
대상에게 매우 빠르게 유도되는 미사일.
파일:Calamity Mod/분열형 미사일.gif 분열형 미사일
(Splitting Rocket)
적을 빠르게 추적하고 폭발 후 4방향으로 분리되는 미사일. 분리된 조각파일:Calamity Mod/전우주적 건쉽/전우주의 파편.png은 무기 공격력의 25%의 피해량을 갖는다.
소환수의 모든 공격은 파일:Calamity Mod/신살자의 불길.png신살자의 불길 디버프를 입히며, 루미나이트나 신살자 탄환같은 관통형 총알을 물려주면 강화된 펌킨 문, 프로스트 문, 일식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개발자 무기인 플렘스티드 반지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징조의 까마귀 지팡이, 영=Corvid Harbinger Staff,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14, 넉=2, 마=10, 시=10, 금=40,
조합=,
링1=레이븐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악몽 연료,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어둠의 까마귀, 영=Dark Raven, 확장자=gif,
추가개행=, 추가=돌진 모습, 추가설명=,
툴팁=강력한 까마귀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더 이상은 안 돼'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레이븐 스태프의 강화판.
사용 시 어둠의 까마귀를 소환한다. 까마귀는 사용자 주위를 날아다니다 근처의 적을 감지하면 맹렬히 돌진해 공격하며, 이따금 적 주위로 순간이동하며 동그란 먼지구름을 남긴다.
플랜테라 이후 획득 가능한 무기를 비슷한 재료를 사용해 강화한다는 점에서 엔도 히드라 지팡이에 대응하는 무기로 볼 수 있다.

레이븐 스태프가 해당 티어에서 그랬던 것처럼, 평타는 치는 국밥 소환 무기다. 적 감지 범위도 넓어서 야론전에서 폴 워퍼의 대미지가 애매하다 싶으면 그 대신 사용해도 좋다.

여담으로, 무기 툴팁의 영어 원문은 'Nevermore'로, 미국의 작가 에드거 앨런 포의 시 갈까마귀에 반복되는 문구를 그대로 차용해 온 것이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엔도 히드라 지팡이, 영=Endo Hydra Staff, 포문=, 희소=Dark 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32, 넉=3, 마=10, 시=9, 금=40,
조합=,
링1=서리 히드라의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흡열성 에너지,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20)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엔도 히드라, 영=Endo Hydra, 툴팁=엔도 히드라가 무슨 이유에서인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디오갓 이후 제작할 수 있는, 서리 히드라의 스태프의 강화판.
무기를 사용할 때마다 머리가 점점 늘어나는 엔도 히드라를 소환한다. 위의 감마선 심장과 유사한 소환수. 히드라는 플레이어의 뒤에 떠다니며 주변 적에게 푸른 광선을 발사해 공격한다.
만약 사용 가능한 슬롯이 없다면 히드라의 몸체만 소환된다.
플랜테라 이후 획득 가능한 무기를 비슷한 재료를 사용해 강화한다는 점에서 징조의 까마귀 지팡이에 대응하는 무기로 볼 수 있다.

대미지와 사거리 모두 준수한 편이나, 칼란드라의 거울폴 워퍼 등의 무기들의 성능이 워낙 좋은 탓에 보스전에선 딜과 사거리가 밀린다. 펌킨문, 프로스트문, 일식 파밍용이나 탐사용으로는 플레이어 위치에서 관통성으로 공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쓸 만하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사로스 소유물, 영=Saros Possession, 포문=, 희소=Dark Blue,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500, 넉=4, 마=10, 시=10, 금=40,
조합=,
링1=시리우스,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코스밀라이트 주괴, 링2모드=,
글3=(8) +,
링3=암흑태양 파편,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8) @,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빛나는 아우라, 영=Radiant Aura,
추가개행=, 추가=빛나는 구체,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버프=사로스 소유물, 버프구분자=(버프), 툴팁=빛나는 아우라가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시리우스의 강화판.
사용 시 사용자의 뒤에서 회전하며 빛나는 아우라를 소환한다. 아우라는 3발의 유도성 투사체를 적에게 발사하며, 투사체는 적과 접촉 시 폭발한다. 또, 매 2회 공격마다 3발의 투사체와 함께, 아우라는 빛나는 구체를 발사한다. 빛나는 구체도 적에게 유도되며, 투사체들보다 훨씬 큰 폭발을 일으킨다. 아우라는 소환수 슬롯을 8칸 사용하며, 오직 하나만의 아우라를 소환할 수 있다.

대미지 자체만으로도 강력한데다, 적에게서 도망쳐도 그 도망친 궤적상으로 구체들이 대거 나타나 쫒아오는 적을 공격해주기에 안정성 또한 좋다.
다만 플레이어 위치에 소환수가 고정된 탓에 태양 스태프 계열의 비교적 짧은 사거리는 그대로라, 적과의 거리에 따라 대미지 기댓값의 편차가 심하다. 야론 도전 시 거리조절이 힘들다면 위의 기계 지렁이폴 워퍼, 징조의 까마귀를 쓰는 게 낫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해 보면, 붙기만 하면 딜을 미친듯이 넣는 게 가능하므로 실력이 좋을수록 성능이 좋아지는 무기. 너프 전의 엔도 히드라 스태프처럼 순간 중거리 폭딜에 특화된 무기이다.

여담으로, 무기와 미니언의 모습은 할로우 나이트의 보스 광휘로부터 모티브를 가져왔다. 무기 이름의 사로스는 약 6,585일 길이의 시간 단위로, 일식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일식 테마의 소환 무기에 잘 어울리는 이름인 셈.

개발자 무기인 시간의 우산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폴 워퍼, 영=Pole Warper, 포문=, 희소=Dark Blue,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10, 넉=8, 마=12, 시=9, 금=40,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15)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25) +,
링3=코스밀라이트 주괴, 링3모드=, 링3개행=,
글4=(8) +,
링4=고대인의 영혼의 정수, 링4모드=, 링4h=24,
글5=(2),
글6=@, 글6개행=,
링6=전우주의 모루, 링6모드=, 링6문서=아이템/가구,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얼음),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워퍼 자석, 영=Warper Magnet, 버프=폴 워퍼(버프), 툴팁=지각력 있는 자석이 당신에게 이끌려옵니다)]

디오갓 이후 제작 가능한 드레이돈 소환 무기.
사용 시 플레이어 주위를 공전하는 자석 한 쌍을 소환한다.[21] 적을 발견하면, 자석들이 흩어져 잠시 정지한 뒤 사방에서 적을 향해 돌진해 공격한다.

무기는 1회 사용 시 1.25의 충전을 소모하며, 250의 최대 충전량을 갖는다. 총 200번 사용할 수 있는 것.

미니언 슬롯 하나당 자석 한 쌍, 즉 자석 하나가 0.5슬롯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자석이 다른 무기들의 소환수 한 마리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 줘, 야론 이후 엑소 메카까지 다른 무기의 2배에 달하는 무지막지한 딜량을 보여준다.
하지만 훌륭한 성능과는 별개로, 앞서 언급한 반혼접처럼 미니언이 간혹 디스폰되는 버그가 있다. 유사한 버그가 있는 천룡의 경우보다 미니언이 굉장히 작고 빨라 디스폰 여부를 눈치채기 힘들다. 역시나 Summoners' Association 등의 모드로 슬롯을 종종 확인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야론의 후예 지팡이, 영=Yharon's Kindle Staff,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00, 넉=7, 마=10, 시=10, 금=48,
드롭=,
링1=야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250px, 나열=,
한=불타는 용, 영=Fiery Draconid, 확장자=gif,
추가=용 화염구,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불타는 용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야론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불타는 용을 불러내며, 용은 적을 향해 돌진해 피해를 입히고 튕겨나오거나, 유도성 화염구를 발사해 공격한다. 용의 돌진과 화염구는 파일:Calamity Mod/드래곤파이어.png드래곤파이어 디버프를 3초간 유발한다. 불타는 용은 마리당 5칸의 미니언 슬롯을 차지해, 사용 가능한 슬롯이 4칸 이하라면 불러낼 수 없다.

불타는 용의 돌진 속도가 빠르고 피해량도 높지만, 미니언 슬롯을 무려 5칸씩이나 차지하기 때문에, 야론 이후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위의 칼란드라의 거울이나 폴 워퍼에게 성능이 밀린다.[22] 오릭 영혼의 유물과 함께 사용해 미니언 슬롯 증가 효과를 노릴 수도 있다.

여담으로, 과거에 무기가 불러내는 소환수는 '야론의 자식'이라는 이름이었으며, 현재는 맥너겟이 소환하는 펫으로 옮겨졌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종언의 백합, 영=Lilies of Finality, 포문=, 희소=Violet, 희소2=linear-gradient(#F00\,#fff), 자동=,
추가=설치된 모습, 추가설명=,
유형=소환 무기, 공=512, 넉=5, 마=10, 시=15, 금=48,
채집=,
링1=야론,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문자만=,
글2=처치 이후,
링2=유황 개사층, 링2모드=, 링2문서=지형, 링2문자만=,
글3=에서 수시로 습득, 글3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리안느, 영=Ariane,
추가=비행 모습,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버프=종언, 툴팁=우리의 맹세를 기억해 줘)]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엘스터, 영=Elster, 확장자=webp,
버프=종언, 툴팁=우리의 맹세를 기억해 줘)]
'깨어나'
야론 처치 이후 유황 개사층에서 채집할 수 있는 소환 무기.
반드시 벽이 존재하는 곳에서만 생성되며, 채집하면 고유의 효과음이 재생된다.
사용 시 미니언 슬롯 2칸을 소모해 특유의 효과음과 함께 커서 위치에 아리안느와 엘스터를 불러낸다. 아리안느와 엘스터는 각각 1칸의 슬롯을 차지한다.
아리안느는 적 위에 떠다니며 반경 32.8125타일의 아우라를 전개하고 적에게 느리게 유도되는 투사체를 발사한다. 아우라는 무기 공격력 40%의 피해를 입힌다. 엘스터는 적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한 뒤 권총을 쏴 공격한다. 화력 자체는 그닥 좋지 않으니 보조하는 느낌으로 사용해야 하는 무기.

여담이지만 해당 무기는 장신구나 포션 등으로 공격력을 올려도 반드시 512로 표기된다. 이는 무기의 모티브가 된 시그널리스에서 512라는 숫자가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이다.[23] 물론 표기만 이렇지 실제 공격력은 올라가니 안심하자. 또 소환수 이름인 아리안느와 엘스터는 작품의 두 주요인물에서 가져온 것. 적이 없을 때는 서로 마주보며 하트를 띄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 이 아이템은 다른 15등급 무기들과 달리 고유한 희귀도를 가지고 있는데, 흰색( #FFFFFF)과 빨간색(#FF0000)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만 일관성을 위해 15등급으로 분류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한밤중의 태양 송신기, 영=Midnight Sun Beacon,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50, 넉=1, 마=10, 시=9, 금=48,
조합=,
링1=제노 스태프,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루나 포탈 스태프,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오릭 주괴, 링3모드=,
글4=(5),
글9=@, 글9개행=,
링9=전우주의 모루,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한밤중의 태양 UFO, 영=Midnight Sun UFO, 확장자=gif,
추가개행=, 추가=한밤중의 태양 레이저,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한밤중의 태양 빔, 추가2설명=,
툴팁=이 괴상한 UFO는 당신을 관찰하고 매우 불편하게 만든다.)]

야론 이후 제작 가능한, 제노 스태프루나 포탈 스태프의 강화판.
사용 시 커서 위치에 송신기를 던져, 몇 초 뒤 그 자리에 UFO를 소환한다. UFO는 적을 추적하며 레이저를 속사한다. 몇 초 동안 레이저를 쏘고 나서는 적 위로 이동해, 대상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 빔을 발사한다. 빔을 몇 초 동안 집중적으로 쏘고 나면 다시 레이저를 빠르게 발사하기 시작한다.

위의 야론의 후예 지팡이와 같은 티어인 야론 이후 소환무기인 만큼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역시나 칼란드라의 거울, 폴 워퍼보다는 뒤떨어지는 성능을 보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레스의 외골격, 영=Ares' Exoskeleton, 포문=, 희소=Violet,
추가=장착 모습, 추가설명=,
유형=소환 무기, 공=625, 넉=1, 마=80, 시=9, 금=48,
드롭=,
링1=XF-09 아레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40,
글2=(100%))]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레스의 외골격(사용 시), 영=Ares' Exoskeleton(When used), 확장자=gif,
추가=아레스의 외골격(사용 시), 추가설명=아이템 스프라이트,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레스의 외골격 UI, 영=Ares' Exoskeleton UI,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레스의 팔, 영=Ares' Arms, 확장자=gif, 폭=250px, 툴팁=,)]

엑소 메카 중 아레스를 마지막으로 쓰러뜨렸을 때 드롭하는 무기.
사용 시 제어판을 여는 상자를 던진다. 제어판 UI는 상단 4종의 무기 선택 항목, 하단 4칸의 무기 슬롯으로 구성된다. 각 무기 슬롯은 3개의 소환수 슬롯을 소모해 플레이어에게 고정된 기계 팔에 대포를 부착한다. 대포는 슬롯의 왼쪽부터 오른쪽의 순서로, 플레이어의 오른쪽 하단, 왼쪽 하단, 오른쪽 상단, 왼쪽 상단에 각각 나타난다. 같은 유형의 대포를 2개 이상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류별로 하나씩 나눠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포들은 아레스가 사용하던 그 대포들과 닮아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외골격 플라즈마 캐논, 영=Exoskeleton Plasma Cannon, 확장자=gif,
추가=아이콘,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UI 아이콘,
추가2개행=, 추가2=휘발성 플라즈마 블래스트,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2h=50,
추가3개행=, 추가3=플라즈마 가스, 추가3설명=, 추가3w=100,
버프=아레스의 캐논, 툴팁=펄스 캐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미니미 플라즈마 캐논.
0.5초마다 유도성 플라즈마 블래스트를 발사하고, 투사체는 적을 타격하거나 타일과 충돌 시 15개의 플라즈마 가스로 분열한다. 블래스트와 가스는 무기 데미지의 90%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외골격 테슬라 캐논, 영=Exoskeleton Tesla Cannon, 확장자=gif,
추가=아이콘,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UI 아이콘,
추가2개행=, 추가2=테슬라 구체,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버프=아레스의 캐논, 툴팁=펄스 캐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미니미 테슬라 캐논.
0.6초마다 테슬라 구체를 발사한다. 구체는 원본 아레스의 테슬라 캐논 및 속박자의 발사체와 비슷하게, 반경 93.75타일 내의 다른 구체와 연결되어 전기 아크를 형성한다. 외골격 테슬라 캐논은 적의 움직임을 계산 및 예측하여 그 앞을 향해 구체를 발사하며, 구체와 아크는 블럭을 관통한다.
가장 강력한 대포로, 대포 슬롯 4칸 모두 이 테슬라 캐논으로 채우는 걸 추천한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외골격 레이저 캐논, 영=Exoskeleton Laser Cannon, 확장자=gif,
추가=아이콘,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UI 아이콘,
추가2개행=, 추가2=레이저,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데스레이,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버프=아레스의 캐논, 툴팁=펄스 캐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미니미 레이저 캐논.
0.25초마다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레이저를 5번 발사하고, 이후 1.25초동안 지속되는 데스레이를 쏜다. 두 공격 모두 블록을 통과하지는 못한다. 레이저와 데스레이는 무기 데미지의 110%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외골격 가우스 뉴크, 영=Exoskeleton Gauss Nuke, 확장자=gif,
추가=아이콘,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UI 아이콘,
추가2개행=, 추가2=가우스 뉴크, 추가2설명=,
버프=아레스의 캐논, 툴팁=펄스 캐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미니미 가우스 핵탄두.
가우스 뉴크 본체를 4초마다 발사한다. 가우스 뉴크는 강한 유도성을 지니며, 적에게 명중하거나 타일과 충돌 시 큰 폭발을 일으킨다.

대포들의 이름은 드레이돈 아이템들의 이름에 자주 보이는 플라즈마, 레이저, 테슬라, 가우스, 펄스를 참고한 것이다. 앞의 네 가지는 각 대포들의 이름에 사용되었지만, 마지막 하나는 미니언 버프 툴팁에 적히며 누락되었다.

성능은 굉장히 우수하다. 복합적으로 하나씩 부착한다 하면 5.2만 정도의 DPS가 나오며, 테슬라 캐논만 4개를 부착한다 하면 DPS가 6만 이상이 찍힌다.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위의 엑소급 무기인 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에다 야론의 후예 스태프를 같이 쓴 딜량이 간신히 5만 정도가 찍히는 걸 보면 상당히 강력한 무기. 테슬라 캐논은 이후 슈칼전에서 묘지기와 심장들을 순삭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서머너라면 엑소 메카에게서 꼭 얻어가자.

여담으로, 대포를 하나라도 부착 중일 때 무기의 아이템 스프라이트가 변경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 영=Cosmic Immaterializer, 포문=, 희소=Violet,
유형=소환 무기, 공=560, 넉=0, 마=10, 시=9, 금=48,
조합=,
링1=원소의 도끼,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천상의 지배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코스밀램프, 링3모드=, 링3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3h=24, 링3개행=,
글4=+,
링4=식용 오징어의 탄식, 링4모드=, 링4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4h=24,
글5=+,
링5=기적의 물질,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9=@,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우주의 기운, 영=Cosmic Energy, 확장자=webp,
추가개행=, 추가=전우주적 볼트,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추가2=전우주적 별, 추가2설명=,
툴팁=전우주의 기운이 당신을 보호해줍니다)]

엑소 소환 무기.
사용 시 전우주의 기운을 불러낸다. 기운은 미니언 슬롯을 10개 차지하며, 오직 1마리만을 소환할 수 있다. 전우주의 기운은 대상을 향해 빠르게 유도되는 에너지 볼트와 폭발하는 별을 발사하며, 두 종류의 투사체 모두 5초간 파일:Calamity Mod/미라클 블라이트.png미라클 블라이트 디버프를 입힌다.

벨라돈나 정령 지팡이부터 식용 오징어의 탄식까지 게임을 진행해 나가며 모을 수 있는 다양한 소환 무기 및 기타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엑소 무기로, 그 재료들을 하나씩 모으는 재미가 있다. 그러나, 무기의 성능은 위의 아레스의 외골격에 한참 뒤쳐져, 실제 전투에서 사용되는 빈도는 다른 직업군의 엑소 무기들보다 낮다. 심지어는 야론 이전 무기들보다도 낮은 딜량을 보여, 실전용보다는 수집용으로써의 가치가 더 높을 수도 있다.

여담으로 2.0.4.1 버전에서 무기 스프라이트가 현재처럼 변경되었다. 정체가 뭔지 알아보기 힘들었던 이전과 달리[24]확실히 지팡이같은 느낌으로 바뀌었다. 생김새를 보면 칼라미티 모드의 메인 로고의 알파벳 C를 기반으로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25]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파멸, 영=Perdition,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75, 넉=4, 마=10, 시=10, 금=48, 예시=공격,
드롭=,
링1=칼라미타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파멸 신호기, 영=Perdition Beacon,
추가=파멸의 십자가,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도금된 영혼, 추가2확장자=webp, 추가2설명=,
추가3개행=, 추가3=길 잃은 영혼, 추가3확장자=gif, 추가3설명=,
버프=파멸, 버프구분자=(버프), 툴팁=정말 안타깝군)]

슈칼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소환수 슬롯 5개를 소모하여 플레이어 머리 위에 떠다니는 파멸 신호기를 소환한다. 신호기는 하나만 소환할 수 있다.
적을 자동으로 추적해 공격하는 일반적인 미니언들과는 다르게, 파멸 신호기는 우클릭으로 대상을 지정해 줘야 한다. 대상으로 지정된 적에게는 역십자가 표식이 새겨지며 붉은 입자가 그 주변에 나타난다. 표식이 새겨진 직후 대상의 밑으로부터 수많은 유도성 해골 영혼들이 솟아올라 공격하며, 영혼들은 적을 관통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센트리 소환무기였으나 패치로 미니언 소환무기로 바뀌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각성, 영=Vigilance, 포문=, 희소=Violet,
유형=소환 무기, 공=115, 넉=4, 마=10, 시=9, 금=48,
드롭=,
링1=칼라미타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소울 시커, 영=Soul Seeker, 확장자=gif, 구분자=(미니언),
추가개행=, 추가=유황 다트,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분명 너의 무언가를 원하고 있다)]

또 다른 슈칼 드롭 소환 무기.
사용 시 대마녀 칼라미타스가 체력이 20% 남았을 시 소환하는 슈프림 소울 시커를 소환한다. 해당 소환수는 적을 발견하면 파일:Calamity Mod/유황 불꽃.png유황 불꽃 디버프를 입히는 유황 다트를 발사하거나 적을 향해 돌진하며 공격한다.

동티어의 외골격에 비해 성능이 딸려, 취급이 영 좋지 않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전이, 영=Metastasis, 포문=, 희소=Violet,
유형=소환 무기, 공=400, 넉=2, 마=10, 시=10, 금=48,
기타=,
링1=유황 마녀,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가, 글2트림=,
링2=기계 지렁이의 스태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에, 글3트림=,
링3=인챈트, 링3모드=, 링3문서=NPC, 링3구분자=/발굴된, 링3한줄로=, 링3개행=,
글4='발굴된(Exhume)'을 부여했을 시 변형))]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300px, 나열=,
한=묘지기, 영=Sepulcher, 구분자=(미니언),
추가개행=, 추가=유황 다트, 추가확장자=gif, 추가설명=, 툴팁=자비는 없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발굴된 브림스톤 심장, 영=Exhumed Brimstone Heart, 툴팁=,)]
'전우주적 뱀이 맞이할 수도 있는 미래,
권력에 대한 욕망에 사로잡힌 자들에 대한 참혹한 경고.'
슈칼 이후 인챈트를 통해 획득 가능한 소환 무기.
소환수 슬롯 4개를 소모해 셰펄커를 소환해서 공격한다. 오직 한 마리만 소환할 수 있으며, 적을 향해 돌진하거나 파일:Calamity Mod/유황 불꽃.png유황 불꽃 디버프를 입히는 유황 다트를 발사하여 공격한다.

특이한 점으로 소환 후 7초 간격으로 플레이어 주위를 맴도는 체력 50,000의 브림스톤 심장을 소환한다. 2개가 넘는 심장이 있을 때, 추가로 소환된 심장 하나 당 묘지기가 광폭화 할 확률이 25%씩 증가한다. 광폭화가 발동하면 NPC나 플레이어에게 돌진해 대미지를 입힌다. 대미지는 300 / 375 / 450. NPC가 있는 집에서 소환해놓고 잠시 가만히 있다간 주변이 초토화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참고로 브림스톤 심장은 셰펄커가 직접 타격하지 않는다. 보스전의 그 모습을 그대로 옮겨놓은지라 덩치가 굉장히 크고, 스프라이트가 다시 찍히면서 지네마냥 다리까지 생겨서 징그러운 사람들에겐 많이 징그러우니 주의가 필요하다.

성능은 그리 좋지 않은 편. 우선 소환수의 속도가 굉장히 느려터져서 이리저리 빠르게 돌진하는 보스를 상대할 때는 제대로 피해를 입히지 못하고, 주변에 생기는 브림스톤 심장이 몬스터 판정인데다 피통도 커서 다른 소환수나 유도성 투사체가 심장에만 집중되어 딜로스를 유발시키는 주범이 되기 때문이다. 같이 사용한다면 무라사마처럼 심장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폭딜 무기가 필수.

슈칼전에서는 정말 적 세푸컬과 아군 소환수를 잘 구별할 자신이 있는 게 아닌 이상 반드시 봉인해야 하는데, 보스의 스프라이트를 그대로 재탕한 지라 자칫하다 가시성에 혼란이 일으켜서 패턴을 피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슈칼이 소환하는 셰펄커가 소환수 셰펄커보다 더 크다.

여담으로 툴팁을 보면 전우주적 뱀의 예상 가능한 미래라고 적혀있는데, 칼라미티 모드에서 전우주적 뱀이라고 한다면 디오갓 말고는 없다. 그런데 이 무기가 소환하는 소환수가 세펄커라는 점을 볼 때, 어쩌면 셰펄커라는 존재는 신들의 포식자가 끊임없이 힘을 추구한 끝에 다다른 말로로 추측할 수 있다. 이 무기의 이전 형태가 기계 지렁이의 스태프인 것도 이에 대한 암시로 보인다.

쉬머에 던지면 기계 지렁이의 스태프로 되돌아온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엔도제네시스, 영=Endogenesis,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225deg\,#83EFFF\,#2437E6), 자동=, 예시=공격,
유형=소환 무기, 공=1\,300, 넉=4, 마=80, 시=10, 금=56,
조합=,
링1=혹한의 스태프,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눈보라 스태프, 링2문서=아이템/무기/마법, 링2h=24,
글3=+,
링3=흡열성 에너지, 링3모드=, 링3h=24, 링3개행=,
글4=(100) +,
링4=섀도우스펙 주괴, 링4모드=, 링4h=18,
글5=(5) +,
링5=겨울의 코어, 링5모드=, 링5h=24, 링5개행=,
글6=(15)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엔도 쿠퍼, 영=Endo Cooper,
추가개행=, 추가=엔도 얼음 파편, 추가설명=,
추가2=엔도 레이저, 추가2설명=,
툴팁=당신을 위해 싸워줄 승천한 얼음 구조물을 소환합니다)]
'썰렁한 말장난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최초의 서머너 개발자 무기.
사용 시 4가지 공격 모드를 가진 얼음 구조물을 소환한다. 공격 모드들은 다음과 같다.
• 적을 무한히 관통하는 5~7줄기의 레이저를 주변 적 근처 방향으로 각기 다른 속도로 긁으며 발사한다.
• 주기적으로 여러 조각의 유도성 얼음 파편을 발사한다.
• 대상의 앞뒤로 공격적으로 돌진한다.
• 사방으로 흡열성 불꽃을 방사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미니언을 재소환하면 공격 모드가 위의 순서대로 전환된다. 레이저를 제외한 소환수의 모든 공격은 파일:Calamity Mod/빙하 상태.png빙하 상태, 파일:Terraria/서릿불.png서릿불 디버프를 각각 1초, 3초간 부여한다. 얼음 구조물은 무려 10칸의 미니언 슬롯을 차지하며, 오직 하나의 얼음 구조물만을 소환할 수 있다.

개발자 무기인 만큼 미니언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딜량을 보여 주는데, 특히 2번째 모드는 단일 대상에게 8만에 육박하는 무지막지한 dps를 뽑아낸다.

여담으로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는데, 하늘색(#83EFFF)과 어두운 파랑색(#2437E6)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만 일관성을 위해 16등급으로 분류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시간의 우산, 영=Temporal Umbrella,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D200FF\,#fff818), 포문=,
유형=소환 무기, 공=193, 넉=1, 마=99, 시=9, 금=56,
조합=,
링1=신록의 선구자,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1h=24,
글2=+,
링2=사로스 소유물,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우산, 링3문서=아이템/도구, 링3h=24,
글4=+,
링4=섀도우스펙 주괴, 링4모드=, 링4h=18, 링4개행=,
글5=(5) +,
링5=탑 햇, 링5문서=아이템/치장품,
글9=@,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추가=투명, 추가설명=플레이어가 투명할 때,
한=마법의 모자, 영=Magic Hat,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엄청 튼튼해! 이걸로 마피아도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을 것 같아!'
또 다른 서머너 개발자 무기.
사용 시 사용자가 마법 모자를 착용하며, 그와 동시에 사용자 주변을 공전하는 5가지 도구를 소환한다. 모자와 각 도구들은 미니언 슬롯을 5칸 차지하며, 하나씩만 소환할 수 있다. 도구들은 아래와 같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선홍색 화살, 영=Vermilion Arrow,
버프=마법의 모자(버프),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적을 빠르게 추적하며 200%의 무기 데미지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옥색 도끼, 영=Jade Axe,
추가개행=, 추가=마법의 나무, 추가w=150, 추가설명=,
추가2개행=, 추가2=마법의 새, 추가2확장자=gif, 추가2설명=,
추가3=마법의 토끼, 추가3설명=,
버프=마법의 모자(버프),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적에게 끊임없이 돌진하며, 돌진 공격 20회 성공 시 무작위 바이옴의 나무가 적에게 떨어진다. 나무는 1000%의 무기 데미지를 입히며, 나무가 파괴되면 3마리의 동물이 소환된다. 동물의 종류는 마법의 새, 마법의 토끼 2가지로, 각각 50%의 무기 데미지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주황색 망치, 영=Marmalade Hammer,
버프=마법의 모자(버프),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적 근처로 이동해 크기가 커지면서 공격을 충전하며, 충전이 완료되면 대상을 내려찍어 300%의 무기 데미지를 입힌다. 공격 시 5%의 확률로 색종이 조각을 흩뿌리고 특수 음향을 재생하며, 스타일리쉬!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페이퍼 마리오 1000년의 문에서 모티브를 따 왔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보라색 저격총, 영=Lavender Riffle,
추가개행=, 추가=마법의 총알, 추가설명=,
추가2=큰 마법의 총알, 추가2설명=, 추가2w=2,
버프=마법의 모자(버프),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적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한 뒤 대상을 향해 5발의 총알을 발사한 후, 강력한 총알 한 발을 장전한 뒤 발사해 200%의 피해를 입힌다. 모든 총알을 발사하면 대상의 반대편으로 이동해 같은 공격을 반복하며, 총알들은 파일:Calamity Mod/벳시의 저주.png벳시의 저주, 파일:Terraria/이코르(디버프).png이코르, 파일:Calamity Mod/갑옷 박살.png갑옷 박살, 파일:Calamity Mod/죽음의 각인.png죽음의 각인, 파일:Calamity Mod/속삭이는 죽음.png속삭이는 죽음 디버프를 입힌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청록색 우산, 영=Cyan Umbrella,
버프=마법의 모자(버프), 툴팁=모자는 당신의 혼을 보관하고 계약으로 얽매여 있습니다)]
적 근처로 이동해 빠르게 회전하거나 대상을 향해 돌진한다.

모자는 챙 뒷부분의 몇 픽셀이 잘려나간 모습을 하고 있어, 플레이어가 실재로 모자를 착용하고 있는 듯한 연출을 보여준다. 만약 플레이어가 투명화 포션 등으로 인해 투명한 상태라면 완전한 모자의 모습으로 전환된다. 또, 모자는 사용자가 머리에 장착한 염료의 색을 따라간다.

여담으로, 무기의 모습과 영문명 속 'Temporal'이라는 단어, 그리고 아이템 및 버프 툴팁은 게임 'A Hat in Time'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또, 이 무기는 고유 희귀도를 가지고 있는데, 보라색(#D200FF)과 노란색(#FFF818)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만 일관성을 위해 16등급으로 분류한다.


===# 센트리 #===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1c1d1f><-2> 이름 || 공격력 || 넉백 || 마나 || 자동
공격
|| 등급 ||
파일:Calamity Mod/다람쥐 종자 스태프.png 다람쥐 종자 스태프
(Squirrel Squire Staff)
8 0.5
(극도로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0.svg
파일:Calamity Mod/부식성 두꺼비 스태프.png 부식성 두꺼비 스태프
(Caustic Croaker Staff)
8 0
(없음)
10 o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녹슨 신호기 프로토타입.png 녹슨 신호기 프로토타입
(Rusty Beacon Prototype)
8 0.5
(극도로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1.svg
파일:Calamity Mod/폴립 발사기.png 폴립 발사기
(Harvest Staff)
12 0
(없음)
10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수확의 스태프.png 수확의 스태프
(Polyp Launcher)
27 5
(보통)
10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혹한의 스태프.png 혹한의 스태프
(Cryogenic Staff)
50 4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11.svg
파일:Calamity Mod/오르토세라스 껍질.png 오르토세라스 껍질
(Orthocera Shell)
53 2
(매우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5.svg
파일:Calamity Mod/공포지뢰 스태프.png 공포지뢰 스태프
(Dreadmine Staff)
60 4.5
(보통)
10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하이브 포드.png 하이브 포드
(Hive Pod)
75 4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가시바위 스태프.png 가시바위 스태프
(Spikecrag Staff)
56 2
(매우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8.svg
파일:Calamity Mod/펄스 포탑 조종장치.png 펄스 포탑 조종장치
(Pulse Turret Remote)
150 0
(없음)
1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Dark Orange.svg
파일:Calamity Mod/성스러운 불꽃.png 성스러운 불꽃
(Sanctified Spark)
128 5
(보통)
10 o 파일:Terraria/희소성/11.svg
파일:Calamity Mod/아쿠아의 셉터.png 아쿠아의 셉터
(Aqua's Scepter)
65 6
(보통)
5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망각의 안내등.png 망각의 안내등
(Guidelight of Oblivion)
75 5
(보통)
1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썩어가는 시체.png 썩어가는 시체
(Cadaverous Carrion)
384 4
(약함)
1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2.svg
파일:Calamity Mod/아틀라스 군수품 신호기.png 아틀라스 군수품 신호기
(Atlas Munitions Beacon)
200 4.75
(보통)
1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6.svg

2.4. 하드모드 이전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다람쥐 종자 스태프, 영=Squirrel Squire Staff,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8, 넉=0.5, 마=10,
조합=,
링1=나무, 링1문서=아이템/블록,
글2=(10) +,
링2=도토리, 링2문서=아이템/가구,
글9=@,
링9=작업대,
보물2=,
링21=스타터 백,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100%))]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다람쥐 종자, 영=Squirrel Squire, 확장자=gif, 버프=, 툴팁=다람쥐 종자가 당신을 지켜줄 것입니다)]

스타터 백에서 지급되는 센트리 무기로, 근처에 적이 있으면 도토리를 던지는 다람쥐를 소환한다. 스타터 백에서 지급되는 무기 치고 대미지도 좋고 AI도 그렇게 나쁜편이 아닌지라, 무난히 쓸 만한 센트리.
원래는 다람쥐를 미니언으로 소환하는 무기였지만, 센트리 무기로 바뀌었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식성 두꺼비 스태프, 영=Caustic Croaker Staff, 희소=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8, 넉=0, 마=10, 은=20,
드롭=,
링1=방사능 두꺼비,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0,
글2=(5%))]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방사능 두꺼비, 영=Nuclear Toad, 확장자=gif, 구분자=(센트리), 버프=, 툴팁=적이 근처를 지나갈 경우 폭발하는 두꺼비를 소환합니다)]

사용 시 적이 접근하면 폭발하여 피해를 주는 덩어리 9개로 분열되는 두꺼비를 소환한다. 해당 공격은 적에게 파일:Calamity Mod/피폭.png피폭 디버프를 입힌다.

센트리로 분류되지만, 사용 방식은 지뢰와 유사하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녹슨 신호기 프로토타입, 영=Rusty Beacon Prototype, 희소=Blu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8, 넉=0.5, 마=10, 은=20,
보물=,
링1=유황 바다, 링1모드=, 링1문서=지형, 링1문자만=,
글2=의, 글2트림=,
링2=녹슨 상자,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가구, 링2한줄로=,
조합2=,
링21=황산 비늘, 링21모드=,
글22=(20) +,
링22=[철/납] 주괴, 링22문서=아이템/재료/광물,
글23=(10) @,
링2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녹슨 드론, 영=Rusty Drone, 버프=, 툴팁=연약한 드론이 당신을 관찰하고 있습니다)]

커서를 누른 곳에 드론을 소환하며, 드론은 파일:Calamity Mod/피폭.png피폭 디버프를 입히는 독성 파동을 2초마다 전개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폴립 발사기, 영=Polyp Launcher,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2, 넉=0, 마=10, 은=40,
구입=,
링1=바다의 왕,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2,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폴립 무리, 영=Polyp Bunch, 확장자=gif, 버프=, 툴팁=근처의 적에게 산호 덩어리를 발사하는 폴립 무리를 소환합니다)]

중력의 영향을 받고 명중 시 1~4개로 분열하는 산호 덩어리를 발사하는 폴립 무리를 소환한다.

산호 덩어리의 피해량이 낮고 명중률도 그리 좋지는 않지만, 공격 속도가 빠르고 분열한 파편이 흩뿌려지는 범위가 꽤 넓어 잡몹전에서는 은근히 쓸 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수확의 스태프, 영=Harvest Staff,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7, 넉=5, 마=10, 은=40,
조합=,
링1=아무 나무, 링1문서=아이템/블록, 링1확장자=gif,
글2=(20) +,
링2=호박,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구분자=(식물),
글3=(20) +,
링3=호박 씨앗, 링3문서=아이템/블록,
글4=(5) +,
글9=@,
링9=작업대)]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호박 둥지, 영=Pumpoem Nest, 툴팁=,)]

사용 시 호박 둥지를 하나 불러내고, 둥지 근처에서 호박들이 자라난다. 플레이어나 적이 근처로 다가오면 호박들은 땅에서 튀어나온다.
호박들은 플레이어의 근처에서는 신난 듯이 뛰어다니고, 적이 근처로 다가오면 몸을 던져 자폭한다. 근처에 아무 대상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일반 몬스터처럼 주위를 배회한다.

2.5. 하드모드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혹한의 스태프, 영=Cryogenic Staff, 하드=, 희소=Purple, 자동=,
유형=소환 무기\, 재료, 공=50, 넉=4, 마=10, 금=24,
구입=,
링1=대마법사,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48,
링2=금화, 링2문서=아이템/블록, 링2사진만=,
글3=), 글3트림=,
글8=(모든, 글8개행=,
링8=기계 보스, 링8문서=이벤트, 링8문자만=,
글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얼음 센트리, 영=Ice Sentry, 버프=, 툴팁=당신을 위해 싸울 얼음 구조물을 소환합니다)]

제자리에 고정되어 적을 1회 관통하고 파일:Terraria/서릿불.png서릿불 디버프를 100% 확률로 1초간 유발하는 얼음 볼트를 발사한다. 적이 주변에 계속 있으면 소환수의 공격 속도가 서서히 증가하고, 공격 속도가 최대에 달했을 땐 주변의 적이 모두 죽을 때까지 고드름을 사방으로 난사한다.

하드모드 초반에 얻을 수 있는데, 성능을 보면 문로드까지 가져갈 만 하다.

개발자 무기인 엔도제네시스의 재료로 사용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오르토세라스 껍질, 영=Orthocera Shell, 하드=, 희소=Pink,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53, 넉=2, 마=10, 금=4, 은=80,
드롭=,
링1=오르토세라스, 링1모드=, 링1문서=이벤트, 링1h=24,
글2=(5%))]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날아다니는 오르토세라스, 영=Flying Orthocera, 확장자=gif, 버프=, 툴팁=커서를 누른 곳에 날으는 오르토세라스를 소환합니다)]

사용 시 파일:Calamity Mod/피폭.png피폭 디버프를 유발하는 산성 스트림을 발사하는 날아다니는 오르토세라스를 소환한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공포지뢰 스태프, 영=Dreadmine Staff,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60, 넉=4.5, 마=10, 금=9, 은=60, 예시=공격,
조합=,
링1=심연의 세포, 링1모드=,
글2=(30) +,
링2=공허석,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블록,
글3=(30) @,
링9=하드모드 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공포지뢰 터릿, 영=Dreadmine Turret, 버프=, 툴팁=당신을 위해 싸울 공포지뢰 터릿을 소환합니다)]

사용 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자신의 주변에서 지속적으로 적을 매우 느리게 쫓는 공포지뢰를 소환한다.
센트리의 공격력은 좋으나 지뢰의 속도가 느려터져, 속도가 빠르고 덩치가 작은 보스 상대로 활용하기 까다롭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하이브 포드, 영=Hive Pod,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75, 넉=4, 마=10, 금=9, 은=60,
드롭=,
링1=하이브,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14.29%),
글3=(, 글3개행=,
링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3모드=, 링3문서=보스, 링3문자만=, 링3트림=,
글4=격파 이후),
보물2=,
링21=아스트랄 크레이트, 링21모드=, 링21문서=아이템/소모품, 링21h=24,
글22=(20%),
글23=(, 글23개행=,
링23=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23모드=, 링23문서=보스, 링23문자만=, 링23트림=,
글24=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하이브, 영=Hive, 버프=, 툴팁=당신을 보호해주는 아스트랄 하이브를 소환합니다)]

제자리에 고정되어 주변의 적에게 유도되는 하이블링을 소환한다. 플랫폼 위에는 올려둘 수 없으며, 플랫폼 위에서 소환할 경우 블록을 만날때까지 내려가다가 블록 위에서 멈춘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가시바위 스태프, 영=Spikecrag Staff, 하드=, 희소=Yellow,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56, 넉=2, 마=10, 금=12,
드롭=,
링1=궤멸자,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가시바위, 영=Spikecrag, 버프=, 툴팁=당신을 보호해주는 가시바위를 소환합니다)]

플랫폼과 블록 위에 설치할 수 있고, 위쪽 반원지형에 가시를 잔뜩 투척하는 센트리를 소환한다. 광역 다단히트라는 특성 덕에 아스트럼 데우스와 같은 지렁이 보스 상대에 매우 좋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입수침범=,
한=펄스 포탑 조종장치, 영=Pulse Turret Remote, 하드=, 희소=Yellow, 희소2=Dark Orang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50, 넉=0, 마=10, 금=12,
조합=,
링1=수상한 도금판, 링1모드=, 링1h=18,
글2=(18) +,
링2=기이한 전기회로, 링2모드=, 링2h=18,
글3=(12) +,
링3=생명 합금괴, 링3모드=, 링3h=24,
글4=(5) +,
링4=감염된 갑옷 도금판, 링4모드=, 링4h=18,
글5=(5) @,
링5=하드모드 모루, 링5문서=아이템/가구/작업,
글8=(, 글8개행=,
링8=암호화된 설계도면 (정글), 링8모드=, 링8문서=아이템, 링8한줄로=, 링8트림=,
글9=해독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펄스 포탑, 영=Pulse Turret, 버프=, 툴팁=집중된 에너지 폭발로 주변의 적을 제거하는 펄스 포탑을 소환합니다)]

사용시 고정형 펄스 포탑을 생성한다. 이 소환수의 투사체는 폭발성이며 적을 유도하는 기능이 있고 3번 타격 시마다 3번 폭발한다. 또한 유기체가 아닌 적에게 최대 체력의 0.2%에 해당하는 추가 대미지를 입힌다.

2.6.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성스러운 불꽃, 영=Sanctified Spark, 포문=, 희소=Purpl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28, 넉=5, 마=10, 금=24,
드롭=,
링1=불경한 이몰레이터,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6.67%))]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부정한 에너지, 영=Profaned Energy, 버프=, 툴팁=당신을 위해 싸울 부정한 에너지를 소환합니다)]

문로드 직후 얻을 수 있는 센트리로, 제자리에 고정된 부정한 에너지를 소환한다. 부정한 에너지는 주변의 적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로 유도성 불꽃을 속사하며, 불꽃은 3초간 신성한 불꽃 디버프를 유발한다.

부정한 에너지는 벽 너머의 적을 감지할 수 없으며, 불꽃 또한 타일을 관통하지 못한다. 또, 이 센트리는 동시에 다수의 적을 공격할 수 없다. 그만큼 단일 대상 상대로는 문로드가 드롭하는 다른 센트리들을 압살하는 피해량을 보여 주기 때문에, 포문 초반 보스들 상대로 꼭 써 주자.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망각의 안내등, 영=Guidelight of Oblivion,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75, 넉=5, 마=10, 금=30,
드롭=,
링1=스크라일러, 링1모드=, 링1문서=몬스터, 링1h=24,
글2=(5%),
글8=(, 글8개행=,
링8=프로비던스, 링8모드=, 링8문서=보스, 링8문자만=, 링8트림=,
글9=격파 이후))]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영혼 등불, 영=Soul Lantern, 확장자=gif, 버프=, 툴팁=당신을 위해 싸울 등불 터렛을 소환합니다)]

소환된 위치에서 위아래로 떠다니는 영혼 등불을 소환한다. 등불은 소환된 이후 지속적으로 빨간 불똥을 주위에 생성하며, 이 불똥은 주변의 적들에게 유도된다. 불똥은 블록을 관통해 이동할 수 있고, 적과 접촉 시 폭발해 피해를 입힌다.

불똥을 생성하는 주기가 은근 길고, 불똥 자체의 속도도 느려 위의 성스러운 불꽃보다 못한 성능을 보인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쿠아의 셉터, 영=Aqua's Scepter, 포문=, 희소=Turquois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65, 넉=6, 마=50, 금=30,
조합=,
링1=아쿠아 셉터, 링1문서=아이템/무기/마법,
글2=+,
링2=비구름 막대,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장갑 외피, 링3모드=, 링3h=24,
글4=(3),
글9=@, 글9개행=,
링9=고대의 머니퓰레이터,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폭=300px, 나열=,
한=먹구름, 영=Storm Cloud, 툴팁=,)]

사용 시 제자리에 고정된 커다란 먹구름을 소환한다. 먹구름은 그 아래로 초당 20방울의 빗방울을 떨어뜨리며, 빗방울은 플랫폼은 통과하지만 일반 블록은 통과하지 못한다. 또, 빗방울은 적을 1회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한 투사체는 40%의 피해량만 입힌다. 적이 근처에 있을 경우 1초마다 무기 공격력의 720% 피해를 입히는 테슬라 아우라를 뿜어댄다.

딜량은 앞선 센트리들보다 월등하지만 공격 범위가 센트리 아래로 한정되어 있어, 사용하는 데 있어 조건을 많이 탄다. 끝없는 공허와 같이 속도가 느리거나 제자리에 고정된 패턴이 많은 보스들 상대로는 훌륭한 성능을 보여준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썩어가는 시체, 영=Cadaverous Carrion, 포문=, 희소=Pure Green,
유형=소환 무기, 공=384, 넉=4, 마=10, 금=35,
드롭=,
링1=늙은 공작,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늙은 공작의 머리, 영=Old Duke Head, 확장자=gif, 버프=, 툴팁=땅속에서 역겨운 늙은 공작의 머리를 소환합니다)]

센트리의 왕. 사용시 무기를 드롭하는 보스인 늙은 공작의 머리를 그대로 소환한다. 공작의 머리는 공중에 띄울 수 없으며 반드시 플랫폼이나 블록 위에서만 소환된다. 공작의 머리는 적에게 유도되며 파일:Calamity Mod/황산 중독.png황산 중독 디버프를 유발하는 유황 상어를 빠르게 뱉어낸다.

머리가 뱉어대는 상어의 양이 굉장히 많고 그 피해량도 강력한데다, 적을 감지하는 범위도 생각보다 넓어서 블럭 위에만 소환할 수 있다는 단점이 많이 상쇄된다. 특히, 블럭으로 불러싸인 제한된 아레나에서 싸워야 하는 슈칼전에서 발군의 성능을 보여준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틀라스 군수품 신호기, 영=Atlas Munitions Beacon,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200, 넉=4.75, 마=10, 금=48,
드롭=,
링1=XM-05 타나토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머리(일반), 링1h=24,
글2=(100%))]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틀라스 군수품 포탑, 영=Atlas Munitions Turret, 확장자=webp,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틀라스 군수품 기관포, 영=Atlas Munitions Autocannon, 확장자=webp,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틀라스 군수품 낙하 포드, 영=Atlas Munitions Drop Pod, 확장자=webp, 툴팁=,)]

타나토스가 드롭하는 센트리. 사용 시 캡슐 하나가 하늘에서 떨어지고 그 안에서 개틀링 포탑이 튀어나온다. 포탑은 적을 향해 푸른색 광선을 난사하고, 대상이 45타일 이내에 있다면 푸른 광선 대신 붉은 과부하 광선을 조금 느린 속도로 3발씩 발사한다. 과부하 광선은 일반 푸른 광선보다 속도가 더 빠르며, 18% 많은 피해를 입힌다.
포탑은 과부하 광선을 발사하면 점점 과열되고, 과부하 광선을 100발 발사하면 포탑 자체가 과부하 상태가 되어 3초간 공격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3초가 지나 포탑이 완전히 식으면 다시 공격을 시작하고, 포탑이 완전히 과부하된 상태가 아닌 채로 공격을 멈춰도 알아서 식는다.
특이사항으로, 이 무기는 다른 센트리들과 달리 포탑 자체를 원거리 무기처럼 활용할 수 있다. 무기를 든 채로 포탑을 반경 12.5타일 내에서 우클릭하면 포탑에서 위의 기관포를 떼어 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애서는 포 발사 속도가 25% 빨라진다. 포탑 픽업 반경 외에서 다시 우클릭하거나 다른 아이템을 들면 포를 손에서 떨어뜨리며, 무기를 든 채로 반경 내에서 우클릭한다면 포를 다시 포탑에 탑재한다.
포를 든 상태에서도 계속 쏘다보면 과열이 발생하는데, 완전히 과열되면 플레이어는 앗 뜨거! 하는 메시지와 함께 무기를 떨어뜨린다. 바닥에 떨어진 무기는 자동으로 식으며, 플레이어가 우클릭으로 주울 수 있다. 포를 일정 시간동안 줍지 않으면 자동으로 사라지며 이 때 포대도 함께 사라진다.

무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 시 더미에다 대고 때리면 서머너 세팅으로 Dps가 십수만 대에 이르는, 앵간한 개발자 무기들조차 넘보지 못하는 미친 딜량을 자랑하지만 그놈의 예열로 인한 상당한 딜로스와 떨구면 일일이 주우러 가야 하는 점 때문에 어느 정도 예능 무기에 가깝다. 이 점들 때문에 위의 썩어가는 시체에게 최고의 센트리 자리를 내어 준 것이기도 하고.


===# 기타 #===
||<rowbgcolor=#036><table bordercolor=#036><tablebgcolor=#fff,#1c1d1f><-2> 이름 || 공격력 || 사용
시간
|| 넉백 || 마나 || 자동
공격
|| 등급 ||
파일:Calamity Mod/자포동물.png 자포동물
(Cnidarian)
8 25
(빠름)
3
(매우 약함)
- o 파일:Terraria/희소성/2.svg
파일:Calamity Mod/슬라임 인형 스태프.png 슬라임 인형 스태프
(Slime Puppet Staff)
10 29
(보통)
3.6
(약함)
10 o 파일:Terraria/희소성/4.svg
파일:Calamity Mod/보레알리스 봄버.png 보레알리스 봄버
(Borealis Bomber)
35 19
(보통)
5
(보통)
10 o 파일:Terraria/희소성/7.svg
파일:Calamity Mod/비탄의 재.png 비탄의 재
(Cinders of Lament)
1,666 80
(굼벵이)
0
(없음)
10 o 파일:Calamity Mod/희소성/15.svg
파일:Calamity Mod/플렘스티드 반지.png 플렘스티드 반지
(Flamsteed Ring)
1,999 9
(매우 빠름)
1
(극도로 약함)
200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6.svg
파일:Calamity Mod/우주 분해기.webp 우주 분해기
(Universe Splitter)
15,000 9
(매우 빠름)
7
(강함)
300 x 파일:Calamity Mod/희소성/16.svg

2.7. 하드모드 이전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자포동물, 영=Cnidarian, 희소=Green,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8, 시=25, 넉=3, 발=20, 은=40, 예시=공격,
조합=,
링1=바다 잔해, 링1모드=,
글2=(2) @,
링9=모루)]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자포동물, 영=Cnidarian, 구분자=(낚시 찌),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자포동물 낚싯대, 영=Cnidarian Fishing Rod, 툴팁=,)]

사용 시 전기 해파리가 낚여있는 낚시대를 내민다. 커서를 이동하면 낚싯줄이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흔들리고 커서가 피벗 포인트로 사용된다. 적이 근처에 있다면 최대 3명의 적을 선택하고 데미지의 50%를 입히는 전기 스파크를 내뿜어 적을 공격한다. 또한 해파리를 빠르게 휘두르면 채찍과 유사한 판정으로, 소환된 다른 미니언들이 공격당한 적을 목표로 삼는다. 공격 방식이 특이한 데다가 조작감도 난해한 편이다.

앞서 언급햇듯이 채찍과 같은 용도로 쓸 수 있지만 무기 크기에 영향을 받는 접두사는 사용할 수 없어, 최고 접두사는 신의(Godly).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슬라임 인형 스태프, 영=Slime Puppet Staff, 희소=Light Red,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0, 넉=3.6, 마=10, 금=2, 은=40,
드롭=,
링1=슬라임 갓,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슬라임 인형, 영=Slime Puppet, 툴팁=,)]

사용 시 미니언 슬롯을 차지하지 않는 슬라임 인형을 소환한다. 슬라임은 사용자 주변을 떠다니다 반경 50 타일 이내의 적에게 돌진한다. 슬라임이 표적에 명중하거나 소환되고 5초가 지나면 폭발하며, 파일:Terraria/슬라임(디버프).png슬라임 디버프를 입힌다.

여담으로, 이전에는 이름처럼 지팡이 모양이었으나, 어째서인지 스프라이트만 부채 모양으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 소환 무기들은 최고 접두사가 무자비한(Ruthless)이지만, 이 무기는 소환수가 미니언 슬롯을 차지하지 않으며 짧은 시간에 다수의 미니언을 소환하는 게 데미지 아웃풋이 높다는 독특한 특성 때문에, 가장 좋은 접두사는 신화의(Mythical).

2.8. 하드모드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보레알리스 봄버, 영=Borealis Bomber, 하드=, 희소=Lime,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35, 넉=5, 마=10, 금=9, 은=60,
드롭=,
링1=아스트럼 아우레우스, 링1모드=, 링1문서=보스, 링1구분자=/축소, 링1h=24,
글5=(25% /,
글6=33.33%, 글6색=,
글7=), 글7트림=,)]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아우레우스 봄버, 영=Aureus Bomber, 확장자=gif, 툴팁=,)]

아우레우스가 불러내는 아우레우스의 새끼와 흡사한 미니언을 소환한다. 아우레우스 봄버는 주변의 적에게 다가가 폭발해 피해를 입히며, 파일:Calamity Mod/아스트랄 전염.png아스트랄 전염을 2초간 유발한다. 봄버는 타일을 통과할 수 있지만, 그 너머의 적을 감지할 수는 없다.

아우레우스 봄버는 미니언 슬롯을 차지하지 않으며, 위의 슬라임 인형 스태프와 마찬가지로 신화의(Mythical)를 최고 접두사로 삼는다.

2.9.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달의 군주 이후 파일:Terraria/달의 군주/아이콘.png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비탄의 재, 영=Cinders of Lament, 포문=, 희소=Violet, 자동=,
유형=소환 무기, 공=1\,666, 넉=0, 마=10, 금=48,
기타=,
링1=유황 마녀, 링1모드=, 링1문서=NPC, 링1h=24,
글2=가, 글2트림=,
링2=무질서한 예배,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에, 글3트림=,
링3=인챈트, 링3모드=, 링3문서=NPC, 링3구분자=/발굴된, 링3한줄로=, 링3개행=,
글4='발굴된(Exhume)'을 부여했을 시 변형))]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카타클리즘, 영=Cataclysm, 구분자=(미니언), h=200, 툴팁=,)]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카타스트로피, 영=Catastrophe, 구분자=(미니언), h=200, 툴팁=,)]
'스스로 만든 죄와 함께 타락한마녀마음 속에 잠들어있는 악마와, 영겁의 끝을 기다리고 있다.'
위의 전이처럼, 무질서한 예배에 '발굴된' 인챈트를 부여해 획득할 수 있는 무기.
사용 시 카타스트로피와 카타클리즘 형제를 소환한다. 두 형제는 커서를 누른 곳에 소환되는데, 소환 0.67초 후 공격력이 45% 증가하고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해 경로의 모든 대상에게 피해를 입힌다. 플레이어에게 입히는 대미지는 200 / 260 / 320로, NPC들은 이 두 배의 피해를 입는다. 또, 형제는 돌진 시 지형을 무시하며 모든 대상에게 파일:Calamity Mod/취약성 주술.png취약성 주술 디버프를 입힌다.

쉬머에 던지면 무질서한 예배로 되돌아온다.

위의 슬라임 인형 스태프, 보레알리스 봄버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신화의(Mythical)가 최고 접두사다.

||<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1>[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플렘스티드 반지, 영=Flamsteed Ring, 포문=, 희소=Hot Pink, 희소2=linear-gradient(0deg\,#59E5FF\,#fff),
유형=소환 무기, 공=1\,999, 시=9, 넉=1, 마=200, 금=56, 예시=공격,
조합=,
링1=고귀했던 존재,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무기/근접, 링1h=24,
글2=+,
링2=전우주적 바이퍼 엔진, 링2모드=, 링2문서=아이템/무기/소환, 링2h=24,
글3=+,
링3=소용돌이 추진기, 링3문서=아이템/장신구, 링3h=20, 링3개행=,
글4=+,
링4=섀도우스펙 주괴, 링4모드=, 링4h=18,
글5=(5) +,
링5=코스밀라이트 주괴, 링5모드=, 링5개행=,
글6=(40) @,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안드로메다, 영=Andromeda, 설명=대형, 툴팁=역사의 일부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안드로메다, 영=Andromeda, 구분자=(소형), 설명=소형, 버프구분자=(소형)(버프), 툴팁=역사의 일부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include(틀:t인포박스/보조, 모드=Calamity Mod, 나열=,
한=안드로메다 UI, 영=Andromeda UI, 툴팁=,)]
'자, 대가를 치룰 시간이다.'
서머너 개발자 무기로, 칼라미티 전체를 통틀어 손꼽을 정도로 이질적인 무기. 사용하면 플레이어가 거대 로봇 형태로 변신한다. 이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게 되면 위의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나타나는데, 이 인터페이스 설정에 따라 플레이어의 공격 유형이 결정된다.
• 상단의 버튼이 표적 기호일 경우 - 소환 무기 이외의 무기를 사용 시 적을 무한 관통하는, 피해량 4200의 광선을 발사한다.
• 상단의 버튼이 초승달 모양일 경우 - 소환 무기 이외의 무기를 사용 시 커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무라사마를 연상시키는 검을 광범위한 형태로 휘두르며 5200의 피해를 입힌다.
또한 왼쪽 상단의 대괄호 모양의 것을 누르면 플레이어의 크기가 일반 NPC 수준으로 작아진다. 이 형태에서는 무기의 위력이 약해진다. 이 때 오른쪽 상단의 괄호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다시 원래 크기대로 돌아온다.

마지막으로 우측 하단의 번개 표시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엄청난 속도로 플레이어가 돌진한다. 만약 타일에 부딪힐 경우 꽃모양의 큰 폭발을 일으키고 다시 로봇 형태로 돌아온다.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만약 보스가 살아있을 동안 이 무기를 해제하면 6초 동안 파일:Calamity Mod/안드로메다 무력화.png안드로메다 무력화 디버프에 걸려 이동속도가 대폭 느려지고 해당 무기 재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아레스의 외골격과 함께 사용하면 플레이어 본인이 거대 메카가 된 듯한 느낌을 주며, 그만큼 외부 레퍼런스도 많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위키 참조.

[include(틀:t인포박스, 모드=Calamity Mod,
한=우주 분해기, 영=Universe Splitter, 확장자=webp, 포문=, 희소=Hot Pink,
유형=소환 무기, 공=15\,000, 넉=7, 마=300, 금=56, 예시=공격,
조합=,
링1=어봄비네이션, 링1모드=, 링1문서=아이템/소모품, 링1h=24,
글2=+,
링2=섀도우스펙 주괴, 링2모드=, 링2h=18,
글3=(5),
글9=@, 글9개행=,
링9=드레이돈의 용광로, 링9모드=, 링9문서=아이템/가구, 링9h=24)]
'이전 세대의 고대 유물로, 당신의 명령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정말 끔찍한 아이디어지만, 그게 당신이 생각해낸 건 아니니까 뭐... 맞죠?'
서머너 개발자 무기. 재료에 보스 소환템이 들어가는 것에서부터 보이듯, 이질적이기로는 플램스티드 반지 저리가라 할 수준이다. 사용 시 꽃 모양의 표식을 소환하고 2초 후 붉은 색 광선을 전개한다. 붉은 광선은 매 초에 하나씩, 6초간 총 6줄기가 전개되는데, 마지막 광선이 나타나고 1초가 지나면 엄청난 굵기의 파괴광선이 수 초 동안 내리꽂히며 화면이 페이드아웃된다. 이름처럼 우주를 절반으로 갈라버리는 듯한 연출.
기본 공격력부터가 15000인 만큼, 우주 분해기는 화려한 연출과 더불어 엄청난 dps를 뽐낸다. 엔드게임 장비를 모두 맞춘 상태라면 공격 한 방 만으로 수십만의 dps를 뽑아낸다. 가히 칼라미티 모드 최강의 무기라 할 만 하다. 모든 공격은 반드시 파일:Terraria/전격.png전격 디버프를 가한다.

한 방이 광장히 강력한 만큼, 사용 후 45초의 비교적 긴 쿨타임이 돌아간다. 쿨타임이 다 돌기 전에 무기 사용을 시도하면 하늘에서 우주선 조각이 떨어져 사용자에게 10 / 20 / 30의 피해를 입힌다.

무기 사용 양상이 일반적인 소환 무기보다는 마법 무기에 가깝다. 그 때문에 최고 접두사를 신화의(Mythical)로 생각할 수 있는데, 애초에 서머너라면 장신구들에 전부 치명타 관련이 아닌 공격력 +4% 옵션을 붙여 놓았을 터라 신화의 접두사만으로 무기 치명타를 기대하기 힘들다. 또, 접두사와 무관한 고정 45초의 쿨타임을 갖고 있어 마나 소모량 감소, 사용 시간 감소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전무하다시피 해서, 결과적으로는 깡딜을 가장 많이 올려 주는 무자비한(Ruthless)이 가장 무난한 선택지다.




[1] 다만 이 점 때문에 하이브 종양이나 퍼포레이터 낭포를 죽여버리는 대참사를 일으킬 수도 있으니 주의가 팔요하다.[2] 뻐끔전사는 점프할 때만 구름을 발사할 수 있다.[3] 이 때 미니언은 접촉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4] 입자는 대미지를 입히지 않는다.[5] 물론, 그 시점에는 무기들에 각종 디버프 등의 부가 효과가 달려있는데다 보스 및 기타 몬스터들의 방어력도 높아져, 청어 스태프의 효율이 급락하긴 한다.[6] 몰루스크 갑옷의 세트 효과 소환수와 같은 미니언. 다만 이쪽 경우에는 공격력이 70이 아닌 140으로, 두 배로 강력하다.[7] 애초에 보호막 자체가 별 기능 없는 단순 시각적 효과일 뿐이긴 하다.[8] 가시의 수는 현재 플레이어 주변의 가시 수와 일치한다.[9] 발사됨과 동시에 디스폰되는 판정이다.[10] 광폭화하지 않은 경우 한정.[11] 사실 무기 본체를 공중에 내던지는 것에 더 가깝다.[12] 애초에 짭칼이 쌍둥이를 베이스로 제작된 보스이긴 하다.[13] 슬라임의 피해량과 크기는 각각 (무기 공격력)×(1+log8(차지한 슬롯)), (1+log10(슬롯 수))의 공식을 따른다.[14] 만약 플레이어가 개구리 뒷다리를 장착 중이라면 속도 증가율은 5%로 떨어진다.[15] 꽃은 한 송이당 0.6 미니언 슬롯을 차지한다.[16] 궤적은 피해를 입히지 않는 순수 시각적 효과에 불과하다.[17] 소환수의 타겟과 플레이어가 순간적으로 멀어지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18] 이는 무기 드롭 몬스터인 방사능의 공포도 마찬가지.[19] 특히 돌진 패턴은 인페 디오갓이 3페이즈에 사용하는 돌진과 꼭 닮아있다.[20] 원래는 소환을 거듭할수록 몸통도 굵어졌으나, 패치로 길이만 늘어나도록 조정되었다.[21] 자석 하나는 0.5 미니언 슬롯을 차지한다.[22] 물론 미니언 한 개체만 놓고 본다면 불타는 용이 칼란드라의 무기 하나, 폴 워퍼의 자석 하나보다 훨씬 강력하다. 그러나 슬롯 5칸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5개의 거울 무기나 자석 5쌍이 용 한 마리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강력하다.[23] 주인공인 엘스터의 식별코드가 엘스터-512이며 아리안느가 탄 우주선의 이름이 펜로즈-512.[24] 파일:Calamity Mod/전우주의 비물질화 장치(구).png[25] 앞서 스프라이트가 변경된 엑소블레이드도 마찬가지.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Calamity Mod/아이템/무기]]}}}{{{#!if external != "o"
[[Calamity Mod/아이템/무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uuid=c2870dc7-e43b-4707-b4bc-0482dd34d2ff|r2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uuid=c2870dc7-e43b-4707-b4bc-0482dd34d2ff#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Calamity Mod/아이템/무기?from=23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Calamity Mod/아이템/무기]]}}}{{{#!if external != "o"
[[Calamity Mod/아이템/무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uuid=c2870dc7-e43b-4707-b4bc-0482dd34d2ff|r2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Calamity Mod/아이템/무기?uuid=c2870dc7-e43b-4707-b4bc-0482dd34d2ff#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Calamity Mod/아이템/무기?from=23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