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21:48:49

Contrapasso

1. 개요2. Contrapasso -paradiso-3. Contrapasso -inferno-

1. 개요

t+pazolite가 작곡한, maimai 시리즈CHUNITHM 시리즈의 동시 수록곡이다. 곡명의 모티브는, 단테의 신곡에서 언급되는 개념인 콘트라파쏘. maimai에서는 paradiso라는 부제로, 츄니즘에서는 inferno라는 부제로 수록되어 있고, 부제의 모티브도 신곡의 3장 중 두 개의 장인 천국(paradiso)과 지옥(inferno)이다.

두 버전은 공통된 멜로디 라인을 갖되 코드, 전개 등의 세세한 면에서 차이가 있다. paradiso는 A♭ 장음계를 기반으로 하고, inferno는 A♭ 단음계를 사용해 비슷한 멜로디라인임에도 불구하고 곡의 밝기가 다르다.

t+pazolite의 4번째 앨범인 Good Evening, HOLLOWood 에 두 버전을 합친 롱버전인 Contrapasso -purgatorio-가 수록되어있다. 부제 역시 단테의 신곡 2장 연옥(purgatorio). 모티브인 신곡의 구성처럼 Inferno가 먼저 나온뒤 잠깐의 쉬는시간이 지나 paradiso가 이어진다.

2. Contrapasso -paradiso-

inferno 버전에 비해 도입부가 더 길어졌으며, 중반 진입 전 휴식구간이 짧아졌다. 최후한 하이라이트도 inferno보다 짧고 얌전하다.

2.1. maimai 시리즈

Contrapasso -paradiso-
파일:Contrapasso_paradiso.png
아티스트 t+pazolite
장르 maimai
BPM 243
버전 PiNK PLUS
최초 수록일 2016/07/28
maimai DX 난이도 체계
STANDARD
난이도 <colcolor=green,#0c0> BASIC <colcolor=orange> ADVANCED <colcolor=red> EXPERT <colcolor=#8324ff> MASTER
레벨 6 8+ 13(13.0) 14(14.4)
노트 수 TAP 266 436 665 776
HOLD 12 16 26 24
SLIDE 4 32 48 209
BREAK 5 9 12 15
합계 287 493 751 1024
보면제작 - - Jack rioN

2016.7.28부터 8.24까지 CHALLENGE TRACK으로 등장했고, 이후에는 통상 해금되었다.

2.1.1. MASTER


AP 플레이 영상.[1]

1024개에 달하는 노트 수와 209개의 슬라이드로 무장한 체력곡으로, 슬라이드를 미친듯이 긁어대야 하는 곡이다. 중반까지는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지만, 최후반부는 초반부에 나오던 슬라이드에 단타노트가 섞여서 탭+슬라이드 형태의 패턴이 상당히 어렵다. 최후반부에 체력이 모두 다한 상태라면 이 부분에서 점수가 많이 까이기 쉽다.

2.1.2. EXPERT


이론치 플레이 영상.[2]
빠른 손 이동을 요구하는 동시치기와 후반부 대우주를 연상케하는 폭타와 연타구간의 후살이 특징이다. 같은 작곡가의 곡이라 그런지 가라쿠타와 비슷한 패턴들이 많이 나온다. EXPERT 난이도 중에서는 상당한 체력을 요구하는 보면.

3. Contrapasso -inferno-

paradiso보다 초반 도입부가 더 짧고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더 격렬해졌다. 중반 휴식구간, 후반부는 더 길어져 곡 길이는 paradiso보다 10초가량 늘어났다.

3.1. CHUNITHM

파일:9jJ3Ct1.png
CHUNITHM 시리즈의 15레벨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CHUNITHM ~ PARADISE LOST ]
- & PLUS AIR & AIR PLUS
파일:chunithmstar_jacket.jpg 파일:츄니즘콘트라파소.jpg 파일:완구광주곡.jpg 파일:TiamaTF minor.jpg 파일:조율주.jpg
怒槌 Contrapasso -inferno- 玩具狂奏曲 -終焉- TiamaT:F minor 混沌を越えし我らが神聖なる調律主を讃えよ
STAR & STAR PLUS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World_Vanquisher.png 파일:마크로.jpg 파일:카르마.jpg 파일:츄니즘오토리.jpg
World Vanquisher macrocosmos 業 -善なる神とこの世の悪について- otorii INNOVATED -[i]3- }}}
AMAZON & AMAZON PLUS
파일:킬링리듬.jpg 파일:리벨리온.jpg
Killing Rhythm Rebellion
CRYSTAL & CRYSTAL PLUS PARADISE & PARADISE LOST
파일:트리익스터.jpg 파일:숙성심판.jpg 파일:메타버스.jpg 파일:chunithmanu.jpg 파일:EXTRA_chunithm.jpg 파일:이노리시초.jpg
Trrricksters!! 宿星審判 The Metaverse -First story of the SeelischTact- ANU X7124 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
}}}
[ NEW ~ LUMINOUS ]
||<#fff,#000><-12> NEW & NEW PLUS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설남.jpg 파일:거미줄.jpg 파일:츄니즘헐화.jpg 파일:parvorbital.jpg 파일:Strange Love.jpg
雪男 蜘蛛の糸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parvorbital Strange Love
파일:POTENTIAL.jpg 파일:p.eagate.573.jp/201707_ddr_00.jpg 파일:Λzure Vixen.jpg 파일:MALKUTH The Last Ruler of Terrestrials.jpg 파일:DAAT The First Seeker of Souls.jpg
POTENTIAL ENDYMION Λzure Vixen MALKUTH -The Last Ruler of Terrestrials- DA'AT -The First Seeker of Souls- }}}
SUN & SUN PLUS
파일:Aleph-0.jpg 파일:그라운드슬라이더.jpg 파일:Disruptor Array.jpg 파일:Daphnis.jpg 파일:To Be Continued.jpg 파일:invisible frenzy.jpg
Aleph-0(U) グラウンドスライダー協奏曲第一番「風唄」 Disruptor Array Daphnis To:Be Continued Invisible Frenzy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Arcaea/LAMIA.jpg 파일:Makear.jpg 파일:βlαnoir.jpg 파일:Chaotic Order.jpg 파일:sølips.jpg
LAMIA Makear βlαnoir Chaotic Ørder sølips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ZegalltA.png 파일:ラストピースに祝福と栄光を.png 파일:Ultimate Force.png
ZegalltA ラストピースに祝福と栄光を Ultimate Force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リ・フィクション・O.jpg 파일:StardustRAY(ongeki).png
リ・フィクション・O Stardust:RAY }}}
}}} ||
상수는 LUMINOUS 기준입니다.
초록 / 주황 / 빨강 / 보라 / 검정 배경 순으로 보면상수 15.0~15.4
(U) ULTIMA 난이도

CHUNITHM 난이도 체계
곡명 Contrapasso -inferno-
아티스트 t+pazolite
BPM 243
난이도 BASIC ADVANCED EXPERT MASTER WORLD'S END
4 9+ 12+ 15 !
☆☆☆
노트수 414 789 1582 2262 3333 (15.0)


MASTER AJC 영상

마이마이 버전에 비해 음악 자체가 격렬해지듯 패턴 역시 13+ 내에서 꽤나 격렬한 축에 속한다. 보면 상수는 13.9. 특히나 가독성 떨어지는 에어노트+탭/플릭 혼합 패턴이 초반부터 쏟아지기 때문에 초견살이 심한데다 적응도 하기 힘든 패턴 중 하나이다. 중후반부에는 고도의 처리력을 요구하는 탭 폭타가 나오기도 하며 특히나 후반으로 갈수록 고밀도 계단과 한 손으로는 공간인식기에다 대고 휘적거리는 에어, 다른 한손으론 폭타 및 슬라이드를 동시에 처리해야하는 기술도 요구한다. 이는 츄니즘의 보스곡들에서 자주 요구하는 테크닉이기 때문에 난이도 상수로 보나 체감 난이도로 보나 13+ 최상위 라인에 등극할 수 있었다.

CHUNITHM NEW가 가동되고 14+(14.9)레벨로 배정받아 구 13+ 최상위 자리를 유지했다. NEW PLUS에선 14.9에서도 최상위 자리를 유지하던 otorii와 함께 15레벨로 승격되었으며, 츄니즘 무인 버전 당시에는 이카즈치 빼고 독보적인 최강이었다.


[1] 플레이어는 Petals*.[2] 플레이어는 Ama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