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3:30:54

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2006)

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 (2006)
ECW December To Dismember (2006)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CWdectodismember2006.jpg
WWE ECW 개최 PPV
개최일 2006년 12월 3일 일 20시E/17시P
2006년 12월 4일 월 10시
경기장 조지아 주 오거스타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
James Brown Arena, Augusta, Georgia
테마곡 Drowning Pool "Bodies"
관중집계 4,800명
WWE의 PPV
서바이버 시리즈 디셈버 투 디스멤버 아마겟돈
디셈버 투 디스멤버
1995 2006
포스터 모델: 샌드맨 "YOU BETTER WATCH OUT..."

1. 개요2. 대립 배경
2.1. 하디 보이즈 VS MNM2.2. ECW 월드 챔피언십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3. 대진표 및 결과4. 이벤트 평가5. 쇼가 낳은 악영향

1. 개요

WWE의 역사 일부분을 당당히 장식하게 된 이벤트들 중 하나 DTD, 제목 그대로 기억에서 지워버리고 싶은 12월 PPV

디셈버 투 디스멤버December To Dismember(2006)는 WWE의 주최로 2006년 12월 3일 조지아주 오거스타 제임스 브라운 아레나에서 개최되는 ECW 브랜드의 단독 PPV[1]로, 이 해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개최된 PPV이다. 다시는 돌아올 수 없던 PPV 명칭은 1995년 ECW의 특별 이벤트로 개최된 디셈버 투 디스멤버를 그대로 따왔는데 이 때의 이벤트는 PPV가 아니었기 때문에 WWE가 개최한 2006년의 이벤트가 PPV로 개최된 첫 이벤트이다.

메인이벤트는 ECW 월드 챔피언십이 걸린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챔버 경기로 챔버 안에 무기를 넣어서 ECW 브랜드 이름에 걸맞은 자극적이고 난폭한 경기를 진행하는 것이었다. 출전선수들은 ECW 챔피언 빅 쇼를 비롯해 5명의 선수가 ECW TV 쇼에서 예선을 치러 진출하는 형식이었고 랍 밴 댐, CM 펑크, 바비 래쉴리, 사부, 테스트가 자리를 메꿨다.

한편 확정된 또 다른 경기는 제프 하디매트 하디하디즈가, 자니 나이트로(현재의 존 모리슨), 조이 머큐리, 그리고 매니저 멜리나로 이루어진 MNM을 상대하는 경기였다. 이들은 RAW와 스맥다운 소속이었는데, 이미 몇 달전부터 서로 갈등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제프 하디와 자니 나이트로의 경우 RAW에서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을 놓고 치열하게 싸우고 있었으며, 매트 하디와 조이 머큐리는 자신들의 파트너만큼은 아니지만 역시 갈등을 빚은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갈등관계가 얽히는 도중 하디즈가 재결합되었고 나이트로와 멜리나의 RAW 이적으로 해체된 MNM 역시 다시 재결합했다. 다시 뭉친 하디 형제는 디셈버 투 디스멤버에서 어떤 태그팀이든 상대하겠단 도전장을 내밀었고 이 도전장은 당연히 가장 치열하게 대립 중이었던 MNM이 이를 받아들이며 "딱 하룻밤만 개최되는 경기"(One Night Only)로 태그팀 경기가 확정이 되었다.[2] 하디즈의 경우 인기절정의 하디 보이즈가 갈라진 2002년 이후 4년 만에 뭉쳤기때문에 그들의 재결합을 기대하는 하디즈 팬이 많았고 MNM 역시 2005년 데뷔 이후 다소 정체된 태그팀 디비전에서 새롭게 떠오르던 태그팀이었기에 이들의 경기는 충분히 기대가 되는 흥미진진한 경기였다.[3]

한편 이 시기에 하디즈의 태그팀 상대 도전장을 거론한건 MNM 뿐은 아니었다. 뜬금없이 다른 레슬링 단체 TNA의 VKM(Voodoo Kin Mafia)[4] 이 하디즈의 도전을 받아들이겠다며 TNA 공식 홈페이지에 승낙 소식을 올리는 기행을 보였다. 그와 동시에 디셈버 투 디스멤버 이벤트에 모습을 보이겠다고해 화제가 되었는데 말과는 달리 행사 당일날 그들은 모습을 보이지도 않았다. WWE가 어떻게 대응할 진 본인들이 더 잘 알테니까.[5]

PPV가 개최되기 직전까지 확정된 경기들은 두 경기가 전부고, 나머지 경기들은 당일에 가서야 급조적으로 확정이 되었다. 이 때부터 이미 PPV에 대한 망조가 보였다.

해당 PPV 포스터는 Silent Night Deadly Night 라는 영화 포스터의 패러디이다.

2. 대립 배경

2.1. 하디 보이즈 VS MNM

2.2. ECW 월드 챔피언십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빅 쇼 VS CM 펑크 VS 테스트 VS 바비 래쉴리[6] VS 사부 VS 랍 밴 댐

3. 대진표 및 결과

태그팀 매치 <3.25점>
하디 보이즈[7] MNM
스트라이커 룰즈 매치[8] <0.5점>
볼스 마호니 맷 스트라이커
태그팀 매치 <1.25점>
FBI 일라이자 버크 & 실베스터 터카이
싱글 매치 <DUD>
타미 드리머 디바리
혼성 태그팀 매치 <-1점>
마이크 녹스 & 켈리 켈리 케빈 쏜 & 에리얼
ECW 월드 챔피언십 <2.5점>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빅 쇼 CM 펑크 테스트
바비 래쉴리 하드코어 할리[9] 랍 밴 댐

4. 이벤트 평가

  • 이 이벤트를 긍정적으로 기억할 사람들은 바비 래쉴리 가족 외에는 없을 것이라고 단정지은 리뷰들도 많았고, 많은 레슬링 리뷰어들은 이 이벤트를 당당하게 2006년 최악의 PPV로 꼽았다.
  • 슬램 레슬링은 이벤트 평점으로 10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며 "이미 와해된 이벤트를 그나마 구해낸건 두 개의 경기(하디즈 vs MNM, 익스트림 엘리미네이션 챔버)였다." 고 평했다.
  • 영국의 타블로이드 더 선은 디셈버 투 디스멤버 2006 관련 기사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었다. "이 이벤트가 진행되는 동안 자리 잡고 있어야했던 우리는 천천히 그리고 점점 삐뚤어져 찾아오는 ECW의 두번째 죽음을 이 이벤트를 통해 예상하는 것이 가능했었다. 그러한 예상은 지난 일요일 너무나 끔찍했던 디셈버 투 디스멤버 이벤트에서 나온 관중들의 "표 환불은 어디로?" 혹은 "병#" 챈트를 통해 가능하게 만들었다."
  • 한 레슬링 블로그에선 "난 이 이벤트가 지금까지 개최된 PPV들 중 제일 최악이란 말은 취소하겠다. 하지만 그 최악의 후보들 사이에 끼는건 당연하다. ECW란 브랜드는 이미 죽었고, WWE는 ECW의 팬들이 WWE가 개최하는 PPV 도중 "TNA" 챈트를 외치는 것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봐야한다."고 이야기했다.
  • TWNPnews.com에서 언급된 ECW 디셈버 투 디스멤버에 관한 내용 : "올해의 최악의 PPV들로 2개가 있는데 하나는 11월에 개최가 되었고, 다른 하나는 12월에 개최가 되었다. 뭐냐고? 사이버 선데이와 불운으로 가득찬 디셈버 투 디스멤버다.
  • 프로레슬링 전문 웹사이트 Gerweck.net의 2006년 Gerweck.net 시상식 "올해의 최악의 PPV" 부문에서 73%의 득표를 받아 다른 후보들의 득표율을 합쳐도 상대가 안되는 압도적인 격차로 수상을 차지했다.
  • 유명 프로레슬링 전문 웹진인 레슬링 뉴스 옵저버 뉴스레터의 2007년 레슬링 뉴스 옵저버 시상식[10] "올해의 최악의 PPV" 부문도 당당히 차지하며 2관왕의 영광(?)을 누렸다.

5. 쇼가 낳은 악영향

  • 이 PPV가 끝난 후, WWE 회장 빈스 맥마흔은 당시 ECW 브랜드 총 담당자 폴 헤이먼에게 엄청나게 화를 냈으며 이후 헤이먼은 유감의 뜻만을 전달한 뒤 2일 후 WWE에 사표를 내고 떠났다.[11]
  • 이 이벤트가 열리기 전까지 ECW 챔피언이었던 빅 쇼는 WWE가 해주는 대우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했는데, 이 이벤트를 기점으로 불편했던 감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WWE와의 재계약 협상을 접었다. 계약이 끝난 후 1년간 복싱 트레이닝 등 다른 활동에 전념하다가 2008년 2월 복귀한다.
  • ECW 이미지는 완전히 맛이 갔다. 특히 ECW PPV임에도 불구하고 이날 승리한 원조 ECW 선수(ECW 오리지널)은 볼스 마호니밖에 없다. 그것도 당시 자버급의 선수였던 매트 스트라이커를 상대한 경기였다. 당시 매트 스트라이커는 2008년 초까지 "해고 유력 후보"란 딱지를 붙이고 다니던 레슬러 시절과 달리 해설자로는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이며 스맥다운과 PPV의 고정 해설자가 된 데 이어 WWE를 떠난 후로도 해설자로 활동한다
  • 이날 이벤트에서 유일하게 덕을 본 선수는 바비 래쉴리 한 명인데 이후 빈스 맥마흔, 셰인 맥마흔, 우마가 등과 대립하는 등 WWE의 엄청난 푸쉬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딱 이 이벤트가 열린지 반년만인 2007년 여름 WWE가 자신에게 인종차별적인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회사를 관뒀다. 그런데 WWE는 이에 대해서 한 직원이 "마크 헨리에게 그런 발언을 사용했던 점은 사과를 하지만 래쉴리에겐 그런 적이 없다."고 이야기했고 래쉴리의 태도에 대해서 반박했다.


[1] ECW 브랜드가 개최했던 유일한 PPV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ECW 로스터로 명단을 채우기엔 무리였는지 RAW에선 존 모리슨(당시 자니 나이트로)과 제프 하디를, 스맥다운에선 매트 하디와 조이 머큐리를 출연시켰다.[2] 그런데 이건 결과적으로 WWE의 상술거짓말이었다. 왜냐하면 WWE 로얄럼블(2007)에서도 다시 붙었으니까...[3] 12월에 또 다른 PPV로 아마게돈이 존재했기때문에 굳이 여기서 경기를 치를 이유는 뭐냐는 비판도 많았다. 이 해의 아마게돈은 스맥다운 브랜드 전용 PPV였지만 이미 다른 브랜드의 선수가 넘어와 경기를 치르는 것은 비일비재한 상황이었다.[4] 멤버는 빌리 건과 로드독. WWE에선 뉴 에이지 아웃로스로 활동했던 태그팀. 그렇지만, 저작권 관계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게 불가능하자 빈스 맥마흔의 본명 Vincent Kennedy Mcmahon의 약자를 딴 VKM으로 이름을 정했다. 그리고 대놓고 빈스 맥마흔과 WWE를 조롱했었는데 이를 지켜보며 참다가 심기가 거슬린 빈스 맥마흔이 실제로 고소를 하려 했다. 그러자 TNA에선 Voodoo Kin Mafia라는 이름은 유지하되 WWE를 조롱하는 컨셉이 아닌 진짜로 부두교를 찬양하는 컨셉의 태그팀으로 활동시키게 되었다. 그런데 VKM의 컨셉이 바뀐 이유를 빈스 루소가 밝힌 바에 따르면 이 당시 HHH가 부상을 당하자 그를 존중하기 위해 컨셉을 버렸다는 이야기도 있다.[5] 그 유명한 DX의 WCW 침공 세그먼트(WWE 소속 선수들인 DX가 WCW 나이트로가 열리는 경기장 근처로 탱크를 몰고 가서 "문 열어라 겁쟁이들아"와 "친구인 케빈 내쉬스캇 홀을 돌려줘"를 소리치며 예고 없는 난동을 부린바 있다. 그리고 WCW 측의 에릭 비숍은 "웃기지 마."만 이야기하며 끝내 문을 열지 않았다.)때 DX에 속해있었던 빌리 건과 로드 독. 그런데 그들이 정작 WCW가 아닌 WWE를 공격한다쳐도 대응이야 똑같을 것이 뻔했다. VKM은 실제로 이전에 열린 몇 번의 WWE 하우스 쇼 개최지 앞에서 난동을 부리며 "우리와 붙어보자"를 소리치며 레슬링 팬들의 관심을 받았으나 진전은 없이 WWE만 조롱하는 행위를 계속 반복하자 이러한 관심도 금방 식었다.[6] RAW, 스맥다운 혹은 ECW 선수들 중 1명 랜덤으로 나오는 선수였는데, ECW의 하드코어 할리가 나타나 백스테이지에서 걷는 중에 바비 래쉴리가 나타나 그를 공격해 하드코어 할리 대신 바비 래쉴리가 출전하게 된다.그나마 덜 쓰레기같은 경기도 이따위로 운영했다.[7] 제프 하디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8] 매트 스트라이커가 정한 규칙을 지켜야 하는 경기 방식으로, 규칙은 "머리 잡아당기기 없기, 눈 찌르기 없기, 탑로프 기술 쓰지 않기, 거친 말 하지 않기.[9] 이벤트 당일 경기 직전 사부가 백스테이지에서 의문의 공격을 당해 결국 사부의 자리는 하드코어 할리가 대체하게 된다. 사실은 본래 사부가 백스테이지에서 낮잠을 자거나 경기 때마다 실수가 잦아 폴 헤이먼이 푸쉬를 주려고 해도 본인이 노력을 스스로 걷어찰 정도로 평이 안 좋았다. 그리고 디셈버 투 디스멤버 관련 촬영을 펑크내자 하드코어 할리로 대체되었으며 그나마 빅 쇼와 겨루며 갖고 있던 위상마저 잃는다.[10] 2006년 시상식의 부문 대상 기간이 11월까지였다. 이로 인해 다음 해에 열린 시상식의 후보가 되었다.[11] 폴 헤이먼이 12월 5일 ECW에 출연해 빈스 맥마흔에게 처음엔 빅쇼가 이기지 못한 게 억울하다는 내용의 말을 늘어놓다가 뜬금없이 떠날 겁니다. 그동안 고마웠어요.라는 폭탄발언을 하며 방송에 마지막으로 출연했다. 2012년 브록 레스너가 WWE로 돌아오면서 매니저 역할로만 돌아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