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3:53:49

F-5/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5
1. 개요2. 북아메리카
2.1. 미국2.2. 캐나다2.3. 멕시코2.4. 온두라스
3. 남아메리카
3.1. 브라질3.2. 칠레3.3. 베네수엘라
4. 유럽
4.1. 네덜란드4.2. 스위스4.3. 오스트리아4.4. 소련4.5. 스페인4.6. 그리스4.7. 노르웨이
5. 아시아
5.1. 대한민국5.2. 대만5.3. 중국5.4. 태국5.5. 인도네시아5.6. 남베트남/베트남5.7. 싱가포르5.8. 말레이시아5.9. 필리핀5.10. 이란5.11. 사우디아라비아5.12. 튀르키예5.13. 바레인5.14. 요르단5.15. 예멘
5.15.1. 후티
6. 아프리카
6.1. 모로코6.2. 튀니지6.3. 수단 공화국6.4. 리비아6.5. 케냐6.6. 에티오피아6.7. 보츠와나

1. 개요

F-5의 운용국에 대해 정리한 문서. 2024년 초 현재 전세계 F-5E/F 운용국 현황을 보면 한국 공군이 80대 보유로 1위다.[1] 그 뒤를 이어 미국 해군·해병대가 가상적기 용도로 53대를 보유해 2위를 차지했다. 브라질(44대), 스위스(42대), 이란(35대), 모로코(26대), 태국(25대), 케냐(21대), 튀니지(14대), 바레인(12대),온두라스(11대), 칠레(9대) 순이다.

2. 북아메리카

2.1. 미국

파일:F-5_USN_1.jpg
F-5N
최초 개발국. 현재는 가상적기 부대 및 민간군사기업에서 보유 중이다.

2.2. 캐나다

파일:CF-5_CAN_1.jpg
CF-116 Freedom Fighter
캐나다 에어 사에서 240기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운용하였다. 라이센스 생산된 기체는 캐나다 공군에만 납품되지 않고 CF-5라는 명칭으로 네덜란드에도 수출되었다. 미국의 민간 회사에서도 4기를 구매한 이력이 있다.

2.3. 멕시코

파일:F-5_Mexico_1.jpg
F-5E
멕시코 공군은 1982년까지 F-5E 12기를 보유하였으나, 2023년 기준으로는 단 4기만 운용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퇴역에 가까운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2.4. 온두라스

파일:F-5_Honduras_1.jpg
F-5E
온두라스군은 2021년을 기준으로 F-5E 3대와 F-5F 2대를 운용 중이다.

3. 남아메리카

3.1. 브라질

파일:F-5_Brazil_1.jpg
F-5EM
남미 최강의 공군 전력을 자랑하는 나라답게 78기를 도입하여 2022년 기준 F-5EM/FM으로 개조한 42기를 운용 중이다. 다만 대부분 국가들이 퇴역시키거나, 로우급으로 사용하는 F-5를 브라질은 2010년대까지 주력기로 운용하고 있다. 대신 싱가포르와 함께 유이하게 AIM-120 AMRAAM급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인 더비 미사일을 F-5로 운용하며, 브라질은 여기에 더해 글래스 콕핏으로 교체하고 데이터 링크를 설치하는 대대적인 개량까지 거쳤다. 이러한 개량 덕분에 현재는 브라질의 F-5EM/FM이 현존하는 F-5 계열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칠레, 페루, 베네수엘라 같은 남미의 이웃국가들이 각각 F-16, MiG-29, Su-30 등 F-5보다 한 단계 위인 전투기들을 운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브라질은 엠브라에르와 IAI에 F-5의 수명 연장과 대대적인 개조를 통해 F-5EM을 개수하는 수준으로 F-5 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브라질이 외교적으로 주변국들과 군사적으로 큰 긴장관계에 놓인 것도 아니었으며 주변국들이 보유한 전투기와 동급 수준으로 70대가 넘는 전투기를 대체하기에는 재정적으로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브라질 공군은 2010년대부터 도입을 확정한 JAS 39 그리펜을 주력기로 두고, F-5EM을 대체 중이기는 하나 2024년 기준으로도 F-5EM은 여전히 가동 중에 있다.

3.2. 칠레

파일:F-5_Chile_1.jpg
F-5E Tiger Ⅲ
칠레는 1970년대에 15대의 F-5E와 3대의 F-5F를 구입했으며, 1993년부터 타이거 III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였다. 2013년 3월 우루과이 공군은 칠레로부터 잉여 F-5 타이거 III 항공기 12대를 8천만 달러에 구매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여 칠레 공군에서 완전히 퇴역당하는 것이 확실시 되었으나, 2021년 12월 기준으로도 13대가 칠레 공군에 운용 중이다.

3.3. 베네수엘라

파일:F-5_Venezuela_1.jpg
VF-5A
베네수엘라 공군은 F-5에 VF-5라는 자체 명칭을 붙이고, 계열기 27대 (CF-5A 16대, CF-5D 4대, NF-5A 1대, NF-5B 6대)를 운용했었다. 2020년을 기준으로 9대를 손실한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중 3대는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대통령 집권기 우고 차베스가 일으킨 쿠데타 미수 사건 도중 OV-10에 의한 바르키시메토 공군기지 폭격으로 손실한 것이다. 1993년, 마지막 기체 수명 연장 개수를 받은 뒤 고질적인 경제난과 우고 차베스 정권에 들어서면서 미국과의 관계 악화, 기체 노후화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운용되는 모습이 꾸준히 줄어들었고, 2010년대 말에는 VF-5D 1대만 운용 가능한 상황이었다고 한다. 현재는 운용이 확인되고 있지 않으며, 퇴역했거나 보관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4. 유럽

4.1. 네덜란드

파일:F-5_Netherland_1.jpg
NF-5
1969년부터 72년 사이에 캐나다에서 라이센스 생산된 기체를 NF-5란 이름으로 105기를 도입했다. 1986년 F-16 도입으로 대체하기 시작하다가 1991년 3월, 마지막 기체까지 퇴역하게 된다. 대체 과정에서 네덜란드가 보유한 NF-5들 중 상당수가 튀르키예, 그리스, 베네수엘라에 중고로 판매되었다.

4.2. 스위스

파일:INT_F-5_CHE_7.png
F-5E Tiger Ⅱ
스위스 공군은 F-5E 42대와 F-5F 12대를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스위스 공군의 F-5에 관한 다큐, "Tigris Helveticus"

4.3. 오스트리아

파일:F-5_Austria_1.jpg
F-5E Tiger Ⅱ
오스트리아군은 J 35Ö 드라켄의 퇴역으로 인한 전력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스위스에서 F-5E를 대여해서 운용했었다.

4.4. 소련

과거 베트남과 에티오피아에서 노획한 F-5E 계열을 입수하여 MiG-21/23과 비교한 적이 있다.

4.5. 스페인

파일:F-5_Spain_1.jpg
SF-5M
스페인 공군은 훈련기 용도로 SF-5M 19기를 운용하고 있다.

4.6. 그리스

파일:F-5_Greek_1.jpg
F-5A Freedom Fighter
그리스 공군은 1965년에 최초의 55대의 F-5A를 받았다. 1975년에 10대를 이란으로부터 구매했고, 그 후 10대를 요르단으로부터 구매했다.

4.7. 노르웨이

파일:F-5_Norwegian_1.jpg
F-5A Freedom Fighter
노르웨이 공군은 1966년부터 1971년까지 총 108대의 F-5A, F-5B, RF-5A를 운용했었다.

5. 아시아

5.1. 대한민국

파일:F-5_ROK_2.jpg
KF-5
대만의 뒤를 잇는 최대 도입국 2위로 무려 340기에 이르는 F-5[2]를 도입했다. 이렇게 많이 도입한 이유는 1970년대 중/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4년 8월에 개량형인 F-5E/F 146기를 구입 계약했다. 이후에는 F-16A/B을 선정하여 1980년대 면허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의 지미 카터 행정부와 관계가 좋지 않아 이 방안이 거부된다. 차후 미국 대통령이 바뀌면 설득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10.26 사건이 발생하고 전두환 정부 시기 주영복 국방부장관이 면허생산 기종을 F-16에서 F-5로 바꾸도록 지시한다. 결국 1982년~1986년 사이에 대한항공(기체조립)과 삼성정밀(엔진부분)에서 KF-5 제공호 68대가 면허생산되었다.

직도입한 F-5는 2023년에 전량 퇴역했고, KF-5는 2030년까지 모두 퇴역할 예정이다. 빈자리는 F-35A, FA-50, KF-21이 채울 예정이다.

5.2. 대만

파일:F-5_Taiwan_1.jpg
F-5E
사상 최대의 F-5 도입국으로 무려 400기가 넘는 F-5를 도입했다. 1965년 7기의 A/B형을 도입한 이후 1971년 83기의 A/B형을 추가로 도입했다. 그러다 미 공군의 남베트남 공여 정책에 의해서 F-5A형 48기를 미 공군에 빌려줬는데 이후 20기만 되돌려받을 수 있었고 이후 28기는 F-5E형으로 돌려받았다. 1973년부터 대만의 AIDC가 F-5E를 라이선스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Peace Tiger'라는 명칭으로 총 6번의 Batch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서 242기의 F-5E와 66기의 F-5F를 도입하였다. 최종 Batch에서는 기수에 KF-5와 비슷한 샤크노즈를 장착하는 등 소소한 개량점이 존재한다.

1990년대 싱가포르에서 일부 기체가 RF-5E로 개수되기도 했고 2000년대 초반에 F-5에 대한 현대화 개량사업이 AIDC를 통해서 제시되었으나 대만 공군이 흥미를 보이지 않아서 사업이 그대로 묻혔다. 이후 급격히 퇴역하여 현재 소수만 운용중으로 파악된다. 특이하게도 대만의 F-5의 파일럿 중에는 북예멘에서 공중전과가 있다. 1979년 예멘은 F-5를 도입했는데, 운용 능력이 없어서 미국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 하에 대만의 조종사와 정비사를 파견한 적이 있다. 이때 공중전이 발생하여 실전에 투입된 것이다.

2023년말 마지막 남은 60대의 F-5E/F가 전량 퇴역했다.

5.3. 중국

대만 파일럿이 몰고 망명한 몇 대를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였고, J-7 개량의 레퍼런스로 삼았다.

5.4. 태국

파일:F-5TH_Thai_2.jpg
F-5TH
F-5A/B/C 30대 퇴역. 현재 F-5E/F/T/TH 40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점차 JAS 39 그리펜 등로 대체 중이다.

5.5.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공군은 16대의 F-5E/F를 운용하였으나, 안전 문제로 인해 인도네시아 공군 참모총장의 지시에 따라 2016년 5월 3일부터 퇴역했다.

5.6. 남베트남/베트남

1972년 남베트남 공군은 미국, 한국(36대), 이란, 대만(48대)으로부터 F-5A 158대, 10대의 RF-5A, 8대의 F-5B 훈련기를 받았다. 1975년 4월 남베트남 패망당시 태국으로 망명한 일부 기체를 제외하면 모두 북베트남 공군이 노획하고 운용했다.[3] 특이사항으로는 남베트남에서 망명한 기체 중 항공모함 USS 엔터프라이즈 CVN-65에 착함한 경우도 있었다는 것이다.

노획한 F-5 일부는 소련 측에 제공했으며, 이후 발발한 중국-베트남 전쟁에서는 중국 공군과 교전에 투입되기도 했다. 현재는 전량 퇴역 상태이다.

5.7. 싱가포르

파일:F-5_Singapore_1.jpg
F-5S
싱가포르 공군은 F-5가 짧은 이륙준비 절차와 작은 기체 크기 같은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의 환경에서 유리한 이점이 많았기에 싱가포르 본토 방위용으로 요긴하게 운용했었다. 별도의 개수를 통해 AIM-120 AMRAAM까지 탑재하고 운용했을 정도. 이후 F-15SG로 대체되었으며, 본토 방위 임무의 상당부분은 F-16이 넘겨받았다고 한다.

5.8. 말레이시아

파일:F-5_Malaysia_1.jpg
F-5E Tiger Ⅱ
말레이시아 왕립 공군은 4대의 F-5F를 훈련기로 사용했고, 16대의 F-5E 타이거 II는 정찰용으로 개수하여 운용했다.

5.9. 필리핀

F-5의 퇴역 이후 2015년 FA-50을 도입할 때까지 전투기가 없는 국가로 남아있었다.

5.10. 이란

파일:F-5_Iran_1.jpg
F-5E
이란 혁명 이전 총 180여 기에 가까운 F-5A/B/E/F와 RF-5A를 도입했다. 현재 60기 남짓 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란이 자체 개발한 HESA 아자라크쉬, HESA 사에케, HESA 코우사르라는 기체도 존재한다. 외형은 F-5와 거의 차이가 없으며, 이란 파생기는 자체 개발이 아니라 F-5를 재생, 개량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5.11. 사우디아라비아

5.12. 튀르키예

파일:F-5_Turkey_1.jpg
NF-5A/B
곡예비행대에서 NF-5A/B를 운용하고 있다.

5.13. 바레인

파일:F-5_Bahrain_1.jpg
F-5E Tiger Ⅱ
바레인군은 F-5E를 총 12기 운용하고 있다.

5.14. 요르단

5.15. 예멘

통일되기 전 북예멘에서 1979년에 14기를 도입했다.

5.15.1. 후티

위에 나온 구 북예멘 공군 기체 일부를 후티 반군이 접수하여 운용하고 있다.#

6. 아프리카

6.1. 모로코

파일:F-5_Morocco_1.jpg
F-5E Tiger Ⅱ
모로코 공군은 2021년을 기준으로 총 26기 (F-5E 22대, F-5F 4대)를 운용하고 있다.

6.2. 튀니지

2021년 12월 현재 11대의 F-5E와 3대의 F-5F가 운용 중이다.

6.3. 수단 공화국

6.4. 리비아

6.5. 케냐

2008년 7월 요르단 공군으로부터 구매하였으며, 2021년 12월 현재 17대의 F-5E와 6대의 F-5F가 운용되고 있다.

6.6. 에티오피아

6.7. 보츠와나



[1] 사고잦은 노후 전투기 F-5 보유국 세계 1위 된 韓…대만 60대 무더기 퇴역[2] A형 88기, B형 30기, RF-5A 8기, E형 126기, F형 20기, KF-5E 48기, KF-5F 20기[3] F-5A 87대, F-5E 27대를 노획했다고 보고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