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 | '''[[Forsaken(Roblox)|{{{#!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 }}} | ||||
{{{#!wiki style="font-family: '바탕','Batang',seri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등장인물 | ||||||
생존자 (스킨) · 살인마 (스킨) · NPC · 대사 및 상호작용 | |||||||
게임 관련 정보 | |||||||
감정 표현 · 아이템 · 맵 · 미션 · 업적 업데이트 로그 · 세계관 | }}} }}}}}} |
{{{#!wiki style="margin: -10px -5px; color: #000" | <tablebordercolor=#ffffff>{{{#!wiki style="margin: -10px -5px;" | <tablebordercolor=#000000> | |||
<colbgcolor=#000000> 1x1x1x1 1250${{{#!wiki style="margin: 10px -5px" | |||||
<colcolor=#fff> 정보 | |||||
난이도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 | ||||
체력 | 1100 | ||||
기본 속도 | 8 | ||||
달리기 속도 | 27 | ||||
최대 스태미나 | 110 | ||||
초당 스태미나 손실 | 10 | ||||
초당 스태미나 회복 | 20 | ||||
테마곡 | DOMINO EFFECT(도미노 효과) [1] 마일스톤 III, IV 1x1x1x1 추격 테마 [2] |
1. 개요
Forsaken의 살인마 캐릭터인 1x1x1x1에 서술하는 문서.모티브는 Shedletsky가 만든 테스트용 계정 1x1x1x1.
2. 인게임 정보
2.1. 소개
1x1x1x1 순수 독과 증오, 해골의 뼈, 그 자체의 물리적 발현. 전 관리자인 셰들레츠키보다, 1x1x1x1이 더 경멸하는 자는 없을 것 입니다. 베놈샹크를 손에 쥐고 있는 그는 시신을 이용해 부패한 존재를 소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리서 생존자를 표적으로 삼아 서서히 중독시킬 수도 있습니다. 사전 설명 |
2.2. 능력
패시브 | |||
기생 Parasitic "이 포럼의 링크를 유지하세요. 배포하고,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리세요."- Roblox 어드민 | |||
1x1x1x1의 모든 공격이 중독[Poisoned] 디버프와 글리치[Glitched] 디버프를 부여한다. |
평타 | |||
| 쿨타임 : 1.75초 | ||
1x1x1x1가 검을 앞으로 휘두르며 20의 피해량을 입히며 5초 동안 중독 1 디버프와 글리치 1 디버프를 부여한다. |
Q | |||
| 쿨타임 : 14초 | ||
1.7초의 텀을 가지며 검을 휘둘러 벽을 통과 가능한 충격파를 날린다. 1x1x1x1가 검을 휘두를때 검에 닿은 생존자는 5의 피해량을 입히며 3초 동안 중독 5 디버프와 6초 동안 글리치 4 디버프를 받는다. 충격파에 닿은 플레이어는 35의 피해량을 입히며 5초 동안 중독 1 디버프와 글리치 1 디버프를 부여받는다. 이 스킬의 시전 효과음은 400스터드 내의[7] 모든 생존자에게 들린다. |
E | |||
속박 Entanglement "나는 걔랑 같이 Crossroads에 들어갔는데, '그가 돌아온다!', '1x1x1x1이 널 찾아간다!' 같은 문구들이 나오면서 머리가 비처럼 내리기 시작했음."- Roblox 어드민[8] | |||
| 쿨타임 : 18초 | ||
0.75초의 텀을 가지며 1x1x1x1가 자신의 검을 던진다.[9] 생존자를 맞추었을 경우 10의 피해량을 입힌다. 또한 3초 동안 1x1x1x1에게 속도 2 버프를 부여하며, 2초 동안 맞춘 생존자의 위치를 노출시킨다. 생존자의 경우 10초 동안 무력함 1 디버프를 부여하며 팝업창을 클릭하지 않는 한 유지되는 느림 10 디버프[10]를 부여한다. 화면에 나타난 5개의 팝업창들을 클릭하면 느림 10 디버프가 즉시 해제되며 생존자는 1.25초 동안 속도 1 버프가 부여된다. |
R | |||
| 쿨타임 : 25초 | ||
1x1x1x1가 검으로 자신의 눈을 찢으며[12] 6.5초 동안 모든 생존자들의 위치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자신에게 실명 3[Blindness] 디버프와 속도 1 버프를 부여한다. |
T | |||
| 쿨타임 : 200초[15] | ||
1x1x1x1가 검으로 자신의 복부를 찔렀다가 다시 뽑으며 죽은 플레이어들의 송장에[16] 썩은 미니언을 소환한다. 소환된 좀비는 20의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14의 피해량을 입힌다. 좀비는 생존자가 자신으로부터 30 스터드 거리 내에 있을 시 플레이어를 추적하며 50 스터드 거리 내에서 떨어질 시 목표를 잃고 돌아다닌다. 1x1x1x1는 좀비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1x1x1x1가 직접 좀비를 죽일 시 자신에게 10초 간 속도 1 버프를 부여하며, 최대치는 속도 3까지이다. 1x1x1x1가 생존자를 죽일 때마다 능력을 충전하며 최대 1회까지 충전 가능하다. |
2.3. 스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1x1x1x1/스킨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orsaken(Roblox)/1x1x1x1/스킨 목록#|]][[Forsaken(Roblox)/1x1x1x1/스킨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평가
근거리와 원거리에서도 강력한 성능을 보이는 살인마로 Q, E 스킬 모두 투척형 스킬이다. 그 외에도 시야를 희생하는 대신 속도가 빨라지고 생존자의 위치를 볼 수 있는 R 스킬로 시작 시 사용해 생존자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생존자들이 발전기를 고치려고 모여있는 곳에 E 스킬을 사용해 움직임을 제한시키고 Q 스킬로 모여있는 생존자들의 피를 반토막 낼 수 있다. T 스킬 또한 죽은 생존자 수 만큼 좀비들을 소환하기에 남은 생존자들을 잡기에 최적화되어 있다[17].단점으로는 Q, E 스킬 모두 수평방향만 방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에 있는 생존자를 맞출 수 없으며,[18] Q스킬은 선딜이 길기에 생존자의 실력에 따라 빗맞출 가능성이 높고, E스킬은 히트박스가 다소 좁기 때문에 상당한 에임을 요구한다. 존 도나 제이슨만큼은 어려운 살인마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마냥 쉽지는 않은 편.
3.1. 팁
- Q스킬
- 만약 Q스킬을 가까이에서 맞추면 63.33데미지라는 엄청난 데미지를 입힌다. 상대가 가까이 있다면 E- 근거리 Q 콤보로 폭딜을 넣어 순식간에 죽일 수 있다.[19]
- Q스킬을 대놓고 사용하지 말자. 보통 다 보고 피하므로 무조건 E로 묶어놓고 원거리로 때릴 것. 예측샷이 어렵다면 그냥 정조준을 하는게 좋다.
- Q스킬은 빌더맨의 센트리를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다.
- 생존자 추격 중 스태미나가 바닥났다면 Q스킬을 사용하는 게 도움이 된다. Q스킬의 긴 선딜레이로 스태미나도 보충할 수 있고, 생존자는 스킬을 피하기 위해 반강제적으로 스태미나를 소비하게 된다.
- E스킬
- 추격중인 생존자와의 거리가 멀 때 E스킬로 정지시켜 거리를 좁힐 수 있다.
- 센티널 캐릭터들의 공격기를 피했다면 바로 E스킬을 사용하자. [20] 생존자의 공격기에는 모두 사용 후 감속 디버프가 달려있기에 맞추기 매우 쉬워진다.
- R스킬
- 게임이 시작하자마자 써주자.[21] 생존자의 위치를 파악해야 어디로 가야할 지를 알 수 있기 때문.
- R스킬에는 소소하게 속도 1 버프가 달려있어, 굳이 생존자의 위치를 추적할 상황이 아니더라도 꽤 쓸만하다. 생존자를 쫓다가 스태미나가 부족한 상황에 그냥 이동속도 버프 스킬처럼 써도 무방하다.
- R스킬로 벽 너머의 생존자를 탐지해서 원거리기로 저격하는 플레이도 나쁘진 않다. 물론, 완급조절은 본인이 잘할 것.
- R스킬의 실명 디버프는 엄청 안보이는 수준은 아니라 생존자를 추격하는 데 무리는 없지만, 투명화가 적용된 생존자(뉴비[22], 007n7[23])는 포착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T스킬
- T스킬은 죽은 생존자의 수만큼 좀비를 소환하므로 어느 정도 생존자를 죽인 후 사용해야 효율적이다.
- 만약 시간이 여유롭다면 죽기 직전인 생존자를 생존자들이 자주 지나다녀야 하는 곳에 몰아넣고 죽여보자. 이후 T스킬의 좀비가 생존자들의 통행을 쏠쏠하게 방해해줄 것이다.
- R 사용으로 얻는 속도 버프와 좀비 처치로 얻는 속도 버프는 중첩이 된다. 즉 R스킬을 사용한 후 좀비 하나를 죽이면 속도 2 버프로 추격이 가능하다는 뜻. 단, 최대 중첩치는 속도 3까지이니 그 점 참고.
- 특히 1대1 상황이 되면 경로에 있는 좀비들은 죄다 죽이고 남은 생존자를 쫓아가라. 어차피 좀비가 있어봤자 능동적으로 추격을 하지 않기에 차라리 죽이고 초고속으로 맹추격하는 것이 낫다.
- 좀비는 생존자를 한 번 때리면 어그로가 초기화되며 잠시동안 아무도 타게팅하지 않게 된다.
- 기타
- 1x1x1x1은 원거리 공격을 다수 보유한 대신 기본 이동속도와 달리기 속도가 살인마 중 가장 느리다. 또한 스턴에 대항할 스킬/패시브가 없어 제이슨과 함께 스턴에 가장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 스킬을 가능한 아끼고, 낭비하지 말아야 필요한 상황에 생존자를 죽일 수 있다. 시간상으로도 그렇게 해야 여유가 있게 된다.
- 1x1x1x1의 글리치 디버프는 시야 방해 효과 뿐만 아니라 생존자에게 넣는 데미지를 증가시켜주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24] 가끔 생존자가 평타에 처형당할 피가 아닌데도 처형당하는 경우가 이것.
- 생존자를 추격할 때 Q나 E스킬을 사용한다면, 생존자의 위치보다 살짝 옆으로 투척하는게 도움이 된다, 무빙을 예상한 예측샷을 날리는 것이다.
- 발전기를 고치는 플레이어는 급습에 무방비하므로 이때 원거리기를 사용하면 좋다. 단, Q스킬은 소리가 들려 내공이 있는 플레이어는 피할 수 있으니 E스킬 사용 후 Q스킬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4. 여담
- 설정에 따르면 셰들레츠키가 만들어 낸 창조물이다. 셰들레츠키의 증오가 실체화되어 만들어졌다고 한다.
- 1x1x1x1은 셰들레츠키를 증오한다.
- 독을 다루지만 독에 대한 내성이 없다(...).
- 1x1x1x1가 게임에서 킬러가 되었을 때 인트로에서 한 생존자의 머리를 으깨어 죽이는데, 그 대상은 바로 셰들레츠키이다.
- 반감성, 증오성, 유독성만을 느끼기 때문에 생존자들을 죽인다고 한다.
- 이름이 너무 길기에, 통칭 1x로 불린다.[25] 이 외에 국내에선 '일엑'으로, 북미에서는 '1x4'로 주로 불린다.
그냥 계산해서 1이나 1⁴로 불리기도 한다 - 1x1x1x1의 성별은 젠더플루이드이다.
- T스킬로 소환한 좀비도 대사가 있다. 배신당한 1x1x1x1의 경우만 해당된다.
- 같은 살인마 중 한 명인 쿨키드를 귀여워하며, 쿨키드를 자신이 만든 좀비들과 같이 놀게 해준다고 한다.
- 말린 라임을 좋아한다고 한다.
- 평타로 처형하면 머리를 제거하여 죽이는데, 과거 존 셰들레츠키가 실제 1x1x1x1 계정으로 머리 비를 내리는 장난을 친 것이 모티브로 추정된다.
- 소지한 검의 명칭은 베놈샹크(Venomshank)로, 존 셰들레츠키의 게임인 Sword Fights on the Heights IV에 등장하는 장비다.
- 배신당한 1x1x1x1 스킨 한정으로 영국인이라는 설정이 있다.
- 의외로 Q, E스킬 선딜 동안엔 움직이는게 가능하다. 물론 속도가 굉장히 느리긴 하다만.
- 검이 없어도 살인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한다. 인트로에서도 보이듯 성인 남성의 머리를 한손으로 깨부술 정도의 완력이 있기 때문.
[1] 추격 테마[2] 추격 테마(마일스톤 III,IV)[3] 추격 테마(구 버전)[Poisoned] 시간 당 피해량을 입히며 캐릭터를 초록색으로 만든다.[Glitched] 글리치 효과를 일으키며 화면을 가린다. 설정에서 'Epilespy Mode'를 키면 글리치 효과를 볼 수 없다.[6] 인용문의 원문은 'Blame ■■■■.'인데 1x1x1x1의 창조주이자 아버지인 셰들레츠키의 소개문 'Blame John.'(존을 탓해라.)과 거의 일치한다. 아마 Roblox 어드민도 셰들레츠키를 뜻하는 것으로 추정.[7] 맵 내에 400스터드 이상 발어지는 지점은 없으므로 사실상 맵 전체다.[8] 이 어드민은 Roblox의 전 직원이자 출시 예정 살인마인 MrDoombringer로 추정된다. 과거 실제 셰들레츠키가 MrDoombringer에게 위의 말과 똑같은 장난을 친 적이 있기 때문.[9] 이 때 날아가는 검은 매우 빠르지만 히트박스가 다소 좁다.[10] 이름은 느림이다만 느려지는 정도가 100%이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한다. 사족으로 지속시간이 무한이 아닌 20초라 그걸 억지로 다 기다리면 팝업창을 놔둔 채로 다시 움직이기가 가능해진다.[11] 특이하게 인용문의 주체가 없다. 1x1x1x1의 스킨인 '배신당한 1x1x1x1'의 대사 중에 동일한 대사가 있는 점을 미루어 보아 아마 1x1x1x1 본인일 듯 하다.[12] 얼핏 보기엔 단순히 눈을 비비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팔을 강하게 내빼는 모션으로 찢는 것은 맞다.[Blindness] 레벨이 높을 수록 화면이 더 흐려지며, 최대 레벨은 3으로 화면 전체가 60% 흐려진다.[14] 속박 스킬의 인용문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아 이 어드민도 MrDoombringer인 듯하다.[15] 사실상 1회용으로 쓰라는 말. 다만 풀방 상태에서 극초반에 한번 쓴 다음 장기전으로 이어지면 2회째 사용이 가능하기도 하다.[16] 정확히는 플레이어가 사망한 위치다. Funnier Ragdoll 설정을 켜면 시체가 멀리 날아가기에 어디에 소환될지 알기 힘들다.[17] 쿨키드가 소환하는 피자 배달부들과 달리 좀비들은 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지만, 피자 배달부들은 생존자들의 위치를 알아서 쫓아가는 것과 다르게 좀비들은 정해진 거리에서만 생존자를 쫓을 수 있다.[18] 다만 위아래 판정이 꽤나 넓어 완전히 맞출 수 없는건 아니다.[19] 물론 고인물이나 모바일은 보통 3초 안에 풀고 피해버리기에, 보통의 경우면 그냥 가까이 다가가서 평타 한두 대 넣는게 이득이다.[20] 게스트가 방어를 사용한걸 보았을 때도 마찬가지. 데미지는 들어가지 않지만 속박 효과와 팝업은 여전히 부여된다.[21] 맵이 넓다면 어느 정도 간 다음 쓰자.[22] 유령 버거를 먹은 경우.[23] 클론을 보낸 경우.[24] 1스택 당 생존자가 데미지를 33.33% 더 받으며 100%(3스택)가 최대.[25] 팬덤뿐만이 아니라 배신당한 1x1x1x1 스킨에서의 대사에 따르면 스스로를 1x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