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20:43:52

G6 차륜형 자주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1961~현재)
Suid-Afrikaanse Nasionale Weermag
<colbgcolor=#007a11> 기타전차 셔먼 II AUK/R, 코멧UK/R, 셔먼 IBUK/R
MBT <colbgcolor=#007a11> 1세대 T-54C/R, 센추리온 Mk.(II · III · V)I
2세대 올리판트 Mk.1(A/B)M
3세대 올리판트 Mk.2M, TTD
장갑차 차륜장갑차 루이캇트, 라텔, RG-31 · 32 · 33, 맘바 Mk.3, 카스피르 MPV Mk.3,
AMV 뱃저, 사라센R, 버펠R, 마몬-헤링턴R, AML
차량 소형 랜드로버 디펜더, 토요타 랜드 크루저
트럭 새밀-20 · 50 · 100, SHE 카발로 8X8 트럭, 토요타 다이나, 이베코 30톤 트럭
자주포 자주곡사포 섹스턴 자주포R, G-6 레노스터, {T5-52}
대전차 자주포 M10 GMCUK/R
대공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R
다연장로켓 발키리 Mk.1, 베틀러 Mk.2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남아프리카 연방 시기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은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I: 전량 타차량으로 개수됨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g6_rhino.jpg
파일:g6_rhino_1.jpg

1. 개요2. 제원3. 형식
3.1. G6-52
4. 파생형5. 운용국6. 매체에서의 등장7. 둘러보기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군은 독립 이후 영국제 25파운더 야포 (G1)과 5.5인치 곡사포 (G2), 그리고 캐나다제 섹스턴 자주포로 무장하고 있었다. 이 무기들은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초반, 앙골라군이 배치했던 소련제 D-30 122mm 곡사포와 BM-21 다연장로켓에 비해 사거리가 짧았던 터라, 남아공군은 발키리 다연장로켓과 신형 G5 곡사포를 배치하여 대응하게 된다. 실전 운용 당시 G5 곡사포는 성능은 훌륭하지만, 야지 기동력이 떨어졌었다. 이에 1970년대말 남아공에서는 G5 곡사포들을 대체하기위한 자주포 사업을 실시하였으나, 당시에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하여 국제적인 제재를 당하고 있는 터라 국외로부터 무기도입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때문에 기존의 G5 155mm 곡사포를 베이스로 새로운 자주포를 개발하게 되면서, 1981년부터 G6 Rhino 개발 사업이 시작되었다. 개발 당시 자주포들이 소속 기지로부터 1,000km 밖까지 이동할 때도 있어서, 항속거리 면에서 불리한 장궤식 보단 장륜식을 선택하기로 하여 개발하였다. 1988년부터 실전배치가 진행되었으며, 1999년까지 생산하여 현재는 개량형들을 거쳐서 남아공군의 주력 자주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오만과 아랍에미리트군에도 수출된전력이 있으며, G6-52라는 개량형도 존재한다.

실전경험으로는 남아프리카 국경전쟁(South African Border War)에서 앙골라군에게 화력으로 한방 먹인 것으로 유명하다.

별명인 '레노스터(Renoster)'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아프리칸스어코뿔소를 의미하는 단어다. 해외에서는 이의 영어식 표현인 Rhino로 알려져 있고, 영어권에서는(특히 미국에서) M1 에이브람스처럼 제식명칭을 '형번+별칭' 식으로 지어주는 경우가 많기에 'G6 라이노' 라고 흔히 지칭하고 있다.

2. 제원

Die G-6 selfaangedrewe kanon
개발사 데넬 주식회사 지상사업부[1]
제조사 데넬 주식회사 지상사업부
BAE 시스템즈 OMC
중량 36.5t, 47t (전투 중량)
전장 9.2m, 10.22m (포신 포함)
전폭 3.4m
전고 3.2m
엔진 마지루스-도이츠 모델 FL 413 F/FR 공랭식 디젤 엔진
변속기 6단 자동변속기
현가장치 토션 바+유기압식 쇼크 댐퍼
최대출력 525마력
최고속도 90km/h (도로)
톤당 마력 11.17hp/t
항속거리 700km
도섭 가능 심도 ?m
주포 LIW G5 155mm 45구경장 곡사포 1문
LIW T6 155mm 52구경장 곡사포 1문 (G6-52)
발사 속도 분당 4발 (통상 사격시)
분당 6발 (급속 사격시)
분당 2~3발 (지속사격시)
포각도 부양각 -5°∼+75°
방위각 좌우 각 40°
사거리 30km (L15 표준탄)
37km (ERFB탄[2])
67km (V-LAP탄, G6-52만.)
부무장 M2HB 12.7mm 중기관총 1정
7.62mm 다목적 기관총 1정 (G6-52)
탄약 적재량 155mm 곡사포탄 48발
12.7mm 기관총탄 900발
7.62mm 기관총탄 2,000발 (G6-52)
탑승인원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2, 기관총수) 5~6명
방어력 전면 20mm 기관포탄 방호
전방위 7.62mm 기관총탄 방호
차체 하부 TM46급 지뢰 폭압 방호
장갑 균질압연장갑

출처1, 출처2, 출처3

3. 형식

3.1. G6-52

파일:g6_52.jpg

NATO 표준 곡사포 규격인 52구경장 155mm 주포로 전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2003년에 배치되었다. 주요 개량점은,
  • 데넬社의 T6 52구경장 155mm 주포로 교체
  • M2 12.7mm 기관총 대신 7.62mm 기관총으로 대체
  • NBC방호시스템 구축.[3]
  • 화재대응 소화 시스템 개선
  • 대지뢰 대응 생존능력 강화.
  • V-LAP발사체 확보를 통한 최대사정거리 67km확보
  • 최대 6발의 MRSI 기능 확보.
  • 준비탄약대 25발로 증대[4]
이며, 데넬社에 따르면 조금의 개량만 거치면 미국제 M982 엑스칼리버 장사정 유도포탄이나, 유럽제 BONUS 155상부지능 공격탄도 사용 할 수 있다고 한다.

출처

4. 파생형

4.1. G6 마크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크맨 대공 시스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국에서 개발된 자주대공포 포탑 시스템을 통합할 후보군 중 BAE에서 만들었던 G6의 6×6 차대를 활용하여 제안했으나, 영국군은 마크맨을 채택하지 않아서 폐기되었다.

5. 운용국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43문 운용. 업그레이드중.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76문을 운용중이며, G6 M1A3 이라는 제식명을 붙였다.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4문 운용중.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DRDO에서 아준 전차의 차대와 G6-52의 포탑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작했던 시제 자주포 빔(Bhim)이 채택되었다면 수출 될 뻔 하였지만, 아준의 환장적인 성능 때문인지 계획 자체가 취소되고 K-9 바즈라-T를 직도입 하기로 하면서 끝났다.

6. 매체에서의 등장

  • 유진 시스템즈액트 오브 워의 후속작으로 만들어낸 근미래 배경 RTS액트 오브 어그레션에서 별명인 '레노스터'의 영어식 표현인 '라이노'라는 이름으로 등장. 키메라 측의 포병 유닛이다. 제조비로 2500 정도가 들며, 지원 차량 주기장과 소드 프로토콜이 필수 요구사항이다. 생산시간이 길고 포병인 만큼 물몸인지라 엄호 유닛이 필수로 있어야 하나, 파괴력만큼은 포병인 만큼 발군이어서 포병들이 다 그렇듯 상대방의 건물 및 내부의 보병을 걷어내는데 알맞다.
  • 레니게이드 X에서는 Nod소속 자주포로 등장한다. GDI의 MLRS는 여러발 쏠수있지만 재장전이 긴대신 Nod의 G6 자주포는 한발씩 쏘는대신 재장전이 빠르다.
  • 한국시간으로 2022년 5월 23일 오후 9시경, 워썬더에 등장예정으로 밝혀졌다.

7. 둘러보기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기갑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MBT <colbgcolor=#ffffff,#191919> 2세대 AMX-30R, OF-40 Mk.2
3.5세대 르클레르 전차
경전차 FV101 스콜피온
장갑차 차륜장갑차 FV701 페렛, 파트리아 AMV, EE-11, 파나르 M3, AML-(30/90), FV601 살라딘/FV603 사라센, 아르마
VAB 6×6, 푹스 1 NBC, RG-31 Mk.5, M1224 MaxxPro, 카이만, BTR-3, 에니그마
궤도장갑차 AMX-VTTR, AMX-10P, ACV-300, BMP-3M
차량 소형 험비, M-ATV, 오토카르 코브라, Nimr, VP11
트럭 오시코시 M1070, FMTV, HX81
자주포 자주곡사포 AMX-13 Mk F3R, M109A3, G6 M1A3
자주박격포 RG-31 Agrab-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파나르 M3 VDA*
저고도방공 판치르-S1
다연장로켓 BM-21, BM-30, K-239 천무, M142 HIMARS, SR-5, T-122 Sakarya, Jobaria MLRS, {AR3}
무인 차량 UGV {테미스}, {타입 X}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오만 국기.svg 현대 오만 왕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오만 왕국군 (1907~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لسلطان عمان
<colbgcolor=#ffffff> MBT <colbgcolor=#ffffff> 2세대 M60(A1/A3)
3.5세대 챌린저 2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80, 피라냐 II, AT105 색슨, VAB, WZ-551B, B1 첸타우로
궤도장갑차 FV101 스콜피온, FV103 스파르탄, FV105 술탄, FV106 샘슨, 알비스 스토머
차량 소형 험비, VBL
트럭 MAN TGA
자주포 자주곡사포 G6, M109A2
자주박격포 M106A2, VPM-81, RUAG 코브라
대공 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NG
다연장로켓 90A식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아프리칸스어 약자인 Lyttelton IngenieursWerke, LIW으로도 불린다.[2] Extended Range Full Bore의 약자.[3] 기존의 G6에서는 확보할 수 있는 공간형태만 남겨두었다.[4] 기존은 23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