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게임 요소
아이콘킷(레퍼런스) ·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GDDLadder · GDDP · NLW Spreadsheets · ILL · 관련 사이트
팁 · 용어(소고기 · 입지메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모더레이터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역사(10주년)공식 컨텐츠스테이지(The Tower) ·
맵팩 ·
건틀렛
데일리 레벨 ·
위클리 데몬 ·
이벤트 레벨(NCS x Geometry Dash)
온라인 레벨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개별 문서)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난이도 구분Easy(개별 문서) ·
Medium(개별 문서) ·
Hard ·
Insane(개별 문서) ·
Extreme(개별 문서)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AREDL · 챌린지 · 플랫포머연동 게임기타RobTopGames · Mega Hack · Geode(CBF)
포럼 순위
클래식 / 플랫포머
Pointercrate 리스트 | |
1위~75위 | Main List |
76위~150위 | Extended List |
퇴출된 레벨 | Legacy List |
AREDL | |
모든 Extreme Demon | AREDL |
역대 포럼 순위 1위 · 순위 미정 Upcoming Demon · Unrated Demon · Challenge |
1. 개요2. 목록
2.1. Aeternus2.2. Antarctic Lights2.3. Banshee2.4. ECHO2.5. FAIRY KNIFE HELL2.6. FLASHBANG2.7. GREEN BULLET2.8. GRIEF2.9. HELIOPOLIS2.10. I N J U R Y2.11. IT MEANS EVERYTHING2.12. KOCMOC UNLEASHED2.13. Migraine2.14. Nightfall2.15. Orochi(Old)2.16. Rest In Peace2.17. Silent Clubstep II2.18. Silent Circles2.19. Subsuming Vortex2.20. Sweeping demon 22.21. Teeth Fortress II2.22. Vehemence2.23. WavTerminal
1. 개요
Pointercrate Demonlist Main List에 올라올 정도로 극악하나 아직 베리파이가 되지 않아 서버에 게시되지 않은 레벨들. 이 문서에 나열되지 않은 레벨들을 보고 싶다면 #를 참고하자.2. 목록
후술할 레벨들의 순서는 알파벳 순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10.4.4|10.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Aeternu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ternu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ternu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Antarctic Lights
Antarctic Lights by declan | ||||||
<nopad> | ||||||
| ||||||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X | 59초 | X | 2.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순위 | 예상 난이도 | #10 | ||||
현 상태 | 베리파이 중 |
Arctic Lights를 연상케 하는[1] 푸른색 계열의 나인 서클 레벨.
정확한 난이도는 불명이나, 제작자인 declan의 언급을 보아 Acheron과 유사한 난이도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Axinity가 44%, 39-100%를 달성했다.
2.3. Banshee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35deg\, #140C17\, #130500\, #02281C\, #28174D\, #1B181C),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1305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2281C,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28174D, 2단계글자색=white,
이름=Banshee, 유저명양식=by Nikrodox & Komp, 유튜브=h14lmGH31_M,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30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dj-Nate - Theory of Everything,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35deg\, #140C17\, #130500\, #02281C\, #28174D\, #1B181C),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1305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2281C,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28174D, 2단계글자색=white,
이름=Banshee, 유저명양식=by Nikrodox & Komp, 유튜브=h14lmGH31_M,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30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dj-Nate - Theory of Everything,
Hard Machine의 후속작.
Komp가 2014년에 Hard Machine과 함께 만들었던 불가능 맵 Banshee의 데코 버전이다. 특이하게도 쇼케이스 당시에는 프리드랍 파트만 공개되었으며, 그 뒤의 파트는 베리파이어들의 프로그레스 영상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베리파이어 spcreat는 이 맵을 Silent clubstep급이라고 언급했다. 프리드롭은 볼 360FPS 프레임 퍼펙트와[2] 미러 포탈로 완전히 제약되는 시야 속 극도로 좁은 간격 등 비정상적인 게임플레이가 난무해 현재까지 나온 맵 중 가장 어려운 프리드롭을 가졌다고 한다.
원래 spaceuk가 맵을 상당히 버프하고 베리파이를 맡았는데 핵 사용이 적발되면서 베리파이 권한을 잃었다. 이후 버프되지 않은 원본이 오픈 베리파이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며, Taiago가 가장 먼저 베리파이에 뛰어들었으나 포기하고 spcreat가 베리파이를 이어받았다.
현재 spcreat가 맡고 있는 버전은 240FPS 프레임 퍼펙트가 5개(0%, 1%, 4%, 14%, 65%) 있다.
2025년 6월 16일, 공식 쇼케이스가 업로드됨에 따라 레벨의 완전한 모습이 공개되었다.
현재 spcreat가 약 35만 어템을 사용해 너프 전 버전에서 86%, 그리고 현 버프된 버전에서 31-100%를 달성했다.
2.4. ECHO
ECHO by Zeptoz & more | ||||||
<nopad> | ||||||
불명 | ||||||
<rowcolor=#ffffff>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X | 2분 53초 | X | 2.2 | ||
{{{#!wiki style="margin: -16px -11px;"순위 | 예상 난이도 | #20 | ||||
현 상태 | 베리파이 중 |
Zeptoz가 주최하는 공장 테마의 암기 레벨.
같은 암기형 레벨인 LIMBO, Operation Evolution보다 어렵고, BOOBAWAMBA보다는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Bigthunder556이 베리파이를 담당하여 65-100%, 42-95%를 달성했었으나, 현재는 Diamond에게 베리파이 권한이 넘어갔다.
2.5. FAIRY KNIFE HELL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9e0000\, #110000\, #9e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5e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19191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8e00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FAIRY KNIFE HELL, 유저명양식=by Eternaswip & TMco,유저명양식주석=IZipixbox\, 2whatt\, Swagmasta001\, RXKNephew\, titoalper\, RealVet\, ItsHybrid\, GDIris\, Wespdx\, CDMusic, 유튜브=f8CAxbGIcUg, 설명=Everlasting as the moon,
ID=111680151, 비밀번호=없음, 길이=3분 30초, 오브젝트수=283\,052, 버전=2.2,
예상난이도=#1,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Rukkus - Fairydust (Ravitex Remix),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9e0000\, #110000\, #9e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5e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19191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8e00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FAIRY KNIFE HELL, 유저명양식=by Eternaswip & TMco,유저명양식주석=IZipixbox\, 2whatt\, Swagmasta001\, RXKNephew\, titoalper\, RealVet\, ItsHybrid\, GDIris\, Wespdx\, CDMusic, 유튜브=f8CAxbGIcUg, 설명=Everlasting as the moon,
ID=111680151, 비밀번호=없음, 길이=3분 30초, 오브젝트수=283\,052, 버전=2.2,
예상난이도=#1,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Rukkus - Fairydust (Ravitex Remix),
무려 8년 동안의 세월 끝에 완성된 Eternaswip의 지옥 테마 합작.
3분 30초의 긴 길이를 끝까지 4단 가속으로 질주한다. 여기에 오브젝트도 꽉 채워져있어 상당히 무거운 느낌을 주면서도 속도감 있는 게임플레이가 매력적이다. 빠른 템포와 2.2 이펙트로 현란한 게임플레이를 구사한다. 테마는 마치 Slaughterhouse풍의 디자인에 드랍 파트에는 나인서클류와 비슷한 강렬한 섬광 효과를 집어넣은 것이 특징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피로해지는 검정-빨강 색 대비 테마이지만 GRIEF와 유사하게 압도적인 분위기만큼은 인정받는다. 마찬가지로 8년 가량의 시간이 걸렸던 Apocalyptic Trilogy는 매우 뛰어난 퀄리티와 그에 비해 크게 부족한 일관성이 특징이었다면 Fkh는 디자인 면에서 매우 부각되는 것은 아니지만 출중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 있게 지메 특유의 감성을 잘 살려낸 것이 특징이다.
웨이브 뿐만이 아닌 여러 게임 모드, 특히 상당한 난이도의 나비 모드를 포함하여 난도를 끌어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정확한 난이도는 불명이나 ILL에서는 언너프 Silent clubstep, HELIOPOLIS보다 어렵다고 평가하고 있다. 원래는 Amethyst 밑이었지만 재평을 거듭해 지금의 순위에 위치해있다.
2024년 11월 1일, 완성본 쇼케이스가 공개됨과 동시에 오픈 베리파이가 시작되었다.
현재까지의 최고기록은 SurroundedGD의 11%, enzollz의 78-100%, 42-59% 이다.
여담으로, 3분이 넘는 압도적인 길이와 준 불가능급의 난이도와 달리 이 레벨의 60hz 프레임 프펙트는 100개도 되지 않는다.[3] Solar Flare처럼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가 반드시 난이도와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역으로 보여주는 레벨인 셈이다.[4]
2.6. FLASHBANG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000\, #2D1354\, #4F0D49\, #C17BE0\, #F1ECF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D1354,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4F0D49, 2단계글자색=white,
이름=FLASHBANG, 유저명양식=by LordVadercraft & more, 유튜브=2j9nLPyE2Tw,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4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ukkus - Blacklight,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000\, #2D1354\, #4F0D49\, #C17BE0\, #F1ECF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D1354,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4F0D49, 2단계글자색=white,
이름=FLASHBANG, 유저명양식=by LordVadercraft & more, 유튜브=2j9nLPyE2Tw,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4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ukkus - Blacklight,
LordVadercraft가 주최한 Firework의 비공식 후속작.
Noctal이 베리파이를 담당하였으며, 현재 46%, 28-78%, 45-100%를 달성했다.
2.7. GREEN BULLET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B1212\, #0F5117\, #ADE85A\, #02630A\, #0F2D11),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F2D11,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F5117,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1A917, 2단계글자색=white,
이름=GREEN BULLET, 유저명양식=by [cherry] team, 유튜브=mHg2jrzpkxs,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5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2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Bossfight - Decimate,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B1212\, #0F5117\, #ADE85A\, #02630A\, #0F2D11),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F2D11,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F5117,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1A917, 2단계글자색=white,
이름=GREEN BULLET, 유저명양식=by [cherry] team, 유튜브=mHg2jrzpkxs,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5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2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Bossfight - Decimate,
Sevvend Clubstep을 호스팅했던 [cherry] team의 iMinAY가 호스팅한 대형 합작.
Sevvend Clubstep이 디자인이 조잡하다는 소리를 받았던 것이 무색하게 박력있고 역동적인 디자인을 보여준다.
SerVax가 베리파이를 담당하였으며, 현재 32%, 47-100%를 달성했다.
2.8. GRIEF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RIEF#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RIEF#|]]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9. HELIOPOLI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LIOPOLI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HELIOPOLI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0. I N J U R Y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010145\, #020087\, #000CA2\, #000DB4\, #303030\, #222222\, #101010\, #00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A0A0A,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20087,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A0A0A, 2단계글자색=white,
이름=I N J U R Y, 유저명양식=by greafer & NineDice, 유튜브=OzCGe5a5DTY, 설명=I N J U R Y,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Cight - I n j u r y (feat. Vaiku)(Speed up),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010145\, #020087\, #000CA2\, #000DB4\, #303030\, #222222\, #101010\, #00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A0A0A,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20087,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A0A0A, 2단계글자색=white,
이름=I N J U R Y, 유저명양식=by greafer & NineDice, 유튜브=OzCGe5a5DTY, 설명=I N J U R Y,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Cight - I n j u r y (feat. Vaiku)(Speed up),
greafer의 챌린지 맵을 NineDice의 도움으로 새로 디자인한 푸른 테마의 arcturus풍 맵.
맵 길이는 38초 정도로 데몬의 최소 레이팅 길이인 30초를 겨우 넘기는 정도이지만 매우 좁은 웨이브 간격과 굴곡진 비행 구간, 현란한 듀얼 게임플레이가 어우러져 매우 높은 순간 난도를 가지고 있다.
KYWY가 베리파이를 맡았으며, 예전부터 레이아웃 맵에서 연습을 해오다가 최고 기록으로 85%를 달성했다.
2023년 8월 12일, 최종 버전이 공개되었다.
현재 KYWY가 74%를 달성했다.
2.11. IT MEANS EVERYTHING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테두리색=#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27554a\, #101010\, #736e2c),
상단글자색=#fff,
설명배경색=#10101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7554a, 1단계글자색=#fff,
2단계배경색=#736e2c, 2단계글자색=#fff,
이름=IT MEANS EVERYTHING, 유저명양식=by Vel, 유튜브=RDPySzeWKPA, 설명=no changes allowed unless ran by me\, contact for inquiries (discord: velbubbles),
ID=106165639,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9초, 오브젝트수=30170,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Pedro Silva - It Means Everything
)]상단글자색=#fff,
설명배경색=#10101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7554a, 1단계글자색=#fff,
2단계배경색=#736e2c, 2단계글자색=#fff,
이름=IT MEANS EVERYTHING, 유저명양식=by Vel, 유튜브=RDPySzeWKPA, 설명=no changes allowed unless ran by me\, contact for inquiries (discord: velbubbles),
ID=106165639,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9초, 오브젝트수=30170,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Pedro Silva - It Means Everything
Vel이 제작한 1.7 테마의 레벨.
최초 업로드된 VelYT 버전의 ID는 106165639, Stefan Boss가 베리파이하던 Quivert가 밸런싱한 버전의 ID는 126177603이다. Quivert버전이 원본보다 살짝 쉽지만 둘다 Tidal Wave~Amethyst 정도의 난이도라고 한다.비교 영상
Vel이 직접 베리파이하다가 오픈 베리파이로 전환하였다.
Waltty가 46%, Vel이 34%[5], 54-80%, 65-100%를 달성했다.
Stefan Boss가 21-97%을 달성하고 드롭하였다. 이 구간의 난이도만 Top 5라고 한다. Lycex가 제작자와 베리파이어를 모은 비공개 디스코드 서버에서 이 레벨을 많이 신경쓰고 있다며 소회를 풀었다.
2.12. KOCMOC UNLEASHE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OCMOC UNLEASHED#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KOCMOC UNLEASHE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3. Migraine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0096FF\, #0054FF\, #6C1DE8\, #F10168\, #E60376\, #FF00DD),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D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D8FF, 2단계글자색=white,
이름=Migraine, 유저명양식=by btLisp & more, 유튜브=yM3p_sJRv3I,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7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KaTT - Sileo,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0096FF\, #0054FF\, #6C1DE8\, #F10168\, #E60376\, #FF00DD),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DD,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D8FF, 2단계글자색=white,
이름=Migraine, 유저명양식=by btLisp & more, 유튜브=yM3p_sJRv3I,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7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KaTT - Sileo,
Lisp가 주최한 HEADACHE의 후속작. 자극적인 효과의 디자인, 높은 cps를 요구하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poocubed의 베리파이어인 kyasshukodo가 베리파이를 담당하였으나 드롭했고, 새로운 베리파이어인 Hover가 50%, 48-100%를 달성했다.
2.14. Nightfall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544088,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35deg\, #000000\, #05123D\, #0C2B89\,#874F87\, #F450AE\, #F573C0\, #FBBDBD),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5123D,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C2B8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F450A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Nightfall, 유저명양식=by zYuko, 유튜브=ml4bpWYi-4Q,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1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2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lexycat - iris (bloom/bleed),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35deg\, #000000\, #05123D\, #0C2B89\,#874F87\, #F450AE\, #F573C0\, #FBBDBD),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5123D,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C2B8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F450A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Nightfall, 유저명양식=by zYuko, 유튜브=ml4bpWYi-4Q,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1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15-2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lexycat - iris (bloom/bleed),
zYuko가 제작한 Twilight, Midnight의 후속작.
nei가 베리파이를 맡았으며, 현재 78%를 달성했다.
2.15. Orochi(Old)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roch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Oroch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SeptaGon이 Platnuu의 최초 버전에서 19-100%를 달성했다. 예상 난이도는 Top 10.
2.16. Rest In Peace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193E93,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9FFAFE\, #0C2B89\, #9FFAFE),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C2B89,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B5583,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66DEFA, 2단계글자색=white,
이름=Rest In Peace, 유저명양식=by StarkyTheSalad & GaidenHertuny, 유튜브=awI0fWIuQLk,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3분 59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3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eceptor - Run Run Run,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9FFAFE\, #0C2B89\, #9FFAFE),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C2B89,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B5583,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66DEFA, 2단계글자색=white,
이름=Rest In Peace, 유저명양식=by StarkyTheSalad & GaidenHertuny, 유튜브=awI0fWIuQLk,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3분 59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3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eceptor - Run Run Run,
GaidenHertuny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APEX, Lotus Flower 등을 제작한 것으로 유명한 StarkyTheSalad의 신작.
Zytrox가 베리파이를 맡았으며, 현재 29-100%를 달성했다.
2.17. Silent Clubstep II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33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5000\, #101010\, #000000\, #118b11),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02C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50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ilent Clubstep II, 유저명양식=by TheRealSailent, 유튜브=7UEaJkAViN4, 설명=My Haunted Past,
ID=78614226,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26초, 오브젝트수=58\,255, 버전=2.1,
예상난이도=#1-5,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dj-Nate - Clubstep,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5000\, #101010\, #000000\, #118b11),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002C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50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ilent Clubstep II, 유저명양식=by TheRealSailent, 유튜브=7UEaJkAViN4, 설명=My Haunted Past,
ID=78614226,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26초, 오브젝트수=58\,255, 버전=2.1,
예상난이도=#1-5,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dj-Nate - Clubstep,
TheRealSailent가 제작한 Silent clubstep의 공식 후속작.
클럽스텝 악마 입 사이를 큐브모드로 넘어가는 플레이가 인상적이다.
현재까지의 최고기록은 Skittle catastrophe의 24%, 51-100% 이다.
2.18. Silent Circles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33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fff\, #4863e4\, #242488\, #502dd3\, #d963c7),
상단글자색=#fff,
설명배경색=#4863e4,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42488,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502dd3,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ilent Circles, 유저명양식=by Starchman & Cyrillic & more, 유튜브=5O3h_4WCFKc, 설명=불명,
ID=없음,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14초, 오브젝트수=73\,546, 버전=2.2,
예상난이도=#3,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Xtrullor - <a href="https://www.newgrounds.com/audio/listen/593661">Supernova</a>,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fff\, #4863e4\, #242488\, #502dd3\, #d963c7),
상단글자색=#fff,
설명배경색=#4863e4,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42488,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502dd3,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ilent Circles, 유저명양식=by Starchman & Cyrillic & more, 유튜브=5O3h_4WCFKc, 설명=불명,
ID=없음,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14초, 오브젝트수=73\,546, 버전=2.2,
예상난이도=#3,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Xtrullor - <a href="https://www.newgrounds.com/audio/listen/593661">Supernova</a>,
Starchman이 주최한 불가능 레벨 Silent Circles의 리메이크.
다른 리메이크 버전들에 비해 최대한 원작의 레이아웃을 살린 것이 특징이며 원본의 웨이브 스팸 구간을 D블럭 웨이브 스팸으로 표현한 파트가 제일 호평받는다.
비슷한 시기 CherryTeam이 공개한 리메이크 버전과 비교되기도 하는데, 레이아웃만 봐도 Starchman 버전이 원작을 잘 살렸다는 호평을 받는다. 원작자 Cyrillic의 반응도 차이나는 편. 하지만 CherryTeam의 대표 Vernam이 레이아웃 쇼케이스의 인트로에 다른 유저들의 리메이크를 garbage라 비하하거나, Cyrillic이 statchman의 버전을 더 선호하자 엔딩에 FUCK CYRILLIC을 적기도 하고, 라이브에서 starchman의 레벨을 언급하자 일부 러시아 유저들이 사이버불링을 하는 등 커뮤니티 내에서 영향력이 큰 사람이 할만한 행동이라 볼 수 없는 짓을 행했다. 특히 베리파이어는 미성년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살종용 댓글에 시달린다고 호소하였다.
프레임 퍼펙트 개수도 공개되었는데, 60FPS 프레임 퍼펙트는 115개, 120FPS 프레임 퍼펙트는 8개이다.
68만 어템 이상으로 Silent clubstep을 클리어한 유저인 ImJuls가 베리파이를 맡았으며 현재 15%, 82-100%를 달성했다.
2.19. Subsuming Vortex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33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 #556B2F\, #228B22\, #FF8C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FF8C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28B22,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556B2F,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ubsuming Vortex, 유저명양식=by Septagon7 & Renn2418, 유튜브=3dKj12cQSII, 설명=The hardest nine circles level... at the time,
ID=66422816, 비밀번호=2401, 길이=1분, 오브젝트수=55\,232, 버전=2.2,
예상난이도=#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ukkus - Sine Wavs,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 #556B2F\, #228B22\, #FF8C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FF8C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228B22,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556B2F,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ubsuming Vortex, 유저명양식=by Septagon7 & Renn2418, 유튜브=3dKj12cQSII, 설명=The hardest nine circles level... at the time,
ID=66422816, 비밀번호=2401, 길이=1분, 오브젝트수=55\,232, 버전=2.2,
예상난이도=#5,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Rukkus - Sine Wavs,
여러 유명 불가능 맵을 파는 것으로 유명한 Septagon7이 제작한 구 불가능 나인서클류 레벨.
기본적으로 평범한 나써류의 구조를 취한다. 하지만 프리드롭은 잔잔하고 큰 박자를 위주로 지나가다가 드롭에 이르러선 빠른 속도감과 살벌한 간격, 중간중간의 연타로 왜 이 레벨이 불가능 취급을 받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길이가 1분으로 짧으며 순간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공개 당시 가장 어려운 나써류로 이름을 알렸으나 수 년이 지나 Cursed가 프로그레스를 내면서 가능한 레벨로 판명났다. 정확한 난이도 의견은 없지만 fnm04의 쇼케이스에서 Top 10으로 소개되었다.
원본은 1.9에서 벗어난 변형된 나써류의 디자인을 갖고 있으며 불가능 레벨 특유의 투박한 멋은 있지만 레이팅되기는 부족한 퀄리티이다. 이에 이 레벨이 레이팅되기 원하는 제작자의 입장으로 업데이트된 디자인을 선보였다. 레벨의 분위기는 유지한 채 일부 연출과 비주얼라이저가 추가되어 확실히 보기 좋아졌으나 아직도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한때 ILL 1위였던 적이 있으며 현재도 난이도가 Tidal Wave와 비슷하다고 평가받는다.
Cursed가 96%, 35-100%를 달성했다.
2.20. Sweeping demon 2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660033,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cc3366\, #cc0000\, #ff0065\, #CC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cc3366,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cc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cc3366,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weeping demon 2, 유저명양식=by LTemp, 유튜브=igzQY47BvU4, 설명=05.30.2023 Edit: This is a very outdated version. Also not open for verification anymore. To be verified by Thnnder with the updated one.,
ID=81842690,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21초, 오브젝트수=66\,041, 버전=2.1,
예상난이도=#1~3,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Xtrullor - Wonderpunch,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cc3366\, #cc0000\, #ff0065\, #CC0000),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cc3366,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cc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cc3366,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weeping demon 2, 유저명양식=by LTemp, 유튜브=igzQY47BvU4, 설명=05.30.2023 Edit: This is a very outdated version. Also not open for verification anymore. To be verified by Thnnder with the updated one.,
ID=81842690, 비밀번호=없음, 길이=1분 21초, 오브젝트수=66\,041, 버전=2.1,
예상난이도=#1~3, 현상태=오픈 베리파이,
사운드트랙1=Xtrullor - Wonderpunch,
한국인 유저 Temp의 개인 레벨.
준 불가능 맵인 Sweeping demon의 후속작으로 전작보다 디자인이 개선되었고 2.1식 게임플레이가 추가되었다. 원본 난이도는 Tidal Wave 이상으로 단순해보이는 것에 비해 실제로는 훨씬 빡빡한 간격과 관상용 레벨 특성상 투박한 게임플레이로 공개 당시에는 불가능과 가능의 경계로 여겨졌다.
한동안 오픈 베리파이였다가 Thnnder가 베리파이어로 지정되었다. 후에 베리파이가 지지부진해지자 Taiago가 도전 중이다.
현재 Taiago가 71%, 39-100%를 달성했다. 39-100%가 Avernus보다 확실히 어렵고 andromeda보다 어려울 수도 있다고 한다. 지금껏 플레이한 어느 레벨보다 훨씬 어렵다고 언급해 그가 클리어한 Tidal Wave나 이보다 어렵다고 주장한 BOOBAWAMBA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ILL에서는 Thinking Space II, Amethyst와 순위가 비슷하다.
2.21. Teeth Fortress II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B22222,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CD3B3B\, #640000\, #CD3B3B),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B22222,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B22222,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CD3B3B, 2단계글자색=white,
이름=Teeth Fortress II, 유저명양식=by KoKo, 유튜브=rPXfCbk8LrI,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33초, 오브젝트수=133\,967, 버전=2.2,
예상난이도=#10,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six impala - WFLYTD (GOODMORNING),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90deg\, #CD3B3B\, #640000\, #CD3B3B),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B22222,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B22222,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CD3B3B, 2단계글자색=white,
이름=Teeth Fortress II, 유저명양식=by KoKo, 유튜브=rPXfCbk8LrI,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2분 33초, 오브젝트수=133\,967, 버전=2.2,
예상난이도=#10,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six impala - WFLYTD (GOODMORNING),
Koko가 제작한 솔로 레벨. 음악의 작곡가인 six impala와 그들의 앨범인 WFLYTD의 레퍼런스가 다수 존재하며, 화려한 비주얼은 아니지만 마치 현대 미술을 보는 것 같은 강렬한 시각 효과가 돋보인다. 이 때문에 디자인은 좋은 평가를 받으나, 베리파이되더라도 컨셉과 퀄리티 때문에 레이팅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명.
독특한 디자인 만큼이나 게임플레이도 매우 독특한데, 비행기 파트에선 검은 공점이 플레이어와 겹쳐서 검은 공점과 함께 컨트롤해야 한다던지, 후반 웨이브는 노래에 맞춰 잠깐 빨라지다 느려진다던지 하는 굉장히 독특한 게임플레이를 가지고 있다.
이전 베리파이어였던 Fluxe, Noxiom, JohnLikesDiamond가 각각 70-100%와 23%, 58-100%를 달성했으나 Whizkid05에게 베리파이 권한이 넘어갔다.
Whizkid05가 직접 Top1이 아니라고 못 박았고 Anathema보다 쉽게 너프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2.22. Vehemence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9c2d3a,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0deg\, #FAFAD2\, #FAE169\, #FFA05A\, #FF3269\, #F50A46\, #AA0F28),
상단글자색=#690F1E,
설명배경색=#FA3CA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0195A,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E60F41,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ehemence, 유저명양식=by TBT, 유튜브=FwxtJQQocKA, 설명=Within her mind her demons lies\, ever patient\, until the end of time,
ID=불명, 비밀번호=x, 길이=2분 28초, 오브젝트수=255\,030, 버전=2.2,
예상난이도=#1,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 DM DOKURO - Stained\, Brutal Calamity,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10deg\, #FAFAD2\, #FAE169\, #FFA05A\, #FF3269\, #F50A46\, #AA0F28),
상단글자색=#690F1E,
설명배경색=#FA3CA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0195A,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E60F41, 2단계글자색=white,
이름=Vehemence, 유저명양식=by TBT, 유튜브=FwxtJQQocKA, 설명=Within her mind her demons lies\, ever patient\, until the end of time,
ID=불명, 비밀번호=x, 길이=2분 28초, 오브젝트수=255\,030, 버전=2.2,
예상난이도=#1,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 DM DOKURO - Stained\, Brutal Calamity,
테라리아 칼라미티 모드의 보스인 슈프림 칼라미타스를 기반으로 한 레벨.
베리파이 중인 레벨을 포함해 최상위권 레벨들 중 거의 유일하게 보스파이트 요소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고정되지 않은 투사체만으로 명확한 게임플레이의 Top 1 맵을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어 대부분의 장애물은 고정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50% 부근에서 보스의 패턴이 경로에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고 있기 때문에 보스파이트 맵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업커밍 Top 1 레벨들은 물론 업커밍 데몬들을 통틀어서도 거의 유일하게 웨이브가 아니라 비행을 주력으로 채택한 레벨인데, 초반부는 아예 비행이 지배하다시피 하는 게임플레이이다. 그래도 후반부에 웨이브와 거미, 로봇의 비중이 높아지기는 하지만 밸런스를 맞춰주는 정도이며, 마무리도 비행으로 장식하는 독특한 포지션의 레벨이다.
Radium이 62-100%를 달성했지만 팔 부상으로 베리파이를 포기했고, Edge of Destiny의 베리파이어 Polterghast가 23-55%를 달성했으나 그 역시 포기함에 따라 오픈 베리파이로 전환되었다.
2024년 4월 1일, Yuko가 커뮤니티를 통해 공식적으로 wPopoff가 베리파이어가 됐음을 알렸다.
원래 Tidal Wave보다 살짝 어려운 수준이었으나, 베리파이 과정에서 이 맵을 상당히 버프한 wPopoff에 따르면 3분할에 6만 5천 어템을 썼으며, 3분할이 Tidal Wave급이거나 그 이상이고, Doggie가 베리파이 중인 GRIEF보다도 더 어렵다고 한다.# 그가 Tidal Wave에 사용한 총 어템은 4만 2천 어템으로, Vehemence 3분할에 사용한 어템 수의 2/3에도 미치지 못한다. wPopoff는 원래 보스파이트가 없는 53-100% 구간이 Firework보다 어려우며 Sakupen Circles보단 쉽다고 했는데, 이후 Doggie, Trick과 서로 베리파이 중인 맵을 1일간 바꿔 플레이하는 컨텐츠에서 이 맵을 찍먹한 Trick은 53-100%가 Tidal Wave보다 어렵다고 주장했다. wPopoff도 이때 3분할이 Tidal Wave급이거나 그 이상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도중에 생각이 바뀌었거나 53-100%를 간 이후 버프를 대량 떡칠한 것으로 보인다.
2025년 2월 13일, wPopoff가 Vehemence가 지나치게 어렵다고 생각되어 맵을 너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Netermind가 53-100%를, wPopoff가 40%, 47-100%를 달성했다. Netermind가 53%보다 53-100%가 훨씬 쉽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아 초살맵인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wPopoff가 47-100% 구간을 많이 버프했다고 밝혔으므로 추가로 버프가 들어가지 않는다면 앞 파트와 뒤 파트의 난도 차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23. WavTerminal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FF007F,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0deg\, #00ff00\, #050099),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100ff,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WavTerminal, 유저명양식=by Skyavoxii, 유튜브=MjiCEcf-yQs,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5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Tanger - .wavterminal,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0deg\, #00ff00\, #050099),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100ff,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WavTerminal, 유저명양식=by Skyavoxii, 유튜브=MjiCEcf-yQs,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50, 현상태=베리파이 중,
사운드트랙1=Tanger - .wavterminal,
현재 Frice가 66%, 33-100%를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