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ISU-152| | }}}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1. 소련
1.1. 무장 교체 파생형
2차 대전 도중에는 152mm 주포의 수급 문제로 ISU-152의 차체에 152mm ML-20 곡사포 대신 122mm A-19S 평사포를 장착한 ISU-122가 생산되기도 했다.또한 2차 대전 말기에는 장포신 주포를 장착한 시험용 차량들도 만들어졌다. ISU-152의 화력은 굉장했지만, 2차 대전 말기에 등장한 엘레판트와 야크트티거같은 독일군 중장갑 구축전차들을 상대하기는 버거웠기에 소련 군부에서는 ISU-152에 여러 장포신 주포를 탑재하여 대전차 능력을 강화하려고 시도하였다. 장포신 152mm를 단 시험차량 뿐만 아니라 성능이 강화된 122mm 주포를 장착한 ISU-122 계열도 같이 제작되었고, ISU-122에 소련 해군의 130mm B-13 함포를 기반으로 하는 S-26 주포를 장착한 차량(일명 ISU-130)도 만들어졌다.
단 ISU-122/ISU-122S를 제외한 장포신 탑재 계획으로 만들어진 버전들은 무겁고 긴 장포신 때문에 차체 안정성이 기존 차량들보다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대다수의 파생형들이 시제 차량 단계에서 프로젝트 개발이 중단되었다.
1.1.1. ISU-122
|
ИСУ-122 |
1.1.2. ISU-152-1
|
ИСУ-152-1 (Объект 246) |
테스트 결과 차내에서 포 조작이 어려웠고, 포구제퇴기와 약실 폐쇄기 블럭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데다 포신의 강도도 우수하지 못하고 굉장히 무거운 중포인 탓에 주포 구동계도 불량했으며, 차량 전체의 무게 중심도 흐트러지는 단점이 발견되며 이를 개선한 ISU-152-2로 이어진다.
1.1.3. ISU-152-2
|
ИСУ-152-2 (Объект 247) |
ISU-152-2의 최대 사거리는 19,500m, 포구초속 880m/s, 전용 고폭탄의 무게는 48.5Kg이다.[3]
1.1.4. 2K4 필린
|
2К4 "Филин" |
ISU-152를 베이스로 하여 무장을 탈거한 뒤, 조종수 전용 창문과 측면 탑승구를 증설한 전용 차체를 이용했으며, 사용 미사일은 2P4 미사일이었다.
1958년 제식화되었으나, 실전을 치르지는 않았으며 1960년대에 하단의 2P19으로 개수되었다.
1.1.5. 2P19
|
2П19 |
1.1.6. ISU-125 (2A46)
|
ИСУ-125 (2А46) |
실험 결과 2A46 활강포는 전차에 장착하기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으면서, 새로 개발된 전차들인 T-72 우랄과 T-64 등이 제작되는데에 가교 역할을 맡았다.
1.2. 비무장 파생형
1.2.1. ISU-T
|
ИСУ-Т |
1.2.2. BTT-1
|
БТТ-1 |
차체 전면부에는 크레인을 달 수 있었고 엔진룸 위에 개방형 화물칸이 신설되었다. 일부 차량은 60년대에 현대화 개량을 거치면서 ISU-T와 함께 엔진이 T-54에 적용된 V-54 엔진 기반의 신형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퇴역 이후에는 민간에 다수가 판매되어 일부 개체의 경우 철도, 건설 분야에서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1.3. 기술 기반 파생형
1.3.1. 오비옉트 704
|
Объект 704 |
2. 핀란드
2.1. 비무장 파생형
2.1.1. ISU-152V
|
ISU-152 Vetäjä |
단 한 량만이 제작되어 1945년부터 1964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었다.
3. 슬로바키아
3.1. 비무장 파생형
3.1.1. ISU 불도저
|
ISU Bulldozer |
현재 한 량이 슬로바키아의 돌나 스트레다에 위치하고 있다.
[1] ISU-152BM이라고도 한다.[2] 굉장히 무거운 중포이기 때문에 차량 전체의 무게 중심도 비틀어졌는데, 이로 인한 문제점과 상술한 BL-8 주포의 다수 심각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포신장을 줄여 약간이나마 무게중심 문제를 해결하려 한 것이 바로 BL-10 주포이다.[3] 구경이 큰 것 치고는 근거리 관통력이 88/71보다 조금 우세한 정도긴 하지만 구경빨로 파괴력이 달랐기 때문에 화력 문제는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