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0:57:12

ISU-152/운용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SU-152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ISU-152|
파일:ISU-152(3D,백).png
파일:ISU-152(3D,흑).svg
]]
}}}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1. 유럽

1.1. 동유럽

1.1.1. 소련

파일:ISU-152_at_Victory_Park_in_Moscow.jpg
모스크바 승전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ISU-152K "510호차"
원조 사용국으로,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다수의 개체를 ISU-152K와 ISU-152M으로 개수하였다.

1.1.2. 러시아

파일:Khabarovsk, Khabarovsk Kraï ISU-152.jpg
하바롭스크 전승 퍼레이드 참가 러시아 육군 소속 ISU-152 "103호차"
소련을 계승한 현 러시아에서 의장용으로 사용 중에 있다.

1.2. 남유럽

1.2.1. 유고슬라비아 연방

파일:yugoslavian_ISU_152.jpg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 소속 ISU-152
소련군이 다뉴브 강에 유기한 차량을 회수하여 전차 학교에서 훈련용으로 사용했다.

1.3. 북유럽

1.3.1. 핀란드

파일:Panssarimuseo ISU-152.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ISU-152 "1212호차"
계속전쟁 중 노획한 "1212호차"를 종전까지 사용한 후, ISU-152V로 개조한 뒤 1964년까지 사용했다가 현재는 복원을 끝내고 파롤라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1.4. 중부유럽

1.4.1. 독일

나치 독일과 동독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1.4.1.1. 나치 독일
파일:ISU-152_germany_openner.jpg
독일 국방군 노획 ISU-152 "도젠외프너"
나치 독일 산하의 독일 국방군에서도 소수의 차량을 노획하여 사용했는데, 그 엄청난 화력 덕분인지 "깡통 따개 (Dosenöffner)"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고 한다.
1.4.1.2. 동독
파일:Deutsch-Russisches Museum Berlin Karlshorst TSD-152.jpg
독일-러시아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육군 소속 ISU-152M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소련은 공산주의의 최전방인 동독을 재무장하기 위해 T-34-76, T-34-85, SU-76M, SU-85, SU-100, T-54 등을 공여하였는데, 이 중 자주포의 역할을 수행할 차량들의 화력이 시대의 변화로 큰 효력을 내지 못했기에 소수의 단차들을 동독에 공여하였다.

동독에 공여된 ISU-152들은 기록의 미비로 얼마나 많은 수량이 공여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략 1960~70년대까지 헌역으로 이용되었으며, 퇴역 이후로는 사격 표적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독일 전역에 ISU-152M의 폐차들이 산재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사격 표적물로 소모된 차량들이다.

1.4.2. 체코슬로바키아

파일:TSD_152_Czech.jpg
군사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TSD-152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다수의 ISU-152 및 ISU-152M을 소련에게 공여받았으며, 해당 차량들에 "TSD-152"라는 명칭을 부여해 1950년대 말까지 사용했다.

1.4.3. 폴란드

파일:Polish_army_museum_ISU-152.jpg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ISU-152 "331호차"
1944년 소련으로부터 도합 30문 이상을 공여받았으며, ISU-122도 같이 공여받은 후 10문의 ISU-152와 22문의 ISU-122를 공여받아 제25폴란드자주포연대를 창설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사용했다.

세계 대전 종전 후, 폴란드는 인민공화국 정부 시절인 1960년대까지 ISU-152를 헌역으로 사용했다.

1.4.4. 헝가리

파일:Military Museum and Technology Park Kecel 2P19 / ISU-152K.jpg
케첼 군사 박물관 기술 공원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2P19
냉전시기 소련으로부터 2P19를 여러 문 공여받아 실전 배치하였다.
1.4.4.1. 헝가리 반소 시민군
파일:2122DF425597A5E10D.jpg
헝가리 반소 시민군 노획 소련 육군 소속 ISU-152K
헝가리 반소 시민군 측에서도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군에게 1문을 빼앗아 사용하였다.

2. 아시아

2.1. 동아시아

2.1.1. 중국

파일:Chinese_ISU-152.jpg
베이징 전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ISU-152
1950년과 1955년에 걸쳐, 만주에 주둔하고 있던 소련 극동군 제7기계화사단을 포함한 소련군에게 도합 67문을 구매하여 1980년대까지 현역으로 사용하다 현재는 퇴역하였다.

중국에서는 ISU-152를 소(蘇)-152로 칭하였다고 한다. 이름의 소는 소련을 나타낸다.

2.2. 서아시아

2.2.1. 이라크

파일:Iraqi_ISU-152.jpg
이라크 국경수비대 소속 TSD-152
1970년대 이후 이집트로부터 소수의 차량을 구매했으며, 걸프 전쟁 당시 투입하였다.

2.2.2. 이스라엘

파일:Yad_la_Shiryon_ISU-152.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노획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
욤 키푸르 전쟁 시기 이집트군이 유기한 차량을 노획하여 잠시간 사용하였다.

2.3. 중앙아시아

2.3.1. 우즈베키스탄

파일:uzbek_ISU-152.jpg
타슈켄트 승리 공원 소장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ISU-152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소수의 차량을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독립 이후에도 전차병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현재는 한 문이 타슈켄트 승리 공원에 소장되고 있다.

3. 아프리카

3.1. 북아프리카

3.1.1. 이집트

파일:800px-ISU-152-latrun-2.jpg
야드 라 시론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1]
1960년대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ISU-152와 ISU-T, 그리고 BTT-1를 소량 구매해 6일 전쟁과,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자주포로 사용했다.

[1] 이스라엘 문단에 있는 단차와 동일 차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