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ISU-152| | }}} | |||||
파생형 | 실전 | 운용국 | 미디어 |
1. 유럽
1.1. 동유럽
1.1.1. 소련
|
모스크바 승전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ISU-152K "510호차" |
1.1.2. 러시아
|
하바롭스크 전승 퍼레이드 참가 러시아 육군 소속 ISU-152 "103호차" |
1.2. 남유럽
1.2.1. 유고슬라비아 연방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육군 소속 ISU-152 |
1.3. 북유럽
1.3.1. 핀란드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ISU-152 "1212호차" |
1.4. 중부유럽
1.4.1. 독일
나치 독일과 동독을 분리하여 설명한다.1.4.1.1. 나치 독일
|
독일 국방군 노획 ISU-152 "도젠외프너" |
1.4.1.2. 동독
|
독일-러시아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육군 소속 ISU-152M |
동독에 공여된 ISU-152들은 기록의 미비로 얼마나 많은 수량이 공여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략 1960~70년대까지 헌역으로 이용되었으며, 퇴역 이후로는 사격 표적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독일 전역에 ISU-152M의 폐차들이 산재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사격 표적물로 소모된 차량들이다.
1.4.2. 체코슬로바키아
|
군사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TSD-152 |
1.4.3. 폴란드
|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ISU-152 "331호차" |
세계 대전 종전 후, 폴란드는 인민공화국 정부 시절인 1960년대까지 ISU-152를 헌역으로 사용했다.
1.4.4. 헝가리
|
케첼 군사 박물관 기술 공원 소장 헝가리 육군 소속 2P19 |
1.4.4.1. 헝가리 반소 시민군
|
헝가리 반소 시민군 노획 소련 육군 소속 ISU-152K |
2. 아시아
2.1. 동아시아
2.1.1. 중국
|
베이징 전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ISU-152 |
중국에서는 ISU-152를 소(蘇)-152로 칭하였다고 한다. 이름의 소는 소련을 나타낸다.
2.2. 서아시아
2.2.1. 이라크
|
이라크 국경수비대 소속 TSD-152 |
2.2.2. 이스라엘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노획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 |
2.3. 중앙아시아
2.3.1.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승리 공원 소장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ISU-152 |
3. 아프리카
3.1. 북아프리카
3.1.1. 이집트
|
야드 라 시론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ISU-152[1] |
[1] 이스라엘 문단에 있는 단차와 동일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