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3:21:07

KS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코리안 시리즈의 준말}}}에 대한 내용은 [[KBO 한국시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BO 한국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KBO 한국시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한국산업표준의 KS}}}에 대한 내용은 [[한국산업표준]]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한국산업표준#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한국산업표준#|]]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Kill Steal의 약자}}}에 대한 내용은 [[킬딸]]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킬딸#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킬딸#|]]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소련이 개발한 산탄총}}}에 대한 내용은 [[KS-23]]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KS-23#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KS-23#|]]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동방견신단 관련}}}에 대한 내용은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코리안 시리즈의 준말: }}}[[KBO 한국시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BO 한국시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KBO 한국시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한국산업표준의 KS: }}}[[한국산업표준]]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한국산업표준#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한국산업표준#|]]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Kill Steal의 약자: }}}[[킬딸]]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킬딸#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킬딸#|]]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소련이 개발한 산탄총: }}}[[KS-23]]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KS-23#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KS-23#|]]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동방견신단 관련: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동방견신단 ~ Kaleidoscopic Sky#|]]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존재했던 이유3. 다른 명문라인4. 기타

1. 개요

경기고등학교(K) - 서울대학교(S)의 약자로,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실시 전에는 경기고등학교일반계 남자고등학교 중에서 서울고등학교와 함께 양대산맥으로 최고의 명문고였다. 덕분에 경기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그 중에서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라인은 오랫동안 대한민국의 소위 엘리트 층에서 주요 인맥을 차지하였다.

KS는 고교평준화가 실시되기 직전인 1973년 입학생(76학번)까지 유효한 것으로 졸업기수로 따질경우 경기고 72회 졸업생이다.

2. 존재했던 이유

서울대학교에 진학하는 것으로 KS라인이 완성되는 것이지만, 70년대까지만 해도 고등학교가 지역 교육에 더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고교-대학 입시를 2번 넘어야하던 비평준화세대가 평준화세대를 뺑뺑이라고 깔보고 그 중에서도 커트라인이 높던 비평준화 고등학교 인맥이 훨씬 쎄고 그 라인을 더 따진다. 그래서 경기고 출신이 서울대에 입학한 후 제적이나 중퇴로 타교를 졸업했어도 KS라인에 준하는 대우를 해 주는 경우가 많다.[1] 또한 고등학교 인맥을 더 따지는 비평준화 세대 특성상 경기고+비서울대 출신이 비경기고+서울대 출신보다 인맥 구축에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또 서울대 출신 학부별로도 라인 구분이 촘촘한데, 정계에서는 법대 출신과 비법대 출신의 격차가 크고, 그 외에도 정치학과와 외교학과[3], 경제학과 등 주류 학부 출신과 그 외가 나뉠 정도로 라인의 구별이 촘촘하다. 그러나 현 시대 기준으로 1957년생이 경기고에 입시로 입학한 마지막 세대이고, 이들은 이미 65세를 넘겨 공무원 정년퇴임을 마친 상태여서 이러한 라인 구분은 물론 KS라인의 의미는 사실상 사라지고 점점 대학 입결 중심의 서열로 이동했다. 이때부터 경기고등학교는 독자적 명문이 아닌 강남 8학군 중 하나로 분류된다.

3. 다른 명문라인

중학교 입시가 있던 시절에는 최고 명문 중학교였던 경기중학교도 있었으나, 1971년 입시 과열 방지를 이유로 중학교 입시제 폐지 이후 경기중학교도 폐교되었다. 여자 버전으로는 경기여자중학교 - 경기여자고등학교 - 서울대학교가 있었으나, 경기여중도 경기중과 함께 1971년 폐교되었다.

경기고 외에도 서울에서는 3대 명문으로 꼽히던 서울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가 평준화 전까지의 최고의 명문 고교였으며,[4] 서울 외 지역에도 각각 최고 명문 공립학교가 있었다. 인천광역시에서는 제물포고등학교, 경상도에서는 경북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경남고등학교, 전라도에서는 광주제일고등학교전주고등학교, 충청도에서는 대전고등학교청주고등학교, 강원도에서는 춘천고등학교, 제주도에서는 제주제일고등학교가 있었다. 한편 여자고등학교 중에서는 경기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가 3대 명문으로 꼽혔다. 이들 명문 고교들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 진학하면 KS와 동급으로 치는 평준화 제도 이후부터는 사라진 대한민국 보수들, 정확히는 이른바 대한민국 이너서클 보수들(연수원 성적, 고시 성적으로 출세길이 갈리는 법조계, 관료계) 쪽에서 이른바 순혈이라고 평가하는 성골.

영남에서 KS라인은 보통 경북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혹은 경남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출신 정치인을 일컫는다. 자세한 것은 각 학교의 출신 인물 참고.

현재 서울과 주요광역시 외에 소규모 지자체의 경우는 비평준화 지역이 남아있어서 이들 지역에는 아직까지 소지역주의처럼 지역 명문고교라는 학벌이 존재한다. 입학보다는 주로 대학진학을 가지고 성패가 갈린다는 점이 과거와의 차이다.

4. 기타

흔히 말하는 학벌 끝판왕이지만, 정작 이 라인은 대한민국 대통령은 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있는데, 사례로는 이회창, 고건, 손학규, 김근태[5]가 있다. 경기도지사의 징크스와 유사하다. 2022년 치러질 제20대 대통령 선거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국민의힘 입당 후 출마 선언을 하면서 KS 라인 대통령 도전의 마지막 주자가 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컷오프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경제학 분야에서 이 테크를 탄 대표 인물은 우리나라 경제학도들을 위한 쉬운 경제학 교과서 집필을 위해 일평생 구슬땀을 흘린 이준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명예교수다.

시사만화 쪽으로는 이원복덕성여자대학교 교수가 유명하다.

조금 뜬금없기만 하지만 노동운동가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자로 이름이 알려진 채만수도 경기고 - 서울대 출신이다. 물론 딱히 학연 덕을 보는 사람은 아니지만…


[1] 물론 여기에는 지금도 졸업보다 입학이 압도적으로 어려운 한국 대학의 특성도 작용했다.[2] 이런 인식의 마지막 수혜자가 박원순,노회찬이다. 똑같이 재수로 경기고에 입학해 박원순은 서울대 사회계 입학후 학생운동으로 제적, 노회찬은 고려대 정외과에 입학했는데 이들은 경기고 인맥덕에 보수적인 관료집단 내에서 무시할 수 없는 학벌이라 골수 운동권임에도 정치권에서 버틸 수 있었다.[3] 고등학교 평준화 이전 세대에서는 서울대 정치외교학부가 정치학과와 외교학과로 나뉘어 있었다.[4] 경기고와 동일하게, 서울고는 29회, 경복고는 51회가 마지막 비평준화 세대다.[5] 전술한 손학규, 조영래 변호사와 함께 운동권 KS 트로이카로 부르며 당시 운동권 내부에서도 높은 대접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