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관련 문서: 경제학과
서울대학교의 단과대학 | |||
인문대학 | 간호대학 | ||
경영대학 | 공과대학 | 미술대학 | |
사범대학 | 수의과대학 | 약학대학 | |
음악대학 | 의과대학 | 첨단융합학부 | |
치의학대학원 |
<colbgcolor=#003380><colcolor=#fff>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서울大學校 經濟學部 SNU Department of Economics | |
<bgcolor=#fff> | |
설립 | 1946년 10월 |
학부장 | 김봉근 |
정원 | 학부 154명 |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사회과학대학 16동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 우석경제관 223동 |
<bgcolor=#fff> | |
홈페이지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
[clearfix]
1. 개요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문으로 연구/교육하는 학부. 학부생 정원은 학번당 154명, 조교수 이상 교수진만 해도 2021년 4월 기준 37명에 달하는 대형 학부이다.2. 역사
<colcolor=#fff><colbgcolor=#003380> 1910년대 | 동양협회경성전문학교 고등상업과 |
1946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
1955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무역학전공 |
1959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 |
1975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 |
1985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경제학과[1] |
1995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2] |
본교 홈페이지에 기재된 역사는 위와 같으며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사항은 웹 사이트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신축/재건축
3.1. 우석경제관 223동
학부생 숫자가 사회과학대학의 절반 가까이 되므로 대형강의실을 구하기 위해 사회과학대학 강의가 주로 이루어지는 16동과 83동 뿐 아니라 심지어 舊28동 자연과학대학 건물의 대형강의실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공간 부족의 심각성으로 인해 경제학부 건물을 신축하겠다는 계획이 2016년 12월 대학 본부에서 승인되었고 모금, 특히 경제학과 17회 선배인 영원무역 성기학 회장의 기부로 관악캠퍼스 순환도로변의 보건대학원 길 건너편에 지하1층~지상5층 1800평 규모의 우석경제관[3](223동)이 신축되었다.
그러나 한국경제혁신센터가 사회과학대학 건물 옆에 신축되면서 완전히 동떨어진 건물이 되어버렸다.
3.2. 한국경제혁신센터 16-1동
2018년 정부는 미국의 국가경제연구국(NBER)을 본 따 한국경제혁신센터를 서울대학교에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2019년 예산에 반영했고, 서울대는 경제학부 자체 발전기금을 추가 투입하여 당초 우석경제관 인근에 그와 비슷한 규모의 한국경제혁신센터를 건설하기로 계획하였다.
그런데 실시 설계 전 검토 중 신축 부지로 계획했던 우석경제관 바로 옆 부지 지하에 관악캠퍼스의 주전력관이 매설되어있어 이를 이설하기 위한 공사 비용만도 100억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고, 경제학부는 대학 본부와 협의 끝에 기존 사회과학대학 16동과 연결되어있는 사회과학도서관 16-1동을 재건축하면서 아고라 부지에 한국경제혁신센터를 증축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로써 사회과학대학 타학과와의 지리적 독립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
4. 자치활동
공식적인 경제학부 자치회는 없으나 현재 "경제학부 서포터즈"라는 동아리가 그와 유사한 역할을 맡고 있다.2017학번부터 사회과학계열 광역 선발제가 완전히 폐지되고 2002년 이전처럼 과별 선발체제로 돌아감에 따라서 경제학부생은 경제/불꽃, 경제/비, 경제/시반, 이 세 반에만 배정되게 되었다.
학생들에게 서울대 경제학부 문구가 박힌 후드집업을 무료로 나눠주는데, 캐주얼한 디자인 덕분에 편하게 입고다니는 학생들이 있다.
5. 진로
대부분 연도에 가장 많은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합격인원을 배출하왔으며, 특히 재경직은 더욱 그러한 편이었다.일반대학원과 로스쿨에도 많이 진학하며 교수, 연구원, 변호사, 검사, 로클럭, 판사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정확한 통계는 다음과 같다. 2023년 4월 1일 서울상대 동창회보에 따르면, 2023년 2월 졸업생 159명 중, 대학원 진학(로스쿨 포함)이 36명, 은행 및 금융회사 18명, 공무원 13명(행정고시 11명[4]), CPA 3명, 컨설팅 회사 3명, 연구소 3명, 중소기업 3명, 대기업 2명, 취업준비와 고시공부는 25명으로 파악되었다. 한국은행은 2명 뿐으로 과거와 달리 선호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6. 출신 인물
6.1. 정계·행정
- 강석훈 - 제5대 KDB산업은행 회장
- 강완구 - 국방부 기획조정실장
- 강정호 - 전 경상남도 정무부지사
- 곽상언 - 제22대 국회 종로구 국회의원
- 구윤철 - 전 국무조정실장
- 권태신 - 전 국무총리실장
- 김근태 - 전 보건복지부장관
- 김기준 - 전 국회의원
- 김대유 - 전 경제정책수석비서관
- 김명규 -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 김병환 - 금융위원회 위원장, 전 기획재정부 제1차관
- 김상조 -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 김성식 - 전 국회의원
- 김성욱 - 기획재정부 대변인
- 김성진 - 전 해양수산부장관
- 김세연 - 전 국회의원
- 김용민 - 전 조달청장
- 김원길 - 전 보건복지부장관
- 김재순 - 전 국회의장
- 김재욱 - 경상북도 칠곡군수
- 김정우 - 전 조달청장, 전 국회의원
- 김종석 -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장, 전 국회의원
- 김종철 - 전 정의당 대표
- 김창기 - 국세청장
- 김태호 - 국세청 차장
- 김한정 - 전 국회의원
- 나성린 - 전 국회의원
- 나웅배 - 전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
- 박기영 - 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 박대동 - 전 국회의원
- 박민규 - 국회의원
- 박인철 - 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
- 박일영 - 한국투자공사 사장
- 박재완 - 전 기획재정부장관
- 박찬종 - 전 국회의원
- 박춘섭 - 경제수석비서관, 전 조달청장
- 방기선 - 국무조정실장
- 사공일 - 전 재무부 장관
- 서정협 - 전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 성윤모 - 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손병두 -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
- 송상근 - 전 해양수산부차관
- 신동규 - 전 한국수출입은행장, 농협금융지주 회장
- 신철식 - 전 국무조정실 정책차장
- 심대평 - 전 충청남도지사, 전 행정조정실장
- 심재권 - 전 국회의원
- 심정구 - 전 국회의원
- 안호근 - 제5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장
- 오태석 -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 유경준 - 전 국회의원, 전 통계청장
- 유승민 - 전 국회의원,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 전 바른정당 대표
- 유시민 - 전 국회의원, 전 보건복지부장관
- 유일호 - 전 경제부총리, 전 국무총리 권한대행
- 유치송 - 전 국회의원
- 윤상직 - 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현 - 국회의원
- 윤수현 - 한국소비자원장, 전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
- 윤인대 - 기획재정부 차관보
- 이계식 - 전 제주도 정무부지사
- 이근경 - 전 전라남도 정무부지사
- 이목희 - 전 국회의원
- 이병래 - 한국공인회계사회 대외협력부회장
- 이상득 - 전 국회부의장
- 이상일 - 경기도 용인시장
- 이석준 - 농협금융지주 회장, 전 국무조정실장
- 이승원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부시장
- 이억원 - 전 기획재정부 제1차관
- 이용우 - 전 국회의원
- 이재훈 - 전 지식경제부 제2차관, 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
- 이종구 - 전 국회의원
- 이종욱 - 전 조달청장
- 이종훈 - 전 국회의원
- 이주호 - 사화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이진무 - 전 대구광역시 정무부시장
- 이창용 - 제27대 한국은행 총재
- 이현재 - 전 국무총리
- 이형일 - 통계청장
- 이혜훈 - 전 국회의원, 전 바른정당 당대표
- 장덕진 - 전 한국소비자원장
- 장병완 - 전 기획예산처장관, 국회의원
- 정두언 - 전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 정운찬 - 전 국무총리
- 정찬우 -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
- 정희권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 조규홍 - 보건복지부장관, 전 보건복지부 제1차관
- 조동철 - 한국개발연구원장
- 조성욱 - 전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조용만 -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 진념 - 전 부총리
- 진승호 - 전 한국투자공사 사장
- 한덕수 - 국무총리
- 홍석우 - 전 지식경제부장관
- 홍재형 - 제18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 홍정민 - 전 국회의원
- 황광우 - 정치인
- 황낙주 - 전 국회의장
- 황병태 - 전 국회의원, 전 주중화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
- 황준국 -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6.2. 법조계
6.3. 언론계
- 정연주(언론인) - 전 한국방송공사 사장,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
6.4. 재계
- 김광수 - 전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 박용성 - 전 두산그룹 회장, 전 중앙대학교 재단 이사장
- 이성열(공무원) - KCENC 부회장
- 이준용 - DL그룹 명예회장
- 이필곤 - 알티캐스트 회장, 전 중앙일보 대표이사 사장, 전 대한태권도협회 회장
- 정몽준 - 전 국회의원, HD현대 초대 총수
6.5. 대학교수
- 고학수 -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 김소영(교수)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김수행 -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김현욱 -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 전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 송병락 - 전 서울대학교 부총장,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 신영복 - 전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석좌교수
- 이영(교수) - 전 교육부차관, 전 한양대학교 기획처장
- 이영훈 - 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낙성대경제연구소 소장
- 이준구(교수)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장하성 - 런던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6.6. 교육계
- 김건호(강사) - 메가공무원 헌법 및 행정법 강사
- 김유향 - 변호사, 한림법학원 5급 공채 헌법 강사, 해커스변호사 변호사시험 공법 강사
- 김진욱(강사) - 베리타스법학원, 나무경영아카데미 경제학 과목 강사
- 장원석(강사) - 메가로이어스 상법 전문 강사, 변호사
- 황종휴 - 윌비스 한림법학원 경제학, 국제경제학, 재정학 강사, 해커스경영아카데미 재정학 강사
6.7. 기타
- 버벌진트 - 래퍼
- 입금완료 - 유튜버
- 슈카월드 - 유튜버
- 식빵(인터넷 방송인) - 유튜버
[1] 학과명을 무역학과에서 국제경제학과로 변경.[2] 경제학과와 국제경제학과가 통합하여 경제학"부"가 되었다.[3] 성기학 회장의 부친의 호를 땄다.[4] 과거에는 선호되는 진로였으나, 공무원의 인기 하락과 세종시 이전 등으로 인기가 떨어졌다.[5] 특이하게도 행정고시, 사법고시 둘 다 합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