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23:45:45

쿠웨이트 디나르

KWD에서 넘어옴
서남아시아의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튀르키예, 북키프로스)
러시아 루블
(러시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이스라엘 파운드)
조지아 라리 아르메니아 드람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요르단 디나르 오만 리알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카타르 리얄 바레인 디나르 쿠웨이트 디나르 예멘 리알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레바논 파운드 시리아 파운드 이라크 디나르 이란 리알
* 요르단강 서안 지구 : 요르단 디나르와 병행
가자 지구 : 이집트 파운드와 병행
}}}}}}}}} ||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위안, 파일:대만 국기.svg 신대만 달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달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바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페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달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달러,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타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타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텡게(# /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디나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디나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디나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리알(#)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 파일:영국 국기.svg 파운드 스털링,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프랑,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크로나,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로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코루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즈워티,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포린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루블(사실상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달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페소,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헤알,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페소(#)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운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실링(#)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달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달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달러(#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دينار كويتي (아랍어)

파일:CBKuwaitLogo.png

1. 개요2. 국내에서 환전과 환율
2.1. 구권, 오염, 훼손, 마모된 지폐 환전
3. 지폐
3.1. 1~2차3.2. 3~4차3.3. 5차3.4. 6차 (현행권)
4. 주화5. 둘러보기

1. 개요

쿠웨이트의 법정통화. ISO 4217 코드는 KWD. 기호는 د.ك 또는 KD이다. 보조단위로 1/1,000 단위인 필스(Fils)가 있다.

전 세계에서 단위당 가치가 가장 높은 통화로 알려져 있으며, 2024년 10월 기준 1디나르당 3.27 USD, 약 4,532원이다.

1997년 12월 24일무려 6,400원을 기록했다. 최저2008년 2월 25일의 3,432원. 인플레는 3%로 다소 안정적인 편이다. 변동환율제가 아닌 통화 바스켓 형태의 고정환율제를 사용한다. 2003년에 달러에 페그를 걸었다가 2007년에 바스켓 고정으로 복귀했다.

영국의 보호국으로 지내다가 1960년 독립하면서 이듬해인 1961년 걸프 루피를 대신하는 통화를 만든 것이 시초다. 걸프 루피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에서 만든 아라비아 해역의 통화단위였다. 1루피 = 1실링 6펜스 고정환율. 즉, 1파운드 = 13+(1/3)루피였다. 교환비는 무려 1파운드 = 1디나르.

이라크침공당한 역사가 있었고, 2000년대 후반에 이라크 디나르의 투자사기 해프닝 때문에 본의 아니게 이용당한 화폐이기도 하다. 때문에 한때는 환율이 폭등할 뻔했지만, 사건이 터진 기간이 워낙 짧기도 하고, 복귀하자마자 바로 오일 달러로 외환을 축적하며 안정적으로 이끌어내 별 탈 없이 현상유지에 성공하였다. 더욱이 2008년에 대침체로 인해 도리어 역강세가 되어버린 아이러니한 상황. 전체적인 환율 추이는 아래 그래프를 보도록 하자. y축의 값은 디나르가 아니라 보조단위인 필스(Fils)다. 즉, 대놓고 단위가 0.001, 현재도 1달러로 겨우 ¼디나르(250필스) 한 장 살 수 있다. 남는 건 전부 필스 동전들, 그마저도 겨우 50필스 정도가 태반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KWD_against_USD.png

½디나르, ¼디나르 등의 분수 단위의 화폐가 있다. 디나르 가치가 높아 환율에 따른 변동성이 크지만, 각각 한화로 2천 원, 1천 원에 대응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2. 국내에서 환전과 환율

은행에서 영업점에서 현금 사실때 평균 4%, 파실 때가 평균 8%. 사거나 팔려면 SC제일은행씨티은행, 농협, IBK기업은행을 제외한 모든 시중은행 본점 및 공항 지점, 일부 명동 사설환전소, KB국민은행 홍대입구역환전센터에서 해야 한다.

2023년 6월 하나은행 매매기준율로 1 디나르당 4,200원이다.
¼(0.25)디나르=1,050원½(0.5)디나르=2,100원1디나르=4,200원5디나르=21,000원10디나르=42,000원20디나르=84,000원

10년 대비 최고치/최저치
  • 미국 달러 대비 최고치: 3.78229달러
  • 미국 달러 대비 최저치: 3.13529달러
  • 원화 대비 최고치: 5,550.95원
  • 원화 대비 최저치: 3,162.30원

국내에서 환전 못 했을 경우에는 아래의 외국 통화가 환전이 가능하다.

joyalukkasexchange환율창

일부 FX마진를 취급하는 금융회사에서는 "쿠웨이트 디나르/미국 달러(KWD/USD)"만 대한 지원하는데 이때 미국식으로 제공된다. (예: 1KWD= U$ 3.2651)

2.1. 구권, 오염, 훼손, 마모된 지폐 환전

현재의 5차 이전 권종은 쿠웨이트 현지 및 국내외에서는 환전을 못하기에 쿠웨이트 현지나 국내외 화폐 수집상에 싼 값에 팔아야 한다.

만약, 오염, 훼손, 마모된 지폐이라면 국내외 은행이나 사설환전소에서 환전 시도하고, 안 될 경우 유니세프 기부통에 기부하거나 쿠웨이트 현지에서 사용하거나 그것도 안 통하면 현지 시중은행, 환전소, 중앙은행 본점에 가서 교환 신청서 쓰고 기다려야 한다.

3. 지폐

3.1. 1~2차

아미르령(Amiri Decree) 41조에 의해 1961년 4월 1일에 도입되었지만, 표기는 독립의 해인 1960년으로 되어있다. 먼저 언급한 대로 인도 루피의 대체물로서 등장. 1982년 2월 1일에 통용중단, 같은 해 5월 31일에 공식 폐기되었다.

도중에 아미르가 교체되고 1968년 발행처가 변경된 개정판을 도입했는데 실제 첫 보급은 1970년 11월 17일. 중단 및 폐기 절차는 1차와 동일하다.
도안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0.jpg 구형 앞면 압둘라 3세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1.jpg 신형 앞면 사바 3세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2.jpg KD¼ 슈웨이크 항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3.jpg KD½ 쿠웨이트 대학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4.jpg KD1
(구형)
시멘트 공장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5.jpg KD1
(신형)
석유 정제 시설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6.jpg KD5
(구형)
거리 풍경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7.jpg KD5
(신형)
쿠웨이트 주택가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18.jpg KD10 다우선

3.2. 3~4차

1977년에 새 아미르인 쟈빌 알 아흐마드 앗 사바하가 등극하면서 신권 교체작업이 이루어졌는데, 어째선지 아미르 얼굴 대신 국장이 들어갔다. 새 고액권인 20디나르는 1986년에 추가되었다.

하지만 1990년 갑작스런 이라크의 침공으로 은행을 강탈당해 경제를 마비시킬 목적으로 마구 뿌려지게 되자 나라를 되찾은 직후인 1991년 3월 24일에 긴급히 통용정지 및 회수조치를, 그리고 9월 30일에 완전한 폐기조치를 내리며 생을 마감하였다.

이후 1992년 개정판을 내놓았는데 목적이 목적인 만큼, 구분이라도 확실히 되도록 색깔만 적색계통으로 바꾼 것이 전부다. 임시 발행용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은 매우 짧았다. 1994년 8월 17일 회수, 1995년 2월 16일 통용중단, 2004년 8월 16일 완전폐기.

참고로 2000년대 후반 때 이라크 디나르 투자사기의 여파인지는 몰라도 이미 폐기되어버린 이 시리즈를 이용해 투자가를 불러모아다 환전사기를 친 사람들도 있었다. 그래서 한때 일부 외환담당 직원들이 서로 자신이 리스크를 지지 않으려고 쿠웨이트 디나르의 환전 업무를 거부하기도 했었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1.jpg KD¼ 석유 굴착 장치 석유 정제 시설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2.jpg KD½ 쿠웨이트 타워 슈웨이크 항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3.jpg KD1 쿠웨이트 통신센터 자흐라의 레드 포트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4.jpg KD5 미너렛 아스 시프 궁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5.jpg KD10 다우선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036.jpg KD20 쿠웨이트 증권거래소 사법부 건물

해당 기번호가 이라크에게 빼앗긴 것인데, 참고로 쿠웨이트 디나르의 일련번호(Serial Number, 시리얼 넘버)는 앞쪽에 분수가 있고 뒤쪽에 숫자 6자리가 있는데, 앞쪽 분수의 분모자리가 기번호다.[2] 다만 아랍 숫자로 쓰여있어서 은근히 골치.

1/4디나르: 분홍색/회색 ▶ 적색/분홍색(54 ~ 86번)
1/2디나르: 보라색 ▶ 청색/분홍색(30 ~ 37번)
1디나르: 적색/분홍색 ▶ 녹색/분홍색(47 ~ 53번)
5디나르: 청색 ▶ 청색/보라색(18 ~ 20번)
10디나르: 녹색 ▶ 진홍색/고동색(70 ~ 87번)
20디나르: 고동색 ▶ 보라색(9 ~ 13번)

3.3. 5차

1994년 4월 3일에 일률적으로 도입되었다. 구권에 비해 위조 방지 장치를 대폭 강화시킨 것이 특징. 디자인적 틀은 대략 구권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색감이나 도안배치가 한층 풍부해졌다.

2015년 10월 1일부터 국내외에서 환전과 현지 사용이 불가능하며 2025년 4월 3일까지 쿠웨이트 중앙은행에 직접가서 서류 작성 후 교환이 가능하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1.jpg KD¼ 전통 가구, 다우선 틱 탁 타키야[3]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2.jpg KD½ 찻주전자, 전통 시장 알 사바[4]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3.jpg KD1 전통 등불, 자유의 탑 슈웨이크 항, 전통 물통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4.jpg KD5 전통 맷돌, 자유의 탑 정유 공장, 송전탑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5.jpg KD10 전통 물독, 국립 그랜드 모스크 진주조개 채취, 다우선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56.jpg KD20 대포, 자흐라의 레드 포트 구 중앙은행, 옛 쿠웨이트 성문

여담으로 이 시리즈를 이용한 사기도 있었는데, 2016년 6월 13일 부산에서 20디나르에 0을 2개 더 쓴 2,000 디나르[5] 위조지폐 200장로 사기를 치려다 실패했다고 한다. 쿠웨이트 디나르라는 존재 자체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보니 계획하게 된 것이라 했다. 참고로 이 위조지폐는 2달 전에 아부다비에서 적발되는 등, 전세계에 돌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간접적인 경로로 유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3.4. 6차 (현행권)

2014년 6월 29일 발행.

권종 구성 자체에는 변함이 없으나 디자인이 전면적으로 새로 교체된다.
앞면 뒷면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1.jpg KD¼ 자유의 탑 전통 나무문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2.jpg KD½ 쿠웨이트 타워 매부리바다거북병어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3.jpg KD1 국립 그랜드 모스크 파일라카섬 고대 그리스 유적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4.jpg KD5 중앙은행 건물 유조선과 석유 정제 시설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5.jpg KD10 의회 건물 낙타
파일:attachment/쿠웨이트 디나르/kwd66.jpg KD20 아스 시프 궁 알 붐 전통 다우선과 진주조개 채취

4. 주화

파일:Kuwait 5-100 Fils 2012-2020, KM 10c-14c, Mint, Sailing Ship_1.jpg

5, 10, 20, 50, 100필스 5종.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80deg, #000 3%, #000 3%, #000 6%, #000 6%, #000 15%, transparent 15%), linear-gradient(to bottom, #007a3d 10%, #FFF 10%, #FFF 90%, #cf1126 9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7a3d>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걸프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사바 가문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쿠웨이트 디나르
국방 쿠웨이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나와프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지리 걸프만 · 쿠웨이트(도시) · 수비야(마디낫 알하리르)
교통 쿠웨이트 항공 · 쿠웨이트 국제공항
민족 걸프 아랍인 }}}}}}}}}



[1]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2] 분자자리에 있는 것은 숫자가 아니라 문자다.[3] 수건 돌리기와 비슷한 놀이[4] 구슬치기와 비슷한 놀이[5] 만약 실존한다면 1장 당 무려 약 800만원에 달하는 지폐가 된다. 참고로 모든 화폐 중에 이와 맞먹는 지폐는 10,000 싱가포르 달러/브루나이 달러 밖에 없으며 그마저도 두 지폐도 모두 발행이 중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