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19:11:19

LS머트리얼즈

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377><colcolor=#fff> 계열사
지주회사 LS
전력 LS일렉트릭 (LS메탈 | LS메카피온 | LS사우타 | LS에너지솔루션 | LS아이티씨) | LS이링크 (SE모빌리티)
전선 LS전선 (지앤피) | LS EV Korea | LS에코에너지 | LS머트리얼즈 | LS에코첨단소재 | LS마린솔루션 (LS빌드윈) | 한국미래소재) | 가온전선 (모보) | LS아이앤디 | LS글로벌
기계
금속
LS MnM (GRM | 토리컴 | 선우 | 씨에스마린) | LS엠트론 (LS오토모티브 | 캐스코) | LS엘앤에프베터리솔루션
에너지 E1 (LS네트웍스 (LS증권 | 프로스펙스) | E1컨테이너터미널 | E1물류 | E1AmericaLLC | M1-EnergyLLC) | 예스코홀딩스 (예스코 | 한성PC건설)
}}}}}}}}} ||
엘에스머트리얼즈
LS Materials
<nopad> 파일:LS머트리얼즈 CI.jpg
<colbgcolor=#003377><colcolor=#ffffff> 기업명 엘에스머트리얼즈주식회사
LS Materials Co., Ltd.,(영어)
설립일 2021년[1]
대표자 홍영호
업종명 전자축전기 제조업
상장유무 코스닥시장 (2023년 12월 12일~ )
종목코드 417200
기업규모 대기업
모기업 LS그룹
본사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39 (호계동)
웹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제품
4.1. 셀
4.1.1. PCB Mounting type4.1.2. Busbar connecting type
4.2. 모듈
5. 적용 분야6. 관련 문서

1. 개요

LS그룹 계열사로 슈퍼커패시터 제조회사. 경기도 안양시 호계동 LS엠트론 하이테크센터에 본사가 있다. 2021년 LS전선의 자회사로 편입되며 LS Materials 라는 회사로 LS Mtron으로부터 분리되었다. #

2. 역사

2021년 1월 LS엠트론 울트라커패시터 사업부가 LS엠트론으로부터 물적 분할하여 LS머트리얼즈가 되었다.
  • 2005년 LSUC 2.8V 3000F 개발 완료, 파일럿라인 안양공장에 구축, LS전선에서 기술 개발 진행
  • 2007년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2.5V 5400F 개발완료
  • 2008년 LS 전선에서 LS엠트론으로 분사, LS전선 3개사(LS 엠트론, LS전선, LS㈜)로 계열 분리
  • 2011년 세계 최초 LSUC 3.0V 대형셀 개발
  • 2013년 LS엠트론 하이테크 센터(안양) 공장 이전
  • 2016년 LSUC 3.0V 중형셀 개발완료, 2.85V 3400F 원통형 셀 출시
  • 2018년 LSUC 3.0V 3000F 대형셀 출시
  • 2020년 LSUC 3.0V 3400F 대형셀 출시
  • 2021년 LS 엠트론에서 LS머트리얼즈로 분사

3. 지배구조

2025년 4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S전선
43.51%

4. 제품

LSUC 브랜드의 슈퍼커패시터(울트라커패시터)로 셀과 모듈이 있다.

4.1.

파일:LSUC_Cell.jpg

4.1.1. PCB Mounting type

Lug, 4pin/2pin snap-in으로 2가지 단자 형태로 있다.
  • 2.7V : 720F, 800F, 1200F
  • 2.8V : 100F, 120F, 320F(저저항), 350F, 400F, 450F, 600F(450F과 동일 사이즈로 에너지 밀도가 높다) 720F
  • 3.0V : 100F, 380F, 430F, 480F, 500F

4.1.2. Busbar connecting type

PCB 타입에 비해 저항이 낮아 고출력이다. 모듈화를 위해 Busbar로 연결하며 연결방식에 따라 단자 type을 달리 한다.
(LT01(M16, Long Screw), LT02(M12, Long Screw), ST01(Short Screw), WT(Weldable)
  • 2.7V : 650F, 1200F, 1500F, 2000F, 3000F
  • 2.85V : 3400F
  • 3.0V : 3000F, 3400F

4.2. 모듈

셀을 직병렬하여 구성하며, 고전압용으로 16V~400V 제품이 있다. 사용 분야에 따라 Option이 존재한다.

파일:LSUC_Module.jpg

5. 적용 분야

  • 산업 : 미세공정산업(반도체/Display/차량도색 등) UPS, 순간정전보상장치, ESS FR(Frequency Regulator), AMR, Data Center, SSD, 태양광 가로등, 발광블록, 연료전지 보조, 발전기 시동 전원, Pulse power
  • 의료 : Portable/Mobile X-ray
  • 풍력발전기 : Pitch Control system 비상 전원, FR(Frequency Regulator)
  • 태양열 : 태양열 발전 Mirror-tracking
  • 자동차 : 하이브리드버스, ISG 시스템, 전압안정기, 점프스타터, 블랙박스, Hybrid battery
  • 운송 : Regenerative Braking
  • 중장비 : Energy Harvesting
  • 해양 : 파력 발전, Leveling system
  • 소비재 : 전동공구, 플래시 라이트, 완구

6. 관련 문서



[1] LS엠트론으로부터 물적분할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