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fe3f9> | LoL e스포츠 지역 리그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5대 리그 | |||||||||
| | | | | ||||||
대한민국 LCK | 중국 LPL | 아메리카 LTA | EMEA LEC | 퍼시픽 LCP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LTA 하위 컨퍼런스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 ||||||||
북아메리카 LTA North | 남아메리카 LTA Sul | }}} | ||||||||
LCP 하위 리그 | ||||||||||
| | | ||||||||
일본 LJL | 대만·홍콩·마카오 PCS | 베트남 VCS | ||||||||
ERL 인증 리그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 | 파일:LVP_SL_logo.png | | ||||||
프랑스 LFL | 독일 PRM | 스페인 SL | 튀르키예 TCL | }}} | ||||||
국제 대회 | 기타 국제 대회 | 폐지된 대회 | }}}}}}}}} |
| |
<colbgcolor=#b2a27e><colcolor=#fff>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오브 디 아메리카스 | |
지역 | |
운영 주체 | 라이엇 게임즈 |
컬러 | ■ |
약칭 | LTA |
중계 | |
경기장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Riot Games Arena[North] |
[[브라질| ]][[틀:국기| ]][[틀:국기| ]] Riot Games Arena[South] | |
최근 우승팀 | |
최다 우승팀 | |
최다 우승자 | |
하위 컨퍼런스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North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South |
[clearfix]
1. 개요
라이엇 게임즈에서 주최하고 주관하는 아메리카 지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1부 리그이며, 2024 시즌까지 LCS(북미), LLA(라틴 아메리카), CBLOL(브라질) 로 나뉘어져있던 아메리카 대륙의 세 리그가 통합되어 신설된 리그다. LoL e스포츠 5대 리그 중 하나를 맡고 있다. 약칭은 LTA.2. 진행 방식
지역에 따라 두 컨퍼런스로 나뉜다. LTA North는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팀[6]으로, LTA Sul는 브라질과 남아메리카 팀[7]으로 구성된다.LTA North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라이엇 게임즈 아레나에서, LTA Sul는 브라질 상파울루 라이엇 게임즈 아레나에서 진행된다.
로스터는 LTA North 컨퍼런스 선수, LTA Sul 컨퍼런스 선수, 해외 선수로 구성할 수 있다. 단 팀의 과반수는 LTA 지역의 선수여야 하며, 홈 컨퍼런스 외부의 선수가 과반수를 차지해서는 안 된다.[8]
LTA는 3개의 스플릿, 챔피언십, 승강전으로 구성된다.
- 스플릿 1
- 컨퍼런스 스테이지는 컨퍼런스별로 피어리스 드래프트, Bo3,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한다. 단, 시드 결정전은 Bo1으로 진행한다.
- 아메리카 스테이지는 컨퍼런스 스테이지가 끝나고 North 상위 4팀, Sul 상위 4팀이 브라질 상파울루에 모여서, 피어리스 드래프트, Bo3,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대결하게 되며 결승전만 Bo5로 진행한다. 우승팀은 First Stand Tournament 출전권을 얻게 된다.
- 스플릿 2
- 스플릿 3
- 픽 앤 플레이(Pick and Play)라는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된다. 픽 앤 플레이 단계(Phase)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3주간, 팀마다 매 주 Bo3 1경기씩 진행한다.
- 1주차는 스플릿 2 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진으로 구성된다.
- 1위 vs 8위, 2위 vs 7위, 3위 vs 6위, 4위 vs 5위.
- 2주차와 3주차는 이전 주차까지의 순위에 따라, 순위가 낮은 팀부터 순차적으로, 해당 주차의 상대를 지명한다.
- 순위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결정한다.
- 경기(Match) 승리 수
- 세트(Game) 승리 수
- 세트(Game) 패배 수
- 스플릿 2 최종 순위
- 픽 앤 플레이 단계 중 이미 대결한 상대는 지명할 수 없다.
- 엘리미네이션(Elimination) 단계는 픽 앤 플레이 단계가 끝나고 시딩 경기(Seeding Match)와 탈락 결정 경기(Elimination Match)를 구분하여 진행하며, 팀에 따라 Bo3로 최대 3경기를 치르게 된다. 컨퍼런스별로 상위 3팀은 LTA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 LTA 챔피언십
- Bo5,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며,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승팀이 그 해 LTA 챔피언이 된다.
-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의 1세트 진영 선택권은 시드가 높은 팀이 가진다.
- 시드가 같은 팀끼리의 대결인 경우, 동전 던지기(Coin Flip)로 어느 팀이 1세트 진영 선택권을 가질지 결정한다.
- 결승전을 포함하여, 2세트 이후의 진영 선택권은 직전 세트를 패배한 팀이 가진다.
- 1시드 경기: 컨퍼런스별 1시드 팀끼리의 대결. 승리 팀은 결승전 직행.
- 두 번째 결승전 진출 팀 및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 이하 모든 경기는 패배 시 바로 탈락.
- 1라운드: 각 컨퍼런스 2시드 팀과 다른 컨퍼런스 3시드 팀의 대결.
- 2라운드: 1라운드 승리 팀끼리의 대결. 패배 시 최종 4위.
- 3라운드: 1시드 경기 패배 팀과 2라운드 승리 팀의 대결. 패배 시 최종 3위.
- 결승전: 1시드 경기 승리 팀과 3라운드 승리 팀의 대결.
- 1세트 진영 선택권은 1시드 경기 승리 팀이 가진다.
- LTA 챔피언십에서의 최종 순위로 월즈 시드를 배분한다.[12][13]
- 승강전 (Promotion Tournament)
- 승강전은 컨퍼런스별로 진행하며, 다음 팀들이 참가한다. 1그룹이 2그룹보다 상위 그룹이다.
- 1그룹: 1부 리그(LTA) 게스트 슬롯[14][15], 2부 리그[T2] 1시드, 라틴 아메리카 리그(LATAM)[LR] 1시드
- 2그룹: 2부 리그[T2] 2시드, 라틴 아메리카 리그(LATAM)[LR] 2시드
- Bo5, 세미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하며,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승격전에서 승리한 팀이 다음 해 LTA 게스트 슬롯을 차지한다.
- 개별 경기에서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1세트 진영 선택권은 상위 그룹에 속한 팀이 가진다.
- 같은 그룹 팀끼리의 대결인 경우, 동전 던지기로 어느 팀이 1세트 진영 선택권을 가질지 결정한다.
- 2세트 이후의 진영 선택권은 직전 세트를 패배한 팀이 가진다.
- 1라운드: 2부 리그 2시드 팀과 LATAM 2시드 팀의 대결. 패배 시 탈락.
- 2라운드
- 1경기: 2부 리그 1시드 팀과 LATAM 1시드 팀의 대결.
- 2경기: LTA 게스트 슬롯 팀과 1라운드 승리 팀의 대결.
- 패자조: 2라운드 일반 경기 패배 팀끼리의 대결. 패배 시 탈락.
- 3라운드
- 승자조: 2라운드 일반 경기 승리 팀끼리의 대결.
- 패자조: 3라운드 승자조 패배 팀과 2라운드 패자조 승리 팀의 대결. 패배 시 탈락.
- 1세트 진영 선택권은 3라운드 승자조 패배 팀이 가진다.
- 4라운드 (승격전[PTC]): 3라운드 승리 팀끼리의 대결.
- 1세트 진영 선택권은 3라운드 승자조 승리 팀이 가진다.
3. 참가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TA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ACL 참가팀 | LRN 참가팀 | LRS 참가팀 | CD 참가팀 | |||||||
해체된 아메리카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3.1. 참가팀 로스터
4. 역대 기록
4.1. 역대 대회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oL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역대 대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S1 S2 (North · Sul) S3 (North · Sul) 지역 챔피언십 | 2026 | 2027 | 2028 | }}}}}}}}} |
4.2. 역대 참가 팀
기준은 2025 시즌 시점으로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다.- 정렬 기준은 1) 참가 시즌 수→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
- 해체를 공식 발표하지 않는 한 별개의 팀으로 취급한다. 해체하지 않고 멤버만 교체한 경우는 해당 팀의 커리어를 그대로 계승한다.
- 현재 참가하는 팀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현재 팀명 (풀네임) | 참가 시즌 수 | 첫 참가 시즌 | 연속 참가 | 최고 성적 | 승강전 참여 | 비고 (팀명 변경, 승격/강등, 팀 해체) |
FlyQuest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Team Liquid Honda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100 Thieves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Cloud9 Kia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Dignitas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Shopify Rebellion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LYON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Disguised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paiN Gaming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Vivo Keyd Stars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RED Kalunga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LOUD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FURIA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Fluxo W7M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Leviatán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Isurus Estral | 1 | 2025 | 진행 중 (2025 ~ ) | - | - | - |
4.3. 역대 우승팀 및 순위
<rowcolor=#fff> | |||||
<rowcolor=#fff>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2025 | <colbgcolor=gold,#7f6b00> - | <colbgcolor=silver,#606060> - | <colbgcolor=#bd9424,#400004> - | <colbgcolor=#f0e68c,#807005> - |
<rowcolor=#fff> | |||||
<rowcolor=white>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2025 스플릿 1 | <colbgcolor=gold,#7f6b00> - | <colbgcolor=silver,#606060> - | <colbgcolor=#bd9424,#400004> - | <colbgcolor=#f0e68c,#807005> - | |
2025 스플릿 2 | - | - | - | - | |
2025 스플릿 3 | - | - | - | - |
종합 | ||||||
팀 | 진출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플릿 종합 | ||||||
팀 | 진출 | 우승 | 준우승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4.4. 역대 우승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선수 |
2025 | 스플릿 1 | |||
스플릿 2 | ||||
스플릿 3 | ||||
챔피언십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역대 우승 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시즌 | 대회 | 우승팀 | 스태프 |
2025 | 스플릿 1 | |||
스플릿 2 | ||||
스플릿 3 | ||||
챔피언십 |
4.5. 역대 Player of the Split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Player of the Split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2025 스플릿 1 | 2025 스플릿 2 | 2025 스플릿 3 | 2025 챔피언십 | 2026 스플릿 1 |
4.6. 역대 LTA All-Pro Team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All-Pro {{{#ffd700 1st}}} Tea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 시즌 | TOP | JGL | MID | BOT | SPT |
스플릿 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All-Pro {{{#c0c0c0 2nd}}} Tea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 시즌 | TOP | JGL | MID | BOT | SPT |
스플릿 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2a27e><tablebgcolor=#b2a27e>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All-Pro {{{#bd9424 3rd}}} Tea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373a3c> 시즌 | TOP | JGL | MID | BOT | SPT |
스플릿 1 |
4.7. 국제 대회 관련 기록
4.7.1. 역대 FST 진출 LTA 팀
<rowcolor=#45002B>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 | - | - | - |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25 | - | - | - |
4.7.2. 역대 MSI 진출 LTA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 | - | - | - |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25 | - | - | - |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4.7.3. 역대 Worlds 진출 LTA 팀
팀명 | 진출 횟수 | 진출 연도 | 성적 |
- | - | - | - |
| |||||||
시즌 | 출전 팀 | 세트 승패 | 최종 성적 | ||||
2025 | - | ||||||
- | |||||||
- |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5. 역사
LoL e스포츠 Americas 지역 리그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즌 | 미국/캐나다 | 멕시코/코스타리카/콜롬비아 | 칠레/페루/아르헨티나 | 브라질 |
2012 | RBCL | ||||
2013 | LCS NA | ||||
2014 | RLAC | ||||
2015 | LAN | LAS | CBLOL | ||
2016 | CLN | CLS | |||
2017 | LLN | ||||
2018 | |||||
2019 | LCS | LLA | |||
2020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LTA | ||||
LTA North | LTA Sul |
5.1. 2025 시즌
2024년 11월 1일 공식적인 참가팀이 공개되었으며, LTA North는 Lyon Gaming[21], Cloud9, Dignitas, FlyQuest, Shopify Rebellion, Team Liquid Honda, 100 Thieves[22], 게스트 슬롯엔 Disguised가, LTA South는 Fluxo, FURIA Esports, Leviatán, LOUD, paiN Gaming, RED Canids Kalunga, Vivo Keyd Stars, 게스트 슬롯엔 Isurus가 참가한다.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존 리그에 있던 8팀이 LTA 합류에 실패했는데, NRG, Immortals, Liberty, INTZ는 해체를 발표했고 Estral은 Isurus와 합병, KaBuM!과 LOS는 Circuito Desafiante에 INFINITY는 LRN에 참가했다.
앞으로 게스트 슬롯은 2부 리그 팀 대표팀[23]과의 승강전을 통해 결정된다.
6. 여담
- LCS의 FLY가 2024 월즈 8강에서 최후의 분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24], 결국 아메리카 지역으로 리그가 대통합되며 북미 지역은 국제 대회 티켓 감소를 피하지 못했다.[25] 본래 LCS는 MSI 티켓 2장, 월즈 티켓 3장을 보장받았었으나, 이번에 LTA로 통합되며 북미 지역은 LTA North 컨퍼런스로서 MSI 티켓이 1장, 월즈 티켓이 1~2장[26]으로 과거 마이너 상위 지역급으로[27] 격하된 것이나 다름없어졌다.
7. 관련 문서
- LoL e스포츠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 Latin America League
- Circuit Brazilian League of Legends
[en] 영어[pt] 포르투갈어[es] 스페인어[North]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South] 브라질 상파울루에 위치.[6] LCS 6팀, LLA 1팀, 게스트 1팀[7] CBLOL 6팀, LLA 1팀, 게스트 1팀[8] LTA North 팀을 예시로 들면 LTA North 2명, LTA Sul 1명, 해외 2명이 가능하지만 LTA North 2명, LTA Sul 3명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LTA Sul 팀은 그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9] 2025 시즌의 경우, 스플릿 1 아메리카 스테이지에서 남부 컨퍼런스 팀이 8강에서 전멸, 자연스럽게 북부 컨퍼런스의 스플릿 2 우승팀이 MSI 1시드를 확보하게 된다.[10] 각 팀의 5, 6주차 경기 종류(특히 4주차 시딩 경기 참여 팀의 경기), 시드 획득 및 탈락 조건 등[11] 픽 앤 플레이 단계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지, 3주차까지의 순위에 따라 결정된 시드가 고정되는지 등[12] 1시드들은 결승 진출전(3라운드) 진출이 확보되기 때문에, 이미 월즈 진출이 확정된 채로 시드만 결정하게 되고, 2, 3시드 4팀이 마지막 월즈 진출 티켓 1장을 두고 경쟁하는 형태가 된다.[13] LTA가 MSI에서 5개의 지역 중 2위 이상의 성적을 내면 2~3시드에 돌아가는 티켓이 2장이 된다. 이 경우 MSI 우승팀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지 않는 이상, 1라운드에서 승리한 두 팀이 월즈에 진출한다. (MSI 우승팀이 1라운드에서 탈락할 경우, MSI 우승팀이 LTA 4시드를 획득하는 것만 제외하면 기존과 동일하다.)[14] 무조건 승강전에 참여하게 된다. 극단적인 예시로, 월즈를 우승하고 다음 시즌에 2부 리그로 강등되는 해괴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15] LCP의 경우 게스트 팀이 4팀이고 이 중 하위 2팀만 승강전으로 진출하며, 월즈에 출전하면 승강전을 면제받는 예외조항이 있다. 즉 4팀이 모두 월즈에 진출하면 승강전은 열리지 않는다.[T2] Tier 2 NA (North): North American Challengers League (NACL) - 북미 챌린저스 리그
Tier 2 BR (Sul): Circuito Desafiante (CD) - (브라질) 챌린저스 서킷[LR] Liga Regional Norte/Sur (LRN / LRS) - (라틴 아메리카) 북부/남부 지역 리그[T2] [LR] [PTC] Promotion Tournament Championship (Match) - 승강전 챔피언십 경기[21] LLA의 Movistar R7, Six Karma의 합병으로 탄생한 팀이다.[22] 게임단의 재정 문제로 인해 프랜차이즈 슬롯을 매각했고, 2025년에는 임시 게스트 자격으로 참가하며 2025 시즌 종료 후 리그에서 탈퇴할 예정이다.[23] LTA North는 NACL과 NRL에서, LTA South는 CD(구 CBLOL 아카데미)와 LRS에서 진행한다.[24] 우승후보 1순위였던 젠지를 상대로 5꽉 접전을 갔으며, 비록 이기지는 못했지만 젠지의 밴픽과 전략을 다수 노출하도록 만들어서 결국 4강에서 T1에게 패배해 탈락하게 만드는데 일조하였다.[25] 월즈 시작 한참 전부터 아메리카 지역의 통합이 대대적으로 예고되었기에 LCS가 월즈 우승을 하는 대성과를 내는 것이 아닌 한 예정대로 통합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을 것이다.[26] LTA 챔피언십에서의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최소 1장 최대 2장. 단 MSI에서 1장을 추가로 얻어낸다면 이론상 최대 3장이다.[27] 월즈 티켓을 2장을 가져간다는 전제 하에 과거 PCS와 VCS가 받던 티켓 수와 일치한다. 다만 PCS와 VCS는 무조건 플레이-인 스테이지 티켓이었다는 게 차이점이다.
Tier 2 BR (Sul): Circuito Desafiante (CD) - (브라질) 챌린저스 서킷[LR] Liga Regional Norte/Sur (LRN / LRS) - (라틴 아메리카) 북부/남부 지역 리그[T2] [LR] [PTC] Promotion Tournament Championship (Match) - 승강전 챔피언십 경기[21] LLA의 Movistar R7, Six Karma의 합병으로 탄생한 팀이다.[22] 게임단의 재정 문제로 인해 프랜차이즈 슬롯을 매각했고, 2025년에는 임시 게스트 자격으로 참가하며 2025 시즌 종료 후 리그에서 탈퇴할 예정이다.[23] LTA North는 NACL과 NRL에서, LTA South는 CD(구 CBLOL 아카데미)와 LRS에서 진행한다.[24] 우승후보 1순위였던 젠지를 상대로 5꽉 접전을 갔으며, 비록 이기지는 못했지만 젠지의 밴픽과 전략을 다수 노출하도록 만들어서 결국 4강에서 T1에게 패배해 탈락하게 만드는데 일조하였다.[25] 월즈 시작 한참 전부터 아메리카 지역의 통합이 대대적으로 예고되었기에 LCS가 월즈 우승을 하는 대성과를 내는 것이 아닌 한 예정대로 통합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을 것이다.[26] LTA 챔피언십에서의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최소 1장 최대 2장. 단 MSI에서 1장을 추가로 얻어낸다면 이론상 최대 3장이다.[27] 월즈 티켓을 2장을 가져간다는 전제 하에 과거 PCS와 VCS가 받던 티켓 수와 일치한다. 다만 PCS와 VCS는 무조건 플레이-인 스테이지 티켓이었다는 게 차이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