堯 요임금 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미배정 | |||||||
尭 | |||||||
일본어 음독 | ギョウ | ||||||
일본어 훈독 | たか-い | ||||||
尧 | |||||||
표준 중국어 | yá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堯는 '요임금 요'라는 한자로, '요(堯)임금(삼황오제 중 한 명)', '높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높을 요'라고도 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82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GGU(土土土山)로 입력한다.兀(우뚝할 올)과 음을 나타내는 垚(높은 모양 요)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강요배(姜堯培)
- 목요상(睦堯相)
- 사사누마 아키라(笹沼 尭羅)
- 송요찬(宋堯讚)
- 시부야 타카미(渋谷 尭深)
- 양천요(楊茜堯)
- 연갱요(年羹堯)
- 왕요(王堯) - 고려 정종의 이름이다. 고려 시대에는 아래 요임금을 언급할 때 피휘하여 '高' 등으로 쓰기도 했다(삼국유사 등).
- 요(堯) - 개요에서 언급한 대로 아예 훈음이 "요임금 요"로 되어있다. 문헌에서 이 글자의 상당수 용례가 이 인물을 가리킨다.
- 쿠모이 교카쿠(雲井 堯覚)
- 키쿠치 아키타카(菊地 明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