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5 19:05:28

끌 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2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テイ, ダイ,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さ-げる, ひさげ, ひっさ-げる
-
표준 중국어
dī, tí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提는 '끌 제'라는 한자로, '끌다', '들어내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63D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AMO(手日一人)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이 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불교에서 산스크리트어음역하는 용도로 쓰일 때는 '리'로 읽는다. 대표적인 경우가 보리(菩提). 원래 음 '제'와는 괴리가 큰데, 이에 대하여 한국어문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설했다.
"菩提"는 산스크리트 Bodhi를 중국에서 음역한 말을 그대로 가져다가 쓴 것입니다. "菩提"는 중국음으로는 "보디"쯤에 해당되는데, 우리말 발음에 맞게 음가가 조금 변하면서 "보리"로 정착된 것입니다. "ㄷ"이 "ㄹ"로 바뀐 것으로 일종의 유음화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6534(提에 관해서 문의있습니다.), 2008-07-22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이 시)
  • (굳은 기름 제)
  • (둑 제)
  • (잡을 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