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01:04:58

아무 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ボウ
일본어 훈독
それがし, なにがし
-
표준 중국어
mǒu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某는 '아무 모'라는 한자로, '아무', '아무개'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7D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一木(TMD)으로 입력한다.

(나무 목)과 (달 감)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본래 매실나무를 뜻하였으나 후에 '아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매실나무의 뜻은 가 가져갔다. 모모하다라는 동사도 있으나 잘 쓰이지는 않는다.

뉴스나 신문 등에서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나 일반인을 가리킬때, 특정 인물을 지목할 때, 혹은 일부러 이름을 감출 때 이 한자가 사용된다. 보통 성씨는 공개하는 편이고 이름은 이 한자를 이용해 대체한다. (예: 김 모 씨) 다만 2020년대 들어서는 완전한 익명성 보호를 위해 잘 쓰지 않는 추세이며, A씨 등으로 표현하는 추세이다.

3. 용례

3.1. 단어

  • 모국(某)
  • 모모(某某)
    • 모모인(某某)
  • 모변(某)
  • 모야모야(某)
  • 모양(某)
  • 모인(某)
  • 모일(某)
  • 모조(某)
  • 모종(某)
  • 모처(某)
  • 수모수모(某)

3.2. 고사성어/숙어

  • 모모제인(某某)
  • 모야수야(某)
  • 모월모일(某月某日): 어느 달, 어떤 날. 조침문에서도 이런 구절이 나온다.
  • 수야모야()

3.3. 인명

3.4. 지명

3.5. 일본어의 1인칭

  • 소레가시(某, それがし)
    역시 사극이나 역사 기반 창작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1인칭 대명사. 주로 무사/닌자들이 많이 쓴다. 셋샤와 마찬가지로 '소인' 정도로 번역한다.

3.6. 창작물

3.7. 기타

4. 유의자

  • (아무 모)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