浴 목욕할 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ヨク | ||||||
일본어 훈독 | あ-びる, あ-びせる, ゆあみ | ||||||
- | |||||||
표준 중국어 | y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浴은 '목욕할 욕'이라는 한자로 '목욕(沐浴)'을 뜻한다.2. 상세
水(물 수)의 뜻과 谷(골 곡)의 소리를 합친 형성자다.중국티베트어족의 어휘로 '쏟아붓다'를 뜻하는 어휘가 어원이라고 한다. 당시의 목욕 개념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물의 힘과 세정력으로 노폐물을 씻어낸다는 개념이었던 듯하다. 이후 점차 해당 글자는 해수욕(海水浴)과 같이 몸을 담가 씻는다는 개념으로도 사용되기는 했다. 여담으로 물을 데워 씻는 방식의 목욕은 아직까지 중화권에서는 용수 부족이나 시설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그리 보편적이지 않으며, 중산층 이상에서나 널리 퍼져있다.
유니코드에는 6D7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水金人口(ECOR)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건욕(乾浴)
- 목욕(沐浴)
- 반신욕(半身浴)
- 사욕(沙浴)
- 산림욕(山林浴)
- 삼림욕(森林浴)
- 수욕(水浴)
- 온욕(溫浴)
- 욕객(浴客)
- 욕불(浴佛)
- 욕실(浴室)
- 욕은(浴恩)
- 욕일(浴日)
- 욕전(浴殿)
- 욕조(浴槽)
- 욕반(浴盤)
- 욕장(浴場)
- 욕탕(浴湯)
- 욕후(浴後)
- 유욕(油浴)
- 일광욕(日光浴)
- 입욕(入浴)
- 족욕(足浴)
- 좌욕(座浴/坐浴)
- 증기욕(蒸氣浴)
- 지욕(知浴)
- 해수욕(海水浴)
- 혼욕(混浴)
3.2. 고사성어/숙어
4. 유의자
- 沐(목욕할 목, 머리 감을 목)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𦛱(겨드랑이 거)
- 㭲(길마 겁)
- 𢂲(거친 갈포 격)
- 綌(굵은갈포 격)
- 谿(시내 계)
- 𧋉(털매미 계)
- 䀰(눈 뜰 곡)
- 焀(불 곡)
- 硲(산골짜기 곡)
- 唂(새 울 곡)
- 䧍(틈 극)
- 俗/𢓾(풍속 속)
- 𪑌(검은 모양 욕)
- 峪(골 욕)
- 輍(괴일 욕)
- 鋊(구리 가루 욕)
- 𤞞(짐승 이름 욕)
- 傛(익숙할 용)
- 𥙿(너그러울 유)
- 裕(넉넉할 유)
- 豁(넓을 활)
- 䎥(곡)
- 𠗖
- 𣃺
- 𤥫
- 𥪉
- 𨁖
- 𧣳
- 𩣥
- 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