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2:41:55

에서 넘어옴
개미 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り, くろ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蟻는 '개미 의'라는 한자로, '개미'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개미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ngai5
객가어 ngie
민북어 ngṳè
민동어 ngiê
민남어 [文] / hiā[白]
오어 nyi (T3)
일본어 음독
훈독 あり, くろ
베트남어 nghĩ
유니코드에는 U+87F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中戈廿土戈(LITGI)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벌레 훼)와 소리를 나타내는 (옳을 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마의(蟻) - 왕개미(말개미)
  • 목재방의(蟻) - 목재에 흰개미가 안 생기게 약재로 방제하는 일
    • 방의제() - 흰개미를 퇴치하는 약제
  • 우의(蟻) - 교미기에 날개가 돋은 개미
  • 의과(蟻) - 개미과
  • 의공(蟻) - 개미구멍
  • 의구(蟻) - 좀도둑
  • 의군(蟻) - 개미떼
  • 의궤(蟻) - 개미떼가 흩어지듯이 도망감
  • 의동(蟻) - 백성들이 개미떼처럼 소란해짐
  • 의봉(蟻) - 개밋둑
  • 의봉(蟻) - 개미
  • 의부(蟻) - 개미떼처럼 모임/개미처럼 장수를 따름
  • 의비전(蟻) - 초나라의 화폐
  • 의산(蟻) - 개미산
  • 의상(蟻) - 검은 치마
  • 의양(蟻) - 개미굴
  • 의욕(蟻) - 몇몇 조류가 개미를 몸에 비비는 위안행동
  • 의원(蟻) - 구원하러 온 군사
  • 의잠(蟻) - 개미누에
    • 의잠량(蟻) - 개미누에의 양
    • 의잠체색(蟻) - 개미누에 몸의 색
  • 의주감(蟻) - 스멀거림
  • 의질(蟻) - 개밋둑
  • 의집(蟻) - 개미가 모임/개미떼처럼 모임
  • 의총(蟻) - 개밋둑
  • 의충(蟻) - 개미
  • 의취(蟻) - 개미떼처럼 모임
  • 의탑(蟻) - 개미탑(식물)
  • 의혈(蟻) - 개미굴
  • 직의(蟻) - 일개미
  • 화의(蟻) - 불개미
  • 녹의(蟻) - 술구더기
  • 부의(蟻) - 술구더기
    • 부의주() - 밥알이 뜨는 찹쌀 술
  • 주의(蟻) - 술구더기

3.2. 고사성어/숙어

  • 누의(蟻) - '땅강아지와 개미'로 작은 힘을 말한다.
  • 무수입사구, 배초실가의(, 蟻)) - 물이 없으니 모래 위에 선 갈매기고, 풀을 헤치니 집을 잃은 개미다.
  • 봉의군신() -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하가 있다'는 뜻으로 신분에는 질서가 중요한 것을 의미한다.
  • 붕몽의생() - '붕새처럼 꿈꾸고 개미처럼 살아라'는 뜻으로 꿈을 높게 잡고 열심히 일하라는 것이다.
  • 어관의대() - '물고기 꿰미와 개미떼'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줄줄이 서서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 여의투질() - '개미가 둑을 쌓듯이 한다'는 뜻으로 부지런하게 재산을 축적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의경(蟻) - '개미의 길'로 좁은 길을 뜻한다.
  • 의루(蟻) - '개미와 땅강아지'로 천한 것을 말한다.
  • 의몽(蟻) - 인생은 개미의 꿈처럼 허무하다는 뜻이다.
  • 의시(蟻) - 개미를 보듯이 하찮게 보는 것.
  • 제궤의혈() - '개미굴이 둑을 무너뜨린다'는 뜻으로 사소한 실수로 큰일을 망치는 것을 의미한다.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文] 문독[白] 백독[3] (잔 치)의 동자[4] (불 희)의 동자[5] (햇빛 희)의 속자[6] (희생 희)의 신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