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7 14:08:48

붙을 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つ-く, つ-け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附는 '붙을 부'라는 한자로, '붙다', '붙이다', '의지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붙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fu6
객가어 fu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hù, hū
오어 vu (T3)
일본어 음독
훈독 つ-く, つ-ける
베트남어 phụ
유니코드에는 U+964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中人木戈(NLODI)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부칠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원래는 '작은 흙 언덕'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나, 일찍이 그 뜻을 잃고 '붙다', '붙이다' 등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3.6. 일본어

  • 음독
    • 오음:ブ, 한음:
      • 寄附 (きふ) 표내 : 기부. 대부분 같은 음으로 읽히는 寄付로 쓴다.
      • 附属 (ふぞく) 표내 : 부속. 역시 付属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용한자표에 들어있기는 하지만 획수가 더 적은 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신문협회 역시 본래 附가 들어가는 단어를 전부 付로 쓰도록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고유명사 같은 경우에도 얄짤없지만 NHK 등 일부 언론에서는 고유명사에 한해 附属를 쓰기도 한다.

4. 유의자

  • (붙을 려)
  • (붙을 점)
  • (붙을 착)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곁마 부)
  • (마을 부)
  • (분부할 부)
  • (붕어 부)
  • (장부 부)
  • (합사할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