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일본 자위대 (1954~현재) ]]''' 日本 自衛隊 | ||
회전익기 | <colbgcolor=#B76E79,#914852> '''[[무장헬기| 경헬기 ]]''' | OH-1 닌자■ | BK 117 | OH-6(D/J) 카유스■ | H-13 수우■■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UH-2}■ | UH-60(J■■/JA■) 블랙 호크 | UH-1J 휴이■ | UH-1(B/H) "히요도리"■ | S-62J■■ | S-61A■ | S-55A · H-19 "하츠카리"■■■ | ||
수송헬기 | MV-22 오스프리 | CH-47(J■/JA■) 치누크 | KV-107 "시라사기"■■■ | H-21B "호오"■■ | ||
공격헬기 | AH-64DJ 아파치■ | AH-1S 코브라■ | ||
대잠헬기 | SH-60(J/K/L) 시호크■ | SH-3(B/D/H) "치도리"■ | ||
소해헬기 | MCH-101 멀린■ | MH-53E 시 드래곤■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쿗코" · F-86D "겟코"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J/DJ) "에이코"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4EJ → EJ 改 팬텀 II | F-1 | ||
4(.5)세대 | F-15(J/DJ) → F-15J 改 이글 | F-2(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B}■) 라이트닝 II | ||
'''[[6세대 전투기| 6세대 ]]''' | {GCAP} | ||
공격기 | TBM-3 어벤저■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4(E/EJ) | RF-86F | |
전자 | {RC-2} | EP-3 | EP-2J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YS-11 | R4D-6Q "마나즈루"■ | |
전술 | C-2 | C-130(H/R) 허큘리스 | C-1A | C-46D 코만도 | ||
수상기 | US-2■ | US-1A■ | HU-16 "하리가네"■ | G-21 구스■ | ||
다목적기 | U-125A | U-4 | U-36A■ | LR-2■ | LC-90 | LR-1■ | LM-1■ | 가와사키 KAL-2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67 | E-2(C/{D})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1■ | P-3C 오라이언■ | P-2J 넵튠■ | S-2F-1 "아오타카"■ | PV-2 하푼■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46A 페가수스} | KC-767J | KC-130R | ||
전자전기 | {EC-2} | EC-1 | YS-11(EA/EB) | ||
''' 연락기 ''' | L-19 "소요카제" | L-5 센티넬 | L-21B 슈퍼 컵 | L-16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UAV | 클래스 3 - HALE급 RQ-4 글로벌 호크 블록 30(I)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후지 T-7 | 후지 T-5■ | 후지 T-3 | KM-2■■■ | 비치 B65 "우미바토" | T-34A "하츠카제" · LM-1 "닛코" | T-28B 트로젼 | T-6(D/F/G) "마츠카제" | |
제트 | T-4 | T-400 | T-2 | T-1(A/B) "하츠타카" | 뱀파이어 T.55X | T-33A "와카타카" | ||
헬기 | TH-135■ | TH-480B■ | OH-6DA■ | TH-55J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77-300ER | U-4 | EC225 LP■ | B747-47C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자위대 운용 (육자■/해자■/공자■),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
}}}}}}}}} |
川崎(川崎重工業) T-4 中等練習機 |
1. 개요
일본 항공자위대가 사용하는 중등훈련기로, T-3/T-7 프로펠러기를[1] 사용하는 초등훈련과정을 수료한 학생조종사에게 본격적인 중등비행과정을 훈련시키기 위해 개발한 아음속 제트기이다.1981년 4월에 일본의 방위청은 장기간 사용한 T-1 및 T-33A를 대체할 후계기종인 MT-X의 요구사양을 제시하고, 같은 해 9월에 가와사키 중공업의 설계안을 채택할 것을 결정했다. 가와사키 중공업이 주계약자(분담률 40%)가 되어 T-4의 개발과 생산을 맡고 미쓰비시 중공업과 후지중공업(현 스바루)이 부계약자로 협력했다. 탑재할 엔진은 1982년 10월에 이시가와지마 하리마에서 개발한 F3-IHI-30 터보팬 엔진으로 결정했다.
XT-4의 기본설계는 1981년부터, 상세설계는 1982년부터 시작했으며, 1983년에는 시제기 제작에 착수할 정도로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했다. 시제 1호기는 1985년 4월에 제작을 완료하여 1985년 7월 29일에 초도비행을 했다. 이후 4대의 시제기를 완성하여 시험비행을 마친 후 1988년 6월 28일에 양산형 1호기의 초도비행을 실시했다. 1988년 7월 28일에는 방위청 대신의 사용승인을 받아 같은 해 9월부터 양산형을 인도하기 시작했다.
2. 제원
카와사키 T-4 중등훈련기 | ||
형식 | 쌍발 복좌 중등훈련기 | |
전폭 | 9.94m | |
전장 | 13.02m | |
전고 | 4.60m | |
주익면적 | 30.84㎡ | |
자체중량 | 3,790kg | |
최대이륙중량 | 7,500kg | |
엔진 | IHI F3-IHI-30 터보팬 × 2 각각 16.4 kN (3,680 lbf) | |
최대속도 | 1,039km/h | |
실용상승한도 | 50,000피트 | |
최대항속거리 | 1,670km | |
외부 무장 | 최대 1,150kg | |
승무원 | 2명 | |
초도비행 | 1985년 7월 29일(XT-4) |
3. 특징
T-4 중등훈련기는 2차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한 항공기술을 결집하여 개발한 순국산 항공기이다. 이전에 국산 항공기로 개발한 NAMC YS-11의 경우는 영국제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했으며, 미쓰비시 T-2 훈련기의 경우 역시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기체는 국내에서 개발했으나 엔진을 외국에서 수입했다. 그러나 T-4의 경우 기체의 개발은 가와사키 중공업이 주도하고 엔진의 개발은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산업(IHI)이 담당했다.일반적인 형상이나 조종타면, 플랩, 에어브레이크 등에 복합재료를 최대한 사용하여 기체 중량을 줄였다. 전자장비는 J/ASN-3 링 레이저 자이로 AHRS, J/ASK-1 에어 데이터 컴퓨터, 디지털 데이터버스, HUD 등 최신 장비를 탑재했으며, OBOGS 및 캐노피 파쇄 탈출방식 등 최신 기술을 채택했다.
주익은 천음속 비행에 적합하도록 25% 익현에서 27.5˚의 후퇴각을 가지며, 도그투스와 작은 스트레이크를 설치해 저속에서부터 고아음속에 이르기까지 양호한 조종안정성과 스핀 특성을 지니고 있다. 고정무장은 없으며, 무장훈련용으로 주익에 설치된 2개소의 하드포인트에 훈련용 폭탄이나 로켓탄을 장착할 수 있다.
4. 형식
5. 운용
T-4는 1988년부터 항공자위대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T-4 훈련부대로는 1989년 10월에 제31교육비행대가 편성되었고, 다음해 3월에 제32교육비행대가 편성되었다. 2개 비행대에 이어 각 전투비행대 및 정찰비행대, 그리고 지원부대에 훈련 및 업무연락용으로 많은 기체가 각 비행대에 차례로 배치되었다. 1994년에 8대가 블루 임펄스 곡예비행대에 인도되었다.[2]이후 T-4은 2001년 3월에 마지막 T-1A/B를 대체하면서 일선부대의 배치가 완료되었으며, 2003년 3월 6일에 마지막 기체가 인도되었다. T-4의 생산대수는 4대의 XT-4 시제기를 포함하여 모두 212대이며, 15년 동안 꾸준하게 생산되면서 일본 항공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문제는 항자대의 전술기 숫자가 300기 남짓인데 이걸 212대나 뽑았다는 점이다. 고등훈련기로 쓰기에도 부족한 스팩이고 유사시 전력으로 쓰지도 못한다. 레이더도 기총도 없고 공대공 무장은 못 달고 기껏해야 멍텅구리 폭탄을 1톤쯤 장착가능하지만, 하드포인트가 2개뿐이라 보조 연료탱크를 달 자리도 없고 공중급유능력도 없어서 무장달면 항속거리가 반토막난다. 게다가 아음속이라 현대전장에서 써먹을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는 점이다. 20세기 훈련기로는 그럭저럭한 성능이지만 딱 그 정도인 물건을 212기나 뽑았다는 게 화근이다.
현재 항공자위대에서 160여 기 정도를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미래
2022년부터 개량을 통한 수명 연장 가능성 검토와 함께 후계기에 대한 사양요구서가 작성되었다.# 예상 수량은 200 여대로 알려져 있다. 외국 기종 도입시 미국의 T-7A와 이탈리아의 M-346이 유력 후보이다. 자위대 관계자가 한국의 T-50에도 관심을 표명하며 록히드 마틴을 통한 간접조달 방안을 암시했지만 이는 경쟁입찰을 위한 들러리 세우기로 보인다.2024년 4월, 일본의 고등훈련기 T-4 후속기 개발을 위해 미국과 일본이 고등훈련기 공동개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미일 정상회담에서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보잉의 T-7A를 기반으로 일본의 요구에 맞게 개량해 일본 국내서 생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본 항공업계 일각에서는 T-7A 기반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초음속 훈련기를 개발할 것이라는 정보도 있다. 즉 일본이 현재 참여중인 6세대 전투기 개발계획 GCAP (영국, 일본, 이탈리아 공동개발) 프로그램에 맞는 새로운 차세대 훈련기 GCAT를 일본이 개발하면서 미국을 끌여들여 미국-일본-영국-이탈리아가 공동으로 6세대 전투기의 훈련기로 채용하는 것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기술적으로는 일본의 기술실증기 X-2 신신의 기술에 기반하여 일본이 개발을 주도하되 (미국 엔진을 채용하고) 보잉이나 록히드마틴 등 미국 전투기업체를 참여시켜 기술적인 협력을 받고 개발자금을 분담해 기술적 재정적 사업적 위험을 분산한다는 것.
T-7A 개량 대신 일본이 차세대 초음속훈련기 개발을 주도하면 더 많은 개발 자금과 개발 기간이 필요하지만 훈련기의 규모나 성능을 일본이 주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전투기/경공격기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한국 FA-50의 성능을 뛰어넘는 차세대 초음속 경전투기를 일본 주도로 개발해 해외에 수출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또 단지 중등 훈련기 T-4 200대를 대체하는 것을 뛰어넘어 과거 공자대의 고등전술 LIFT 훈련기로 쓰이다 퇴역한 초음속 고등전술훈련기 미쓰비시 T-2 100대의 역할도 대체할 수 있어서 총 300대 가량의 일본 자체 수요가 생긴다. 개발 완료시기는 2032 년을 목표로 한다. 또한 현재는 보류된 계획이지만 미국이 수명이 다해가는 F-16 전투기를 운용비가 저렴한 새로운 4.5+++ 세대 멀티롤 전투기(MR-X)로 대체하는 프로그램을 미래에 추진한다면 차세대 훈련기가 그 기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KF-21 보라매가 경쟁자가 될 수 있다.
참고로 일본이 자체개발한 아음속 고등훈련기 가와사키 T-4는 206대를 생산하였고 초음속 LIFT 훈련기인 미쓰비시 T-2는 96대를 생산하였다. T-2는 2006년 전량 퇴역. 그래서 현재는 일본 전투기 조종사의 LIFT 훈련은 이탈리아의 국제비행훈련학교에서 M-346 기종으로 훈련을 받고 온다. 따라서 두 기종을 모두 대체하려면 200-300여 대가 필요하다. T-4는 1988년 달러로 대당 1,800만 달러 (2024년 달러로 약 4,700만 달러) 꼴이다. 참고로 미국 훈련기 사업인 T-X 프로그램에 록히드 마틴/KAI의 T-50A의 입찰가는 350여 대에 160억 달러도 약 대당 4,500만 달러꼴.
항공자위대의 기본 훈련기는 현재 터보프롭기인 후지 T-7로, 최대이륙중량 1,585 kg, 417 마력의 롤스로이스 250-B17F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항공자위대가 후지 중공업으로부터 49기를 납품받아 2003년부터 현재까지 운용중이다. 이 T-7 기본훈련기도 교체를 추진하고 있는데 미공군이 기본훈련기로 사용중인 T-6 텍산 II 50기를 미국업체에서 직도입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1,600 마력의 터보프롭기 이다.
7. 여담
2013년 5월 12일, 미야기 현의 히가시마쓰시마시의 항공자위대 기지에 방문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블루임펄스 소속 T-4를 타고 엄지를 든 채 사진을 찍었다가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8.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후지중공업) T-3는 노후화에 진행 됨에 따라, 후속모델인 T-7에게 바톤 터치하고 2007년에 전기 퇴역하였다[2] 사실 블루 임펄스는 F-2를 받을 계획이었으나 기체 가격이 미친 수준이라 T-4로 선회했다.[3] 같은 해인 2013년 3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구 행사에 참여한 아베 신조 총리가 헌법 9조 (평화헌법) 개정을 위해 국민투표 발의 요건을 규정한 헌법 조항을 연상시키는 '96'을 등번호로 달고 나온 이력이 불과 2달 전에 있었기에 731 역시 숫자를 이용한 도발로 해석될 여지가 매우 컸었다.[4] 이후 아베 총리 측이 공식적으로 페이스북을 통해 업로드한 '미야기 현 방문' 사진은 기체 번호인 731이 잘려나가도록 편집되었으며, 아베 총리의 모습도 다소 무덤덤하게 나온 것들만 업로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