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의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관 10도 (627년 ~ 733년) | ||||||||
관내도 | 하남도 | 하동도 | 하북도 | 농우도 | |||||
산남도 | 검남도 | 회남도 | 강남도 | 영남도 | |||||
개원 15도(733년 ~ 907년) | |||||||||
관내도 | 도기 | 하남도 | 경기 | 하동도 | |||||
하북도 | 농우도 | 산남동도 | 산남서도 | 검남도 | |||||
회남도 | 강남동도 | 강남서도 | 검중도 | 영남도 | }}}}}}}}} |
1. 개요2. 하위 행정구역
2.1. 성도부(成都府)2.2. 한주(漢州)2.3. 팽주(彭州)2.4. 촉주(蜀州)2.5. 미주(眉州)2.6. 면주(綿州)2.7. 검주(劍州)2.8. 자주(梓州)2.9. 수주(遂州)2.10. 보주(普州)2.11. 능주(陵州)2.12. 자주(資州)2.13. 영주(榮州)2.14. 간주(簡州)2.15. 가주(嘉州)2.16. 공주(邛州)2.17. 아주(雅州)2.18. 여주(黎州)2.19. 노주(瀘州)2.20. 무주(茂州)2.21. 익주(翼州)2.22. 유주(維州)2.23. 융주(戎州)2.24. 실주(悉州)2.25. 정주(靜州)2.26. 공주(恭州)2.27. 자주(柘州)2.28. 보주(保州)2.29. 진주(眞州)2.30. 패주(覇州)
1. 개요
검남도(劍南道)는 당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도(道) 중 하나이다. 검남은 검각 남쪽을 의미한다. 여기에 적힌 정보들은 《구당서》 41권 지리지4와 《신당서》 42권 지리지6의 정보를 기준으로 한다.2. 하위 행정구역
2.1. 성도부(成都府)
익주(益州), 촉군(蜀郡)으로 불린 지역으로 유비가 이곳에 터전을 삼기도 했다. 수나라 대업 연간에 군현제로 되돌아가면서 다시 촉군이 되었지만 당나라가 들어서면서 다시 익주가 되었다. 또한 총관부(總管府)가 설치되어 익주·면주(綿州)·능주(陵州)·수주(遂州)·자주(資州)·아주(雅州)·가주(嘉州)·호주(滬州)·융주(戎州)·회주(會州)·송주(松州)·익주(翼州)·수주(巂州)·남영주(南寧州)·곤주(昆)·공주(恭州)를 관할했다.당나라 초기 익주는 성도현(成都縣)·낙현(雒縣)·구롱현(九隴縣)·비현(郫縣)·쌍류현(雙流縣)·신진현(新津縣)·진원현(晉原縣)·청성현(靑城縣)·양안현(陽安縣)·금수현(金水縣)·평천현(平泉縣)·현무현(玄武縣)·면죽현(綿竹縣) 등을 관할했고 당륭현(唐隆縣)과 도강현(導江縣)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무덕(武德) 2년(619년) 일부를 분할하여 공주(邛州)·미주(眉州)·보주(普州)·영주(榮州)·등주(登州)를 설치했으며, 신도현(新都縣)과 십방현(什邡縣)을 추가로 설치했다. 무덕 3년(620년) 총관을 폐지하고 서남도행대(西南道行台)를 설치했으며, 면죽현·도강현·구롱현을 분할하여 몽주(濛州)를 설치하고, 양안현·금수현·평천현을 간주(簡州)를 설치하고, 현무현을 자주(梓州) 관할로 두었다. 또한 덕양현(德陽縣)·신번현(新繁縣)·만춘현(萬春縣)을 설치했다. 무덕 9년(626년) 서남도행대를 폐지하고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여 익주·금주·간주·가주·능주·미주·건주(犍州)·공주·수주·남영주·회주를 관할했다.
정관(貞觀) 2년(628년) 몽주를 폐지했다. 용삭(龍朔) 2년(662년) 대도독부(大都督府)로 승격되었다. 함형(咸亨) 2년(671년) 금당현(金堂縣)을 설치했다. 의봉(儀鳳) 2년(677년) 당창현(唐昌縣)과 몽양현(濛陽縣)을 설치했다. 수공(垂拱) 2년(686년) 낙현, 구롱현 등 일부 현을 분할하여 팽주(彭州)와 촉주(蜀州)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익주는 다시 촉군(蜀郡)이 되었다. 천보(天寶) 15재(756년) 안녹산의 난이 발발하자 현종은 이곳에 대피했다. 지덕(至德) 2년(757년) 현종이 서경으로 돌아가면서 촉군은 성도부(成都府)로 승격되고 장사는 성도부윤이 되었다. 또한 검남동천과 검남서천으로 분할되어 각각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광덕(廣德) 원년(763년) 황문시랑(黃門侍郞) 엄무를 성도부윤으로 삼으면서 동천절도사와 서천절도사를 하나로 합쳤다가 최녕이 부임한 이후로 다시 서천절도사가 관할했다.
- 현
2.2. 한주(漢州)
수공(垂拱) 2년(686년) 익주(益州)의 5개 현을 분할하여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덕양군(德陽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한주가 되었다.2.3. 팽주(彭州)
수공(垂拱) 2년(686년) 익주(益州)의 4개 현을 분할하여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몽양군(蒙陽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팽주가 되었다.2.4. 촉주(蜀州)
수공(垂拱) 2년(686년) 익주의 4개 현을 분할하여 촉주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당안군(唐安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촉주가 되었다.2.5. 미주(眉州)
무덕(武德) 2년(619년) 가주(嘉州)의 통의현(通義縣), 단릉현(丹棱縣), 홍아현(洪雅縣), 청신현(靑神縣), 남안현(南安縣)을 분할하여 설치했다. 무덕(武德) 5년(622년) 남안현을 폐지했다. 정관(貞觀) 2년(628년) 융산현(隆山縣)을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통의군(通義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미주가 되었다.2.6. 면주(綿州)
서위 폐제 2년(553년) 파중현(巴中縣)에 동주(潼州)를 설치한 것이 시초였다. 개황(開皇) 5년(585년) 동주는 면주(綿州)가 되었다.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다시 실시하면서 면주는 금산군(金山郡)이 되었다.당나라가 들어선 뒤 금산군은 다시 면주가 되었고 이때 파서현(巴西縣), 융창현(昌隆縣), 부성현(涪城縣), 위성현(魏城縣), 금산현(金山縣), 만안현(萬安縣), 신천현(神泉縣)을 관할했다. 무덕(武德) 3년(620년) 현무현(顯武縣), 용안현(龍安縣), 문의현(文義縣), 염천현(鹽泉縣)을 신설했다. 무덕(武德) 7년(624년) 금산현(金山縣)을 폐지했다. 정관(貞觀) 원년(627년) 문의현(文義縣)을 폐지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다시 실시하면서 면주는 파서군(巴西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면주가 되었다.
2.7. 검주(劍州)
2.8. 자주(梓州)
2.9. 수주(遂州)
2.10. 보주(普州)
2.11. 능주(陵州)
2.12. 자주(資州)
서위 폐제 2년(553년)에 설치된 것이 시초였다. 수나라 때도 자주였다가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자양군(資陽郡)이 되었다가 당나라 때 다시 자주가 되었다. 자주는 반석현(磐石縣), 내강현(內江縣), 안악현(安嶽縣), 보자현(普慈縣), 안거현(安居縣), 융강현(隆康縣), 자양현(資陽縣), 대뢰현(大牢縣), 위원현(威遠縣)을 관할했고 영주(榮州)를 설치하면서 대뢰현(大牢縣)과 위원현(威遠縣)이 영주 관할이 되었다. 무덕(武德) 2년(620년) 안거현, 융강현, 보자현, 안악현(安嶽縣)을 분할하여 보주(普州)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자양군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자주가 되었다.- 현
2.13. 영주(榮州)
무덕(武德) 원년(618년) 자주의 대뢰현(大牢縣)과 영원현(威遠縣)을 분할해 설치했다. 정관(貞觀) 원년(627년) 욱천현(旭川縣), 파일현(婆日縣), 지여현(至如縣)이 설치되었다. 정관(貞觀) 2년(628년) 노주(瀘州) 융월현(隆越縣)을 관할로 두었다. 정관(貞觀) 6년(632년) 치소를 공정현(公井縣)에서 대뢰현으로 옮겼고 가주(嘉州) 자관현(資官縣)을 관할로 두었다. 정관(貞觀) 8년(634년) 노주 화의현(和義縣)을 관할로 두었으며, 파일현, 지여현, 융월현을 폐지했다. 영휘(永徽) 2년(651년) 치소를 욱천현으로 옮겼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화의군(和義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넌(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영주가 되었다.2.14. 간주(簡州)
무덕(武德) 3년(620년) 익주의 일부를 분할해서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안양군(陽安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간주가 되었다.2.15. 가주(嘉州)
2.16. 공주(邛州)
무덕(武德) 원년(618년) 아주(雅州) 의정현(依政縣), 임공현(臨邛縣), 임계현(臨溪縣), 포강현(蒲江縣), 화정현(火井縣)을 분할하고 의정현에 공주를 설치했다. 무덕(武德) 3년(620년) 안인현(安仁縣)을 설치했다. 현경(顯慶) 2년(656년) 치소를 임공현으로 옮겼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임공군(臨邛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공주가 되었다.2.17. 아주(雅州)
2.18. 여주(黎州)
대족(大足) 원년(701년) 아주(雅州)의 한원현(漢源縣)과 비월현(飛越縣), 수주(巂州)의 양산현(陽山縣)을 분할하여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홍원군(洪源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여주가 되었다. 여주는 54개의 기미주를 관할했다.- 기미주
- 나탕주(羅岩州), 삭고주(索古州), 진상주(秦上州), 알영주(輒榮州), 극천주(劇川州), 합흠주(合欽州), 봉구주(蓬口州), 백파주(柏坡州), 박로현(博盧州), 명천주(明川州), 이피주(肔䏢州), 봉시주(蓬矢州), 대도주(大渡州), 미천주(米川州), 목속주(木屬州), 하동주(河東州), 낙작주(諾莋州), 포람주(甫嵐州), 창명주(昌明州), 귀화주(歸化州), 상천주(象川州), 총하주(叢夏州), 화량주(和良州), 화도주(和都州), 부수주(附樹州), 동천주(東川州), 상귀주(上貴州), 활천주(滑川州), 비천주(比川州), 길천주(吉川州), 포척주(甫鏚州), 비지주(比地州), 창영주(蒼榮州), 야천주(野川州), 공진주(邛陳州), 귀림주(貴林州), 호천주(護川州), 첩종주(牒琮州), 낭미주(浪彌州), 낭곽주(郞郭州), 상흠주(上欽州), 시봉주(時蓬州), 엄마주(儼馬州), 궐사주(橛查州), 공천주(邛川州), 호공주(護邛州), 각천주(腳川州), 개망주(開望州), 상봉주(上蓬州), 비봉주(比蓬州), 박중주(剝重州), 구호주(久護州), 요검주(瑤劍州), 명창주(明昌州)
2.19. 노주(瀘州)
2.20. 무주(茂州)
2.21. 익주(翼州)
2.22. 유주(維州)
2.23. 융주(戎州)
2.24. 실주(悉州)
2.25. 정주(靜州)
2.26. 공주(恭州)
개원(開元) 24년(736년) 정주(靜州) 광평현(廣平縣)을 분할하여 공주(恭州)를 설치했고 박공현(博恭縣)과 열산현(烈山縣)도 함께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공화군(恭化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공주가 되었다. 본래 농우도에 속했지만 검남도로 관할이 바뀌었다.2.27. 자주(柘州)
현경(顯慶) 3년(658년) 설치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봉산군(蓬山郡)이 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자주가 되었다. 본래 농우도(隴右道)에 속했지만 검남도로 관할이 바뀌었다.- 현
- 자현(柘縣), 교주현(喬珠縣)
2.28. 보주(保州)
개원(開元) 28년(740년) 유주(維州) 정렴현(定廉縣)에 봉주(奉州)를 설치한 것이 시초로 이때 동안립(董晏立)이 최초로 자사로 파견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운산군(雲山郡)이 되었다. 천보(天寶) 8재(749년) 치소를 천보군(天保軍)으로 옮겼고 군명(郡名)을 천보군(天保郡)으로 고쳤다. 건원(乾元) 원년(758년) 서산자제병마사(西山子弟兵馬使) 사귀성왕(嗣歸誠王) 동가준(董嘉俊)이 귀순하면서 보주(保州)가 되었고 동가준을 자사로 삼았다. 이후 이름을 고주(古州)로 고쳤다가 다시 보주로 하였다.2.29. 진주(眞州)
천보(天寶) 5재(746년) 임익군(臨翼郡)의 소덕현(昭德縣), 계천현(雞川縣)이 분할되어 소덕군(昭德郡)으로 설치되었다.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진주(眞州)가 되었다.2.30. 패주(覇州)
천보(天寶) 원년(742년) 정융군(靜戎郡)으로 설치되었으며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패주(覇州)가 되었다.- 현
- 안신현(安信縣)[54]
[1] 정관(貞觀) 17년(643년) 성도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촉현(蜀縣)을 설치했다. 건원(乾元) 원년(758년) 화양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본래 번현(繁縣)이었으나 촉한 때 신번현이 되었다.[3] 수공(垂拱) 2년(686년) 성도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4] 본래 광도현(廣都縣)으로 불린 지역으로 수나라 때 쌍류현이 되었다.[5] 용삭(龍朔) 3년(663년) 쌍류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6] 수나라 때 몽주(濛州)가 설치되었다가 대업 연간에 다시 비현이 되었다.[7] 비현으로 불렸던 현으로 수나라 때 만춘현(萬春縣)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2년(628년) 온강현이 되었다.[8] 구시(久視) 원년(700년) 촉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동양현(東陽縣)을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영지현이 되었다.[9] 한대에 광한군(廣漢郡)에 속했던 현으로 후한 때 익주의 치소를 낙현에 두었다. 서진 때 광한군 신도군(新都郡)으로 고쳤다가 이후로 광한군(廣漢郡)이 되었다. 수공(垂拱) 2년(686년) 한주를 설치하면서 치소를 낙현에 두었다.[10] 북주 때 폐지되었다가 무덕(武德) 3년(620년) 낙현의 일부가 덕양현으로 다시 설치되었다.[11] 한대에 광한군(廣漢郡)에 속했던 현이다. 북주 때 방녕현(方寧縣)이 되었다가 무덕(武德) 3년(620년) 다시 십방현이 되었다.[12] 한대에 광한군(廣漢郡)에 속했던 현이다. 개황(開皇) 2년(582년) 진희현(晉熙縣)이 설치되었으며, 개황(開皇) 18년(598년) 효수현(孝水縣)이 되었고 대업(大業) 3년(607년) 면죽현(綿竹縣)이 되었다. 무덕(武德) 3년(620년) 몽주(濛州)를 설치하면서 몽주의 현이 되었으나 몽주를 폐지하면서 익주의 현이 되었다가 한주를 설치하면서 한주의 현이 되었다.[13] 함형(咸亨) 2년(671년) 낙현과 신도현(新都縣)의 일부를 분리해 설치했고 익주(益州) 관할이었다가 수공(垂拱) 2년(686년) 한주의 현이 되었다.[14] 촉한에서 문산군(汶山郡) 도안현(都安縣)으로 불린 현으로 북주 때 문산현(汶山縣)으로 변경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반룡현(盤龍縣)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도강현이 되었다. 무덕(武德) 3년(620년) 몽주(濛州)의 현이 되었으나 몽주가 폐지되면서 다시 익주의 현이 되었다. 정관(貞觀) 연간에 관녕현(灌寧縣)이 되었으나 개원(開元) 연간에 다시 도강현이 되었다. 팽주를 설치하면서 팽주의 현이 되었다.[15] 의봉(儀鳳) 2년(677년) 구롱현(九隴縣), 도강현(導江縣), 비현(郫縣)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되었고 익주 관할이었으나 팽주를 설치하면서 팽주의 현이 되었다. 장수(長壽) 2년(693년) 주창현(周昌縣)이 되었으나 신룡(神龍) 원년 다시 당창현이 되었다.[16] 의봉(儀鳳) 2년(677년) 구롱현(九隴縣), 낙현(雒縣), 십방현(什邡縣)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되었고 익주 관할이었으나 팽주를 설치하면서 팽주의 현이 되었다.[17] 후한 때 제통군(齊通郡) 통의현(通義縣)이었던 지역으로 양나라 때 청주(靑州)에 속했다가 서위 때 미주(眉州)의 현이 되었다. 이후 안락현(安洛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통의현이 되었다. 수나라 때 광통현(廣通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통의현이 되었다.[18]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무양현(武陽縣)이었던 현으로 동진 때 서강양군(西江陽郡)이 설치되었다. 서위 때 융산군(隆山郡)이 설치되었고 수나라 때 능주(陵州) 융산현(隆山縣)이 되었다. 선천(先天) 원년(712년) 막 즉위한 당현종 이융기의 피휘를 위해 팽산현으로 개칭되었다.[19] 남제 때 제락군(齊樂郡)이었던 지역으로 북주 때 홍아현(洪雅縣)이 되었다. 수나라 때 홍아현이 설치된 뒤 명칭이 단릉현이 되었고 가주(嘉州)에 속했다. 무덕(武德) 2년(619년) 미주의 현이 되었다.[20] 북주 때 설치된 홍아진(洪雅鎭)이 수나라 때 현이 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건주(犍州)가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주가 폐지되어 다시 미주의 현이 되었다.[21]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남안현(南安縣)이었던 지역이다. 현이 청의강(靑衣江)에 접해서 서위 때 청의현이 설치되었다.[22]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자중현(資中縣)이었다. 북주 때 간주(簡州) 안양현(陽安縣)으로 자주를 옮겨 설치했으며 현의 명칭도 반석현이 되었다.[23] 북주 때 자중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24] 수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25] 후한 때 중강현(中江縣)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고 수나라 때 내강현이 되었다.[26] 월산현, 용수현, 은산현은 의녕(義寧) 2년(618년)에 설치되었다.[27] 정관(貞觀) 4년(630년) 설치되었다. 정관(貞觀) 6년(632년) 내강현에 통폐합되었다가 정관(貞觀) 7년(633년) 다시 설치되었다.[28]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남안현(南安縣)이었던 지역으로 수대에 대뢰진(大牢鎭)을 설치하면서 대뢰현이 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자주의 대뢰현(大牢縣)과 영원현(威遠縣)을 분할하고 공정진(公井鎭)에 주를 설치하면서 영덕산(榮德山)의 이름을 따서 주의 이름을 영주로 명명했으며, 공정진을 현으로 승격시켰다. 정관(貞觀) 6년(632년) 치소를 공정현(公井縣)에서 대뢰현으로 옮겼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응령현(應靈縣)이 되었다.[29]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강양현(江陽縣)이었던 지역으로 북주 때 공정진(公井鎭)이 되었다. 무덕(武德) 원년(618년) 영주를 설치하면서 공정현이 되었다.[30] 한대에 건위군 남안현이었던 지역으로 수나라 때 설치된 현이다. 자주(資州)의 현이었다가 영주를 설치하면서 영주의 현이 되었다.[31] 정관(貞觀) 원년(627년) 대뢰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32] 진대에 자관현(資官縣)이 설치되었다. 무덕(武德) 연간에 가주(嘉州)에 속했다가 정관(貞觀) 6년(632년) 영주의 현이 되었다.[33] 수나라 때 노주에 설치된 현이다.[34] 한대에 건위군(犍爲郡) 우비현(牛鞞縣)이었던 지역으로 북위 때 안양현(陽安縣)이 설치되었고 안양현, 평천현(平泉縣), 자양현(資陽縣)이 분할되어 간주(簡州)가 설치되었다. 주의 이름은 뇌간지(賴簡池)를 따서 명명되었다.[35] 한대에 광한군(廣漢郡) 신도현(新都縣)이었던 지역으로 동진 말엽에 주령석이 금천수(金泉戍)를 설치했다. 북위 때 금천군(金泉郡)을 설치하면서 금천현(金泉縣)과 백모현(白牟縣)이 설치되었다. 수나라 때 금천현은 금윤현(金潤縣)으로 고쳐졌고 익주의 현이 되었다가 당나라가 들어선 뒤 금수현이 되었다. 이후 간주가 설치되면서 간주의 현이 되었다.[36] 한대에 우비현이었던 지역으로 북위 때 파윤현(婆潤縣)이 설치되었다. 수대에 치소를 뇌려지(賴黎池)로 옮기고 명칭을 평천현으로 고쳤다.[37] 한대에 익주에 속했던 현이다. 서위 때 치소가 임공현으로 옮겨졌다. 수나라 때 군을 폐지하고 치소를 옮겼다.[38] 진대의 명칭은 포양현(蒲陽縣). 한대에 임공현이었던 지역으로 양나라 때 포구진(蒲口鎭)과 공주(邛州)가 설치되었다. 이후 서위 때 포양군(蒲陽郡)이 되었고 의정현이 설치되었다. 양나라와 서위의 공주는 의정현에서 서남쪽으로 2리 떨어져 있었으며 북주 때 치소를 옮겼다.[39] 무덕(武德) 3년(620년) 설치되었다. 정관(貞觀) 17년(643년) 폐지되었다가 함형(咸亨) 원년(670년) 다시 설치되었다.[40] 함형(咸亨) 2년(671년) 익주(益州) 진원현(晉原縣)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41] 북위 때 광정현(廣定縣)으로 설치되었고 수나라 때 포강현이 되었다.[42] 북위 때 임공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43] 북주 때 화정진(火井鎭)이 설치되었고 수나라 때 현이 되었다.[44] 월수군(越巂郡)에 속했던 지역으로 수나라 때 설치되었다. 신룡(神龍) 3년(707년) 폐지되었다가 개원(開元) 3년(715년) 다시 여주가 설치되었고 여주의 치소가 있었다.[45] 의봉(儀鳳) 4년(679년) 한원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비월수(飛越水) 상에 설치했다. 대족(大足) 원년(701년)부터 여주에 속했으며 장안(長安) 2년(702년) 대도현(大渡縣)을 통폐합했다. 신룡(神龍) 3년(707년) 아주의 현이 되었다가 개원(開元) 3년(715년) 다시 여주의 현이 되었다.[46] 옛 명칭은 양산현(陽山縣)으로 수주(巂州)에 속했다. 대족(大足) 원년(701년)부터 여주에 속했으며 신룡(神龍) 2년(706년) 다시 수주의 현이 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통망현이 되었다.[47] 본래 광평현(廣平縣)이었으며 개원(開元) 24년(736년) 현에 공주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화집현이 되었다.[48] 박공현과 열산현은 개원(開元) 24년(736년) 광평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49] 수나라 때 설치된 정렴진(定廉鎭)이 시초로 수나라 말에 함락되었다. 무덕(武德) 7년(624년) 백구강(白苟羌)을 초유하면서 유주와 정렴현을 설치했다. 영휘(永徽) 원년(650년) 염성현(鹽城縣)을 정렴현에 통폐합했다. 개원(開元) 28년(740년) 봉주를 설치했다.[50] 귀순현과 운산현은 천보(天寶) 8재(749년) 정렴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51] 천보(天寶) 5재(746년) 계천현과 소덕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으며 진주의 치소가 있었다.[52] 선천(先天) 2년(713년) 익주(翼州) 익수현(翼水縣)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으며 천보(天寶) 5재(746년) 진주 관할이 되었다.[53] 본래 식구현(識臼縣)으로 실주(悉州)에 속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익주(翼州)에 속했고 소덕현으로 고쳐졌으며, 천보(天寶) 5재(746년) 진주 관할이 되었다.[54] 주를 설치할 때 같이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