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의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관 10도 (627년 ~ 733년) | ||||||||
관내도 | 하남도 | 하동도 | 하북도 | 농우도 | |||||
산남도 | 검남도 | 회남도 | 강남도 | 영남도 | |||||
개원 15도(733년 ~ 907년) | |||||||||
관내도 | 도기 | 하남도 | 경기 | 하동도 | |||||
하북도 | 농우도 | 산남동도 | 산남서도 | 검남도 | |||||
회남도 | 강남동도 | 강남서도 | 검중도 | 영남도 | }}}}}}}}} |
1. 개요2. 하위 행정구역
2.1. 동도하남부(東都河南府)2.2. 맹주(孟州)2.3. 정주(鄭州)2.4. 협주(陝州)2.5. 괵주(虢州)2.6. 여주(汝州)2.7. 허주(許州)2.8. 변주(汴州)2.9. 채주(蔡州)2.10. 활주(滑州)2.11. 진주(陳州)2.12. 박주(亳州)2.13. 영주(潁州)2.14. 송주(宋州)2.15. 조주(曹州)2.16. 복주(濮州)2.17. 운주(鄆州)2.18. 사주(泗州)2.19. 해주(海州)2.20. 연주(兗州)2.21. 서주(徐州)2.22. 숙주(宿州)2.23. 기주(沂州)2.24. 밀주(密州)2.25. 제주(齊州)2.26. 청주(靑州)2.27. 치주(淄州)2.28. 체주(棣州)2.29. 내주(萊州)2.30. 등주(登州)
1. 개요
하남도(河南道)는 당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도(道) 중 하나이다. 여기 적힌 정보들은 《구당서》 38권 지리지1과 《신당서》 38권 지리지2의 정보를 기준으로 한다.2. 하위 행정구역
2.1. 동도하남부(東都河南府)
2.2. 맹주(孟州)
2.3. 정주(鄭州)
2.4. 협주(陝州)
2.5. 괵주(虢州)
2.6. 여주(汝州)
2.7. 허주(許州)
허주의 전신은 영천군(潁川郡)으로 북위 때 영주(潁州)가 설치되고 동위 때 정주(鄭州)로 개칭되었으며, 북주 말인 581년부터 허주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수나라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허주는 다시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무덕(武德) 4년(621년) 왕세충을 토벌한 뒤 영천군은 다시 허주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허주는 영천군으로 개편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허주가 되었다.- 현
2.8. 변주(汴州)
무덕(武德) 4년(621년) 왕세충을 토벌한 뒤 정주(鄭州)의 일부를 분할하여 신설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변주는 진류군(陳留郡)으로 개편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변주가 되었다.2.9. 채주(蔡州)
중국의 고대 9주 중 하나로 전통적인 명칭은 예주(豫州)였다. 북주 때 예주는 서주(舒州)로 개칭되었다가 수나라 때 다시 예주로 개칭되었으며, 이후 진주(溱州), 채주(蔡州)로 개칭되었다가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여남군(汝南郡)이 되었다. 여남군은 무덕(武德) 4년(621년) 예주로 다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여남군으로 개편되었다가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예주가 되었다. 보응(寶應) 원년(762년) 막 즉위한 대종의 피휘를 위해 채주로 개칭하였다.- 현
2.10. 활주(滑州)
2.11. 진주(陳州)
2.12. 박주(亳州)
2.13. 영주(潁州)
2.14. 송주(宋州)
2.15. 조주(曹州)
2.16. 복주(濮州)
2.17. 운주(鄆州)
2.18. 사주(泗州)
2.19. 해주(海州)
2.20. 연주(兗州)
2.21. 서주(徐州)
중국의 고대 9주 중 하나로 수나라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팽성군(彭城郡)이 되었다. 수나라 말 우문화급, 왕세충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무덕(武德) 4년(621년) 당나라가 완전히 수복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팽성군이 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서주가 되었다.2.22. 숙주(宿州)
원화(元和) 4년(809년) 헌종의 칙령으로 서주(徐州) 부리현(符離縣)에 숙주를 설치했다. 태화(太和) 3년(829년) 서사관찰사(徐泗觀察使) 최군의 상주로 숙주를 폐지했다가 태화(太和) 7년(833년) 문종의 칙령으로 다시 숙주를 설치했다.- 현
- 부리현(符離縣), 홍현(虹縣), 기현(蘄縣), 임환현(臨渙縣)
2.23. 기주(沂州)
2.24. 밀주(密州)
2.25. 제주(齊州)
2.26. 청주(靑州)
중국의 고대 9주 중 하나로 수나라 대업(大業) 3년(607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북해군(北海郡)이 되었다. 무덕(武德) 4년(621년) 북해군은 다시 청주로 개편되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북해군이 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청주가 되었다.2.27. 치주(淄州)
무덕(武德) 4년(621년) 치천현(淄川縣)에 치주를 설치했다. 천보(天寶) 원년(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치천군(淄川郡)으로 개편되었고 건원(乾元) 원년(758년) 주현제로 회귀하면서 다시 치주가 되었다.- 현
- 치천현(淄川縣)[33], 장산현(長山縣), 고원현(高苑縣), 추평현(鄒平縣)
2.28. 체주(棣州)
2.29. 내주(萊州)
2.30. 등주(登州)
[1] 수나라 때 명칭은 영천현(潁川縣)이었으며 무덕(武德) 4년(621년) 장사현으로 다시 개칭되었다.[2] 개황(開皇) 6년(586년) 허창현의 일부를 분할하여 설치했다.[3] 동위 때 허창군(許昌郡)이 설치되었고 북제 때 폐지되었으며, 수나라 개황(開皇) 7년(587년) 다시 설치되었다. 개황(開皇) 16년(596년) 유주(洧州)가 설치되었다가 폐지된 뒤 허주의 속현이 되었다.[4] 무덕(武德) 4년(621년) 부구현에 북진주(北陳州)가 설치되었다가 머지않아 폐지되었고 유주(洧州)의 속현이 되었다. 무덕(武德) 9년(626년) 유주가 폐지된 뒤 허주의 속현이 되었다.[5] 정관(貞觀) 원년(627년) 번창현(繁昌縣)을 임영현에 통폐합했다. 건중(建中) 2년(781년) 은주(溵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원(貞元) 원년(785년) 은주가 폐지되면서 다시 허주의 속현이 되었다.[6] 이전의 명칭은 북무양현(北舞陽縣)으로 수나라 때 북무현(北舞縣)으로 개칭되었다. 무덕(武德) 4년(621년) 도주(道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허주의 속현이 되었고 머지않아 폐지되었다. 개원(開元) 4년(716년) 다시 설치되어 선주(仙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개원(開元) 26년(738년) 허주의 속현이 되었다. 원화(元和) 13년(818년) 치소를 오성진(吳城鎭)으로 옮겼다.[7] 무덕(武德) 4년(621년) 도주(道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도주를 폐지하면서 예주(豫州)의 속현이 되었다. 건중(建中) 2년(781년) 은주(溵州)가 설치되어 은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원(貞元) 2년(786년) 은주를 폐지하면서 채주의 속현이 되었다. 원화(元和) 12년(817년) 다시 은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장경(長慶) 원년(821년) 다시 채주의 속현이 되었고 장경(長慶) 원년(825년) 허주의 속현이 되었다.[8] 수나라 말 이밀에게 함락되었다가 왕요한(王要漢)이 호족들을 이끌고 준의현에 입성하여 스스로 현령이 되었다. 의녕(義寧) 원년(617년) 준의현에 다시 변주를 설치하면서 왕요한은 자사가 되었다.[9] 정관(貞觀) 원년(627년) 준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연화(延和) 원년(712년) 준의현의 일부가 분할되어 다시 설치되었다.[10]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개황(開皇) 6년(586년)에 다시 설치되어 허주(許州)의 속현이 되었다. 이후 무덕(武德) 4년(621년) 유주(洧州)가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유주가 폐지되면서 변주의 속현이 되었다.[11] 원위 때 폐지되었다가 개황(開皇) 6년(58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무덕(武德) 4년(621년) 기주(杞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기주가 폐지되면서 변주의 속현이 되었다.[12]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개황(開皇) 16년(59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13] 무덕(武德) 4년(621년) 옹구현에 기주(杞州)가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기주가 폐지되면서 변주의 속현이 되었다.[14] 옛 명칭은 안창현(安昌縣)으로 수나라 개황(開皇) 18년(598년) 낭산현으로 개칭되었다.[15] 옛 명칭은 수녕현(遂寧縣)으로 수나라 때 오방현(吳房縣)으로 개칭되었다. 원화(元和) 12년(817년) 문성책(文城柵)에서 오원제를 토벌할 때 임시로 오방현을 설치했다. 오원제가 토벌된 뒤 수평현으로 개칭되어 당주(唐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장경(長慶) 원년 다시 채주의 속현이 되었다.[16] 북위 때 임여현(臨汝縣)으로 설치되어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개황(開皇) 연간에 무진현(武津縣)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이후 대업(大業) 연간에 상채현으로 개칭되었다.[17] 무덕(武德) 4년(621년) 서주(舒州)가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서주가 폐지된 뒤 다시 예주의 속현이 되었다.[18] 유송 대에 포신현(包信縣)으로 개칭되었다가 수나라 때 포(包)를 다시 포(褒)로 고쳤다.[19] 무덕(武德) 4년(621년) 식주(息州)가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식주가 폐지된 뒤 다시 예주의 속현이 되었다.[20] 정관(貞觀) 원년(627년)에 폐지되었다가 천수(天授) 2년(691년)에 다시 설치되었다.[21] 정관(貞觀) 원년(627년)에 폐지되었다가 천수(天授) 2년(691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원화(元和) 12년(817년) 은주(溵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은주가 폐지된 뒤 다시 채주의 속현이 되었다.[22] 옛 명칭은 신양현(愼陽縣)으로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수나라 때인 개황(開皇) 16년(596년) 진구현(眞丘縣)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대업 연간에 진양현으로 개칭되었다. 재초(載初) 원년(689년) 회양현(淮陽縣)으로 개칭되었다가 신룡(神龍) 원년(705년) 다시 진양현이 되었다.[23] 수나라 개황(開皇) 6년(586년) 용성현(龍城縣)으로, 개황(開皇) 18년(598년) 임패현(臨沛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대업(大業) 연간에 다시 소현으로 개칭되었다.[24] 북제 때 영창군(永昌郡)이 설치되었다가 폐지되어 다시 풍현이 되었다.[25] 무덕(武德) 5년(622년) 설치되었다.[26] 옛 이름은 번현(蕃縣)으로 수나라 때인 개황(開皇) 16년(596년) 등현으로 개칭되었다.[27] 원래 명칭은 숙예현(宿預縣)이었다. 대종의 즉위 후 보응(寶應) 원년(762년) 피휘를 위해 숙천현으로 개칭했다.[28] 원위 때 동서주(東徐州)가 설치되었고 북주 때 비주(邳州)에 속했다가 수나라 때 비주가 폐지되었다. 무덕(武德) 4년(621년) 비주가 다시 설치되었다가 정관(貞觀) 원년(627년) 비주를 폐지한 뒤 사주(泗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원화(元和) 연간에 다시 서주의 속현이 되었다.[29] 무덕(武德) 2년(619년) 승주(乘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승주가 폐지된 뒤 다시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30] 전신은 전한 때의 천승국(千乘國)으로, 후한 때 낙안군(樂安郡)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수나라 때 천승현이 설치되었다. 무덕(武德) 2년(619년) 승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무덕(武德) 8년(625년) 승주가 폐지되면서 승주의 속현이 되었다.[31] 개황(開皇) 6년(586년) 봉산현(逢山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임구현으로 개칭되었다.[32] 북위 때 명칭은 교동현(膠東縣)으로 수나라 때 하밀현(下密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대업(大業) 2년(606년) 북해현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무덕(武德) 2년(619년) 유주(濰州)가 설치되었다가 무덕(武德) 8년(625년) 유주가 폐지된 뒤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33] 옛 명칭은 패구현(貝丘縣)으로 북위 때 동청하군(東淸河郡)이 설치되었다가 북제 때 폐지되었다. 개황(開皇) 16년(596년) 치주가 설치되었고 패구현은 개황(開皇) 18년(598년) 치천현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