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 |||
1950 | ||||
1954 | ||||
1958 | ||||
1962 | ||||
1966 | ||||
1970 | ||||
1974 | ||||
1978 | ||||
1982 | ||||
1986 | ||||
1990 | ||||
1994 | ||||
1998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 ||
2006 | ||||
2010 | ||||
2014 | ||||
2018 | ||||
2022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게르트 팔팅스 Gerd Faltings | |
출생 | 1954년 7월 28일 ([age(1954-07-28)]세) |
서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겔젠키르헨 | |
국적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현직 |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 (명예소장 / 2023년~) |
학력 | 뮌스터 대학교 (수학 · 물리학 / 1978년 석사) 뮌스터 대학교 (수학 / 1978년 박사) 뮌스터 대학교 (1981년 하빌리타치온) |
직업 | 수학자, 교수 |
분야 | 산술기하학 |
소속 |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 (소장 / 1995~2022)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 (과학 회원 / 1994~2022)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 교수) (1985~94) 부퍼탈 대학교 (수학과 / 교수) (1982~84) |
지도교수 | 한스요아힘 나슈톨트 Hans-Joachim Nastold |
수상 | 필즈상 (1986)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수학자로, 정수론의 모델 추측을 증명하여 1986년 필즈상을 수상하였다.2. 생애
1954년 당시 서독 겔젠키르헨에서 태어났다. 1972년부터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1978년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81년 교수 자격을 얻었다. 부퍼탈대학교에서 가르치다가 1985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95년 독일의 막스플랑크수학연구소 소장이 되었다.그의 가장 큰 업적은 모델 추측(Mordell conjecture)을 증명한 것이다., 모델 추측은 1920년대 수학자 루이 모델이 세운 가설로,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유리수 해에 관한 것이다. 팔팅스는 반세기 동안 해결되지 않던 이 추측을 대수기하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증명하였다. 그의 증명은 간단히 말해 수체(number field) K상에서 종수(genus)가 1보다 큰 비특이 대수 곡선 (non-singular projective curve)은 유한 개의 유리점(K-rational points)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의 업적을 인정하여 이 모델 추측은 '팔팅스의 정리'로 불리고 있다.
또 다른 업적을로 앤드루 와일스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내용이 옳다는 점을 검토한 바 있다. 즉 팔팅스는 xn+Yn=Zn에서 n이 2이상이면 이것을 만족하는 서로소인 정수 x,y,z가 유한하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공헌을 인정받아 1986년 필즈상을 받았으며, 1996년 독일의 연구 부문에서 가장 영예로운 상인 라이프니츠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2014년 킹 파이잘 국제상, 2015년 쇼상을 수상하였다.
3. 여담
* 독일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이다.* 프린스턴대학 교수시절 지도했던 제자들 중 가장 유명한 제자가 바로 ABC 추측으로 유명한 교토대학의 모치즈키 신이치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