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00:41:19

경기대학교/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경기대학교|경기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캠퍼스
수원캠퍼스 서울캠퍼스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강의 사건 사고
역사 상징 대외평가 법인
||<-4><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003876>
학생 정보
||
학교 생활 출신 인물 학생회 운동부
}}}}}}}}}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파일:경기대학교 워드마크 화이트.svg 경기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수원캠퍼스, 시흥캠퍼스)(대학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안성캠퍼스, 평택캠퍼스, 수원캠퍼스)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아신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 · 파일:예원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파일:중앙승가대학교 UI.svg 중앙승가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한세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서울캠퍼스, 도곡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 ·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서울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인문캠퍼스)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방배캠퍼스) (대학원)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서울기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서울한영대학교 ·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 · 파일:한진그룹 심볼.svg 정석대학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한국성서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OO대학교(AA캠퍼스) : 각 대학의 제2캠퍼스 · 이원화캠퍼스
}}}}}}}}}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colbgcolor=#164194> 국립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융합과학기술대학원)
사립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전문
대학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대학원
대학
파일:합신대 UI.gif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원격
대학
파일:국제사이버대학교 UI.svg 국제사이버대학교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지역대학 }}}}}}}}}

{{{#!wiki style="margin: -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파일:경기대학교 워드마크 화이트.svg 경기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파일:단국대학교_심볼(화이트).svg 단국대학교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엠블럼.svg 아신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인천가톨릭대학교 UI.svg 인천가톨릭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엠블럼.svg 한국공학대학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한세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협의회 회장 소속 대학:
}}}}}}}}}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5년 3월 기준
대학 <colbgcolor=#000><colcolor=#fff> EAC 가천대학교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건양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북대학교 · 경상국립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경국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국민대학교 · 단국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신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목원대학교 · 부산대학교 · 상지대학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서울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선문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순천향대학교 · 숭실대학교 · 아주대학교 · 영남대학교 · 울산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제대학교 · 인하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전주대학교 · 제주대학교 · 조선대학교 · 중앙대학교 · 충남대학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동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홍익대학교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CAC 건양대학교 · 경북대학교 · 광운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동국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명지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세종대학교 · 숭실대학교 · 인제대학교 · 전북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동대학교
ETAC <colbgcolor=#000><colcolor=#fff> 시드니 두원공과대학교 · 대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 울산과학대학교
더블린 동의과학대학교 · 아주자동차대학교 · 인하공업전문대학교 ·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3cdd7f0dcd76b.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관동권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1.png 한림대학교
호서권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세종)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동남권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대경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호남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 재선정 대학 }}}}}}}}}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국대학IR협의회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98A7> 회원대학 <colbgcolor=#1C98A7> 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 ·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 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 ·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 ·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 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 · 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
파일: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1000026901.jpg
Korea University Sport Federation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회원교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강릉원주대학교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광주여자대학교 UI.svg 광주여자대학교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파일:국립경국대학교 로고A.svg 국립경국대학교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
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파일: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UI.svg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목원대학교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표.svg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교표1.svg 상명대학교 파일:상지대학교 엠블럼.svg 상지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세한대학교 UI.svg 세한대학교 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파일:순천향대학교 UI.svg 순천향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영산대학교 심볼.svg 영산대학교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위덕대학교 UI.svg 위덕대학교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대학교_교표.svg 전주대학교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중원대학교 UI.svg 중원대학교
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 파일:초당대학교 UI.svg 초당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한경국립대학교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대학교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

1. 개요2. 역사
2.1. 조양보육사범학교(1947~1955)2.2. 경기(京畿)의 시작2.3. 경기대학(1963~1984)
2.3.1. 수원캠퍼스의 시작2.3.2. 서울캠퍼스의 재구성
2.4. 경기대학교 (1984~현재)
3. 역대 총장

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876><tablebordercolor=#003876>파일:경기대학교 흰색 로고.svg경기대학교
}}}
<colbgcolor=#f5f5f5><colcolor=#000000> 1947 조양보육사범학교 개교
1954 조양보육초급대학 승격
(보육과, 교육무용과, 아동문학과 설치)
1955 경기여자초급대학으로 교명 변경
1957 하초학원 인수 및 경기학원으로 인가
1959 충정로 교사 신축(現 서울캠퍼스)
1962 경기실업초급대학으로 교명 변경
1963 경기대학 신설 인가 및 문리학부,
정경학부 설치
1979 수원 교사캠퍼스 조성, 대학원 설치 인가
1982 대학본부 수원 이전
1984 6개 단과대학 신설
(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
1984 종합대학으로 승격
2022 개교 75주년
현재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2. 역사

2.1. 조양보육사범학교(1947~1955)

<rowcolor=#ffffff> 조양보육사범학교[1]
朝陽保育師範學敎
<nopad> 파일:조양보육사범학교 교표.jpg
파일:경기대역사1.png 파일:경기대역사2.png
과거 조양보육사범학교 조양보육사범학교 당시 교사진
파일:c40d77c0-1eab-4f56-bf7a-4dde4bff49e5.jpg
1회 졸업증서
광복 이후 1947년 11월 8일, 조명기선생과 손상교선생 등에 의해 종로구 연지동 265번지에 조양보육사범학교가 설립된다.[2][3] 본과(2년제)에 정원 40명과 전수과(1년제)에 정원 40명을 두어 개교했다. 이후 단기 4282년, 즉 1949년 7월 16일 제 1회 졸업생을 배출했다.[4]이후에 다른학교들과 마찬가지로 6.25 전쟁의 발발에 따라 1950년 6월 25일부터 휴교하였다. 휴전 이후 1954년 보육과, 교육무용과, 아동문학과를 설치 조양보육초급대학으로 승격되었다.[5] 이후 1955년 한진달재단이 하초학원에 인수되며 설립자가 하초학원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초대 학장으로 설립에 관여했던 조명기선생이 임명되었으며, 초대이사장으로 김법린선생이 취임했다. 초창기엔 의외로 불교, 정확히는 동국대 인사들과 연관이 깊었다. 조명기선생과 김법린선생은 동국대 총장을 지냈고 손상교선생은 동국대 대학원까지 나왔다.[6]

2.2. 경기(京畿)의 시작

파일:경기여대 명칭변경.png
교명변경 기사
동년 1955년에 교명을 조양보육초급대학에서 경기여자초급대학으로 변경했으며, 2년뒤, 1957년 손상교선생이 경기학원 설립을 인가받아 대학을 인수하여 경기초급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공학제를 실시하며 학제를 보육과, 교육무용학과, 국문학과에 보육과, 문학과(영어문학/국문학전공), 상학과로(각 과별 정원은 50명) 개편했다. 개편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학과편제와 정원을 계속해서 늘려갔으며 1958년에는 경대학보(경기대신문)이 창간되었다. 1959년엔 충정로교사가 조성되었고 야간학부와 주간학부로 개편되었다.

2.3. 경기대학(1963~1984)

<rowcolor=#ffffff> 경기대학
京畿大學
Kyonggi University
<nopad> 파일:화면 캡처 2025-04-11 010316.png
파일:6826455d-8304-465d-bb32-98faf2d58322.jpg 파일:d5d82a5e-9c15-4120-bc4e-c8157ac382a5.jpg
60년대 교사전경 60년대 충정관
파일:화면 캡처 2025-04-10 195838.png
종합대학 승격이전 마지막 모집공고
현재 경기대학교의 직접적인 전신이다.
1963년에 4년제 경기대학의 설립을 인가받아 문리학부, 정경학부를 설치해 개교했다. 위에 적혀있는 경기초급대학은 1978년 경기실업초급대를 폐교시켜 통폐합 할때까지는 2년제 경기실업초급대학과 4년제 경기대학이 병립하고있었던 것이다.[7] 즉, 직계라고 할 수 있는 경기실업초급대학이 직접 4년제로 승격된 것은 아니지만 재단도 같은 재단이었고 경기대학으로 통폐합되면서 역사 또한 완전히 계승했다.[8] 물론 워낙에 오래된 일인지라 대부분의 학생들은 조양보육사범학교는 알아도 2년제 대학은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대한뉴스 제 267호 꼭두각시 놀음
그렇다고 경기대학이 이전 조양보육사범학교의 색채를 잃은 것은 아니었다. 전국 교육자 교육무용강습회는 경기대학시절에도 꾸준히 개최했으며 위의 꼭두각시 놀음처럼 문화예술공연도 지속적으로 개최했다. 4년제 대학이후 시설부분에서도 확충이 이뤄졌는데 1967년에는 서울캠 본관까지 완공되어 대부분의 학우가 아는 서울캠퍼스의 모습이 거의 완성되었다. 63년도에는 관광과를 비롯 다양한 과들이 대학부에 설치되어갔으며 1971년도에는 학군단이 창설되었다. 그러나 70년대 재단이 운영하는 사업이 대규모사기를 당해서 재정적으로 궁핍해지고 기존 연지동교사와 충정로교사만으로는 더이상의 확장이 어려웠다. 또한 당시에는 수도권 팽창 억제정책이 시행되어 서울 내에서 교지매입을 통한 확장이나 종합대학 승격이 어려웠다. 그래서 학교는 경기실업초급대를 폐교시키고 연지동 교사를 매각, 앞으로의 대학의 발전과 확장을 위해서 수원교사를 계획하고 시행하게 된다.

2.3.1. 수원캠퍼스의 시작

파일:ecc71c43-6615-4acb-9c39-7ba5e45a82cc.jpg
수원교사 기공식
파일:0656e3d5-75a4-4381-aa58-41b78032cd6b.jpg
보고를 받는 박찬현 문교부장관
파일:f46ae142-b4de-4302-b074-002db9e59bc4.jpg
공사중인 진리관)
파일:85f1fc27-4deb-4d94-9ef2-ad79650a3ca4.jpg
수원교사 준공식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 이의리 산 94-6번지에 대학이전 허가를 받아 건축사업이 진행되었다.[9] 왜 용인군이냐고 하면 당시에는 수원시 행정구역이 확장되기 이전이었기에 용인군 소속이었다. 그럼에도 수원교사라 한 이유는 당시엔 수원시의 인지도나 영향력이 더 컷기때문이다.[10]

1979년 진리관(1강의동)을 완공하고 문리학부에 독어독문학과, 불어분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정경학부에 경제학과, 통계학과, 전자계산과를 우선 이전시켰다. 이후 성신관(2강의동), 애경관(3강의동), 학생회관이 차례로 완공되면서 홍낙선 학장시기 1982년 대학본부를 수원교사로 이전한다. 이후에 예지관(4강의동), 중앙도서관이 완공되었으며 이러한 공간적 확장을 통해서 종합대학으로 승격할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2.3.2. 서울캠퍼스의 재구성

파일:0cb17cbc-dc59-487c-a7be-bb8d0b830715.jpg
80년대 서울캠퍼스[11]
1959년 조성된 이후 20년을 넘기고있던 서울캠퍼스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야간 5개학과(경영,무역,회계,국문,영문) 및 법학과, 경제학과, 행정학과 그리고 일부 예체능계열[12]을 위시한 일부학과만 남고 학부과정의 대부분은 순차적으로 수원교사로 이전했다.[13] 즉, 기본적으로는 일부 학과를 제외하고 야간대학(2부대학)과 대학원 중심의 캠퍼스로 구조조정이 진행된 것이다.

현재는 야간대학이 모두 주간대학으로 통폐합되어서 야간대학이 있었나 의아해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 시간표에 밤시간대가 남아있고, 시험지에 주간과 야간을 체크하는 양식이 있는 등 야간대학의 흔적이 남아있다.

2.4. 경기대학교 (1984~현재)

경기대학교
京畿大學校
파일:경기대학교 이전 로고.svg 파일:경기대학교 로고 한영병기.svg파일:경기대학교 워드마크 화이트.svg
개교~2006년 2006년 ~ 현재
1984년 10월 5일 드디어 경기대학교는 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의 6개 단과대학으로 구성된 정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90년대 부터는 기본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양 캠퍼스 모두 시설부족에 시달리고 있었기 때문인데. 그래서 서울캠퍼스에는 본관과 충정관의 리모델링 그리고 본관에 세들어있던 금화도서관, 대학원건물, 평생교육원 등이 신축되었다. 수원캠퍼스에는 기존 군부대의 이전으로 부지를 매입하고 호연관(9강의동)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당차게 종합대학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했지만 90년대 부터 손종국 전 총장의 각종 사학비리와 학생운동, 수면아래에 있던 갈등들이 떠오르면서 상당한 혼란기를 겪어야했다. 그리고 그 혼란과 갈등의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차츰 어느정도 안정을 찾으면서 다시금 앞으로 나아가고있다.

혼란이 어느정도 수습되면서 2006년엔 UI를 변경하였다.[14] 그리고 시설도 확충되었는데 수원캠에 신학관, 교수연구동, 홍보관, 제 1~3 복지관 신축, 종합강의동, 제 2공학관 등이 들어왔으며 서울캠퍼스는 학생회관이 신축되고 60주년 기념관도 계획되었으나 60주년 기념관은 무산되었다.

경기대는 이전까지 내홍은 있었어도 대외적인 평가지표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대학구조개혁평가서 C등급을 받았다. 물론 대학재정지원과 학자금 대출 등은 모두 받을 수 있으나 학내반응은 꽤나 충격을 받은 모양새였다. 이것의 영향으로 학과 구조개편이 이루어졌는데 이것 때문에 학내 분규가 발생하였다. 다만 학교본부가 워낙 강경하게 나왔다보니 2017년에 나왔던 개편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행되었다. 이후 2018년 진행된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모두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고 이후 예술체육대학과 인문대학이 다시 분리되고 소소한 변화가 있은 후 현재 우리가 아는 학과구조가 완성되었다.[15] 또한 광교신도시와 광교테크노벨리가 활성화되고 도심에 위치한 서울캠퍼스는 북아현동 재개발이 예정되어 다시금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기회를 얻었다.

이처럼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현재 경기대학교는 과거 입학정원 80명의 작은 학교에서 재적학생기준 18,732여 명 대학원 2,322여 명 등 총 21,054명 가량의 학생과 약 1596여 명의 교직원이 재직 중인 대형사학이 되었다.

3. 역대 총장

파일:투명 1x10.png파일:경기대학교 흰색 로고.svg파일:투명 1x10.png
경기대학교 총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양보육초급대학 학장 (1955~1964)
학장
조명기
경기대학 학장 (1964년~1985년)
초대
손상교
제2대
이외윤
제3대
전병두
제4대
홍낙선
제5대
김한주
경기대학교 총장 (1985년~현재)
초대
김한주
제2대
나민수
제3대
박노우
제4-6대
손종국
제7대
이태일
제8대
최호준
제9대
김기언
제10대
김인규
제11대
이윤규
}}}}}}}}}}}}}}} ||



[1] 당시 졸업장에 있던 교표로 한자로 보사(保師)라고 적혀있다[2] 동아일보 조양보육사범설립기사[3] 현재 두산아트센터가 위치한 그곳이다.[4] #[5] 동아일보 조양보육초급대학 승격기사 전체적인 내용은 일제시대 폐교대학의 부활과 타 대학의 승격내용도 담고있다.[6] 재단퇴진 이후 임시이사체제였던 경기대를 동국대가 인수하려고 했는데 이러한 배경이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다.[7] 파일:화면 캡처 2025-04-14 182941.png 통합이전 모집공고[8] 학교에서도 조양사범보육학교의 개교년도와 개교기념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동문회 회원 자격도 학부, 초급대학, 조양보육사범학교로 명시되어있다.[9] 現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 (이의동)[10] 수원은 이미 당시에도 시였고 도청소재지였기에 인지도나 대표성의 차이가 컷다. 당장 경희대 국제캠이 수원캠퍼스라고 불렸던거랑 같은 맥락이다.[11] 뭔가 싶겠지만 본관과 충정관이다[12] 주로 예술대학[13] 현재 서울캠으로 이전된 관광계열학과도 이당시에 수원으로 이전했었다.[14] 다만 반응은 미묘한 편, 예전 상징이 방패문양을 바탕으로 깔끔하게 만들어진 편이라 진성애와 1947의 폰트만 손보면 꽤나 괜찮다. 현 상징은 미래를 담는 창 이라는 의미는 있으나 대학의 상징으로써는 애매하다는 반응이 많다.[15] 본인들이 보기에도 이건 아니다 싶었을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