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경기대학교|경기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캠퍼스 | |||
수원캠퍼스 | 서울캠퍼스 | |||
대학 정보 | ||||
학부 | 대학원 | 강의 | 사건 사고 | |
역사 | 상징 | 대외평가 | 법인 |
| |||||||||||||||||||||||||||||||||||||||||||||||||||||||||||||||||||||||||||||||||||||||||||||||||||||||||||||||||||||||||||||||||||||||||||||||||||||||||||||||||||||||||||||||||||||||||||||||||||||||||||||||||||||||||||||||||||||||||||||||||||||||||||||||||||||||||||||||||||||||||||||||||||||||||||||||||||||||||||||||||||||||||||||||||||||||||||||||||||||||||||||||||||||||||||||||||||||||||||||||||||||||||||||||||||||||||||||||||||||||||
|
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5><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876><tablebordercolor=#003876> | 경기대학교 | }}} | |
<colbgcolor=#f5f5f5><colcolor=#000000> 1947 | 조양보육사범학교 개교 | |||
1954 | 조양보육초급대학 승격 (보육과, 교육무용과, 아동문학과 설치) | |||
1955 | 경기여자초급대학으로 교명 변경 | |||
1957 | 하초학원 인수 및 경기학원으로 인가 | |||
1959 | 충정로 교사 신축(現 서울캠퍼스) | |||
1962 | 경기실업초급대학으로 교명 변경 | |||
1963 | 경기대학 신설 인가 및 문리학부, 정경학부 설치 | |||
1979 | 수원 교사캠퍼스 조성, 대학원 설치 인가 | |||
1982 | 대학본부 수원 이전 | |||
1984 | 6개 단과대학 신설 (인문, 법정, 경상, 이과, 공과, 예체능) | |||
1984 | 종합대학으로 승격 | |||
2022 | 개교 75주년 | |||
현재 |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2. 역사
2.1. 조양보육사범학교(1947~1955)
<rowcolor=#ffffff> 조양보육사범학교[1] 朝陽保育師範學敎 |
<nopad> |
| |
과거 조양보육사범학교 | 조양보육사범학교 당시 교사진 |
|
1회 졸업증서 |
2.2. 경기(京畿)의 시작
|
교명변경 기사 |
2.3. 경기대학(1963~1984)
<rowcolor=#ffffff> 경기대학 京畿大學 Kyonggi University |
<nopad> |
| |
60년대 교사전경 | 60년대 충정관 |
|
종합대학 승격이전 마지막 모집공고 |
1963년에 4년제 경기대학의 설립을 인가받아 문리학부, 정경학부를 설치해 개교했다. 위에 적혀있는 경기초급대학은 1978년 경기실업초급대를 폐교시켜 통폐합 할때까지는 2년제 경기실업초급대학과 4년제 경기대학이 병립하고있었던 것이다.[7] 즉, 직계라고 할 수 있는 경기실업초급대학이 직접 4년제로 승격된 것은 아니지만 재단도 같은 재단이었고 경기대학으로 통폐합되면서 역사 또한 완전히 계승했다.[8] 물론 워낙에 오래된 일인지라 대부분의 학생들은 조양보육사범학교는 알아도 2년제 대학은 존재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대한뉴스 제 267호 꼭두각시 놀음 |
2.3.1. 수원캠퍼스의 시작
|
수원교사 기공식 |
|
보고를 받는 박찬현 문교부장관 |
|
공사중인 진리관) |
|
수원교사 준공식 |
1979년 진리관(1강의동)을 완공하고 문리학부에 독어독문학과, 불어분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정경학부에 경제학과, 통계학과, 전자계산과를 우선 이전시켰다. 이후 성신관(2강의동), 애경관(3강의동), 학생회관이 차례로 완공되면서 홍낙선 학장시기 1982년 대학본부를 수원교사로 이전한다. 이후에 예지관(4강의동), 중앙도서관이 완공되었으며 이러한 공간적 확장을 통해서 종합대학으로 승격할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2.3.2. 서울캠퍼스의 재구성
|
80년대 서울캠퍼스[11] |
현재는 야간대학이 모두 주간대학으로 통폐합되어서 야간대학이 있었나 의아해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 시간표에 밤시간대가 남아있고, 시험지에 주간과 야간을 체크하는 양식이 있는 등 야간대학의 흔적이 남아있다.
2.4. 경기대학교 (1984~현재)
경기대학교 京畿大學校 | |
| |
개교~2006년 | 2006년 ~ 현재 |
90년대 부터는 기본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양 캠퍼스 모두 시설부족에 시달리고 있었기 때문인데. 그래서 서울캠퍼스에는 본관과 충정관의 리모델링 그리고 본관에 세들어있던 금화도서관, 대학원건물, 평생교육원 등이 신축되었다. 수원캠퍼스에는 기존 군부대의 이전으로 부지를 매입하고 호연관(9강의동)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당차게 종합대학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했지만 90년대 부터 손종국 전 총장의 각종 사학비리와 학생운동, 수면아래에 있던 갈등들이 떠오르면서 상당한 혼란기를 겪어야했다. 그리고 그 혼란과 갈등의 여파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차츰 어느정도 안정을 찾으면서 다시금 앞으로 나아가고있다.
혼란이 어느정도 수습되면서 2006년엔 UI를 변경하였다.[14] 그리고 시설도 확충되었는데 수원캠에 신학관, 교수연구동, 홍보관, 제 1~3 복지관 신축, 종합강의동, 제 2공학관 등이 들어왔으며 서울캠퍼스는 학생회관이 신축되고 60주년 기념관도 계획되었으나 60주년 기념관은 무산되었다.
경기대는 이전까지 내홍은 있었어도 대외적인 평가지표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대학구조개혁평가서 C등급을 받았다. 물론 대학재정지원과 학자금 대출 등은 모두 받을 수 있으나 학내반응은 꽤나 충격을 받은 모양새였다. 이것의 영향으로 학과 구조개편이 이루어졌는데 이것 때문에 학내 분규가 발생하였다. 다만 학교본부가 워낙 강경하게 나왔다보니 2017년에 나왔던 개편안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행되었다. 이후 2018년 진행된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는 모두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고 이후 예술체육대학과 인문대학이 다시 분리되고 소소한 변화가 있은 후 현재 우리가 아는 학과구조가 완성되었다.[15] 또한 광교신도시와 광교테크노벨리가 활성화되고 도심에 위치한 서울캠퍼스는 북아현동 재개발이 예정되어 다시금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기회를 얻었다.
이처럼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현재 경기대학교는 과거 입학정원 80명의 작은 학교에서 재적학생기준 18,732여 명 대학원 2,322여 명 등 총 21,054명 가량의 학생과 약 1596여 명의 교직원이 재직 중인 대형사학이 되었다.
3. 역대 총장
경기대학교 총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조양보육초급대학 학장 (1955~1964) | ||||
학장 조명기 | |||||
경기대학 학장 (1964년~1985년) | |||||
초대 손상교 | 제2대 이외윤 | 제3대 전병두 | 제4대 홍낙선 | 제5대 김한주 | |
경기대학교 총장 (1985년~현재) | |||||
초대 김한주 | 제2대 나민수 | 제3대 박노우 | 제4-6대 손종국 | 제7대 이태일 | |
제8대 최호준 | 제9대 김기언 | 제10대 김인규 | 제11대 이윤규 |
[1] 당시 졸업장에 있던 교표로 한자로 보사(保師)라고 적혀있다[2] 동아일보 조양보육사범설립기사[3] 현재 두산아트센터가 위치한 그곳이다.[4] #[5] 동아일보 조양보육초급대학 승격기사 전체적인 내용은 일제시대 폐교대학의 부활과 타 대학의 승격내용도 담고있다.[6] 재단퇴진 이후 임시이사체제였던 경기대를 동국대가 인수하려고 했는데 이러한 배경이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다.[7]
통합이전 모집공고[8] 학교에서도 조양사범보육학교의 개교년도와 개교기념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동문회 회원 자격도 학부, 초급대학, 조양보육사범학교로 명시되어있다.[9] 現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 (이의동)[10] 수원은 이미 당시에도 시였고 도청소재지였기에 인지도나 대표성의 차이가 컷다. 당장 경희대 국제캠이 수원캠퍼스라고 불렸던거랑 같은 맥락이다.[11] 뭔가 싶겠지만 본관과 충정관이다[12] 주로 예술대학[13] 현재 서울캠으로 이전된 관광계열학과도 이당시에 수원으로 이전했었다.[14] 다만 반응은 미묘한 편, 예전 상징이 방패문양을 바탕으로 깔끔하게 만들어진 편이라 진성애와 1947의 폰트만 손보면 꽤나 괜찮다. 현 상징은 미래를 담는 창 이라는 의미는 있으나 대학의 상징으로써는 애매하다는 반응이 많다.[15] 본인들이 보기에도 이건 아니다 싶었을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