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사범대학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강원 | <colbgcolor=#fff,#191919> 국립 | <colbgcolor=#fff,#191919> |
사립 | |||
경기 | 사립 | ||
경남 | 국립 | ||
사립 | |||
경북 | 국립 | ||
사립 | |||
광주 | 국립 | ||
사립 | |||
대구 | 국립 | ||
사립 | |||
대전 | 국립 | ||
사립 | |||
부산 | 국립 | ||
사립 | |||
서울 | 국립 | ||
사립 | |||
인천 | 국립 | ||
사립 | |||
전남 | 국립 | ||
전북 | 국립 | ||
사립 | |||
제주 | 국립 | ||
충남 | 국립 | ||
충북 | 국립 | ||
사립 |
| |||
사범대학 | 경영대학 | ||
약학대학 | 공과대학 | 의과대학 | |
간호대학 | 체육대학 | 미술대학 | |
[Clearfix]
1. 소개
인문국제대와 함께 영암관에 있는 단과대학이다. 1층 열람실에는 고시 전용 독서실이 있으니 참고할 것.계명대학교 사범대학
2. 부설 교육기관
3. 소속 학과
3.1. 교육학과
사범대학에서 역사가 가장 오래된 과로 1956년 계명기독대학 시절 지리교육과에서 시작했다. 교육학과 동문인 김남석 박사가 2021년 4월 7일 계명대학교 이사장으로 취임했다.3.2. 한문교육과
한문교육과는 계명대학교 사범대학의 자랑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1972년 12월에 전국에서 최초로 만들어졌다. 학과 개설이 5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1,000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수많은 졸업생들이 중등학교 한문교사로 진출하여 우리나라 한문교육사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고 또한 졸업생 1/3정도가 교단에 진출했으며 한문교사 이외에도 다수의 동문들이 대학교수, 한문번역가, 전문연구원 등 한문과 관련된 사회의 다방면 진출하여 한문학 연구와 한문고전의 번역 등에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으로 활약하고 있다. 현재 대학 동문이자 대한민국 3대 한문학자이자 논어의 대가로 알려진 김윤조 교수가 교수로 재직중이고 김건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국문학전공 명예교수와 이규필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가 동문이다.3.3. 유아교육과
2003년 첫 신입생을 모집하였다.2022년 기준 20회의 신입생을 모집하였고, 16회에 걸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학과 전용 실습실과 강의실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