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5 19:38:38

고계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d1e23 20%, #1d1e23 80%, #00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동명성왕 <colbgcolor=#fff,#000><colcolor=#002395,#fff>유리명왕 · 비류 · 온조왕
유리명왕 고도절 · 고해명 · 대무신왕 · 민중왕 · 고재사 ·} 고여진
대무신왕 모본왕 · 고호동 · 태조대왕?
모본왕 고익
태조대왕 고막근 · 고막덕 · 차대왕? · 신대왕? · 고인고?
차대왕 고추안
신대왕 고발기? · 고국천왕 · 고발기 · 산상왕 · 고계수
산상왕 동천왕
동천왕 중천왕 · 고예물 · 고사구
중천왕 서천왕 · 고달가 · 고일우 · 고소발
서천왕 봉상왕 · 고돌고
봉상왕 왕자 · 왕자
미천왕 고국원왕 · 고무
고국원왕 소수림왕 · 고국양왕
고국양왕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 왕자
장수왕 고조다 · 고공 · 고승우
문자명왕 안장왕 · 안원왕
안장왕 고복귀
안원왕 양원왕 · 왕자
양원왕 평원왕
평원왕 영양왕 · 영류왕 · 대양왕
영류왕 고환권 · 고복덕
대양왕(추존) 보장왕
보장왕 고복남 · 고덕남 · 고덕무 · 고임무 · 고안승 · 고인승
}}}}}}}}}

성씨 고(高)
이름 계수(罽須)
부왕 신대왕(新大王)
형제 고발기(高拔奇), 고남무(高男武),
고발기(高發歧), 고연우(高延優)
생몰연도 ? ~ ?

1. 개요2. 일생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대왕의 아들이었으며, 고국천왕, 고발기, 산상왕의 동생이었다. 그리고 명언 제조기[1]

둘째 형 고발기산상왕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에 한나라에서 군사를 빌려와 고구려를 치자 이를 무찌르고, 서로간의 탐욕 때문에 피흘리고 싸웠던 형들을 꾸짖은 일화로 유명하다.

용병술과 무예가 출중하여 무관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고, 형인 발기가 일으킨 난을 진압하는데 큰 공을 세우기도 했다.

2. 일생

184년, 한나라의 요동 태수가 군사를 일으켜 고구려를 침략해오자 왕명을 받들어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그러자 고국천왕이 직접 정예 기병을 이끌고 좌원에서 한나라 군대와 싸워서 크게 격파하였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인용하자면 이때 잘려나간 머리가 산처럼 쌓였다고 한다.[2]

197년, 고국천왕이 뒤를 이을 후사를 얻지 못한 채 죽자 그 둘째 동생인 산상왕이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이에 원한을 품은 고국천왕의 첫째 동생인 고발기요동 지역으로 도망쳐 당시 그 곳에서 독립적 세력을 구축하고 있던 공손도동연으로부터 3만의 군사를 빌려와 고구려를 전격 침공했다.

이때 계수는 산상왕의 명을 받들어 나라를 배신하고 타국에 붙은 형의 군대와 싸웠다. 이 싸움에서 계수는 크게 승리하였고 이에 발기는 군사를 잃고 패하였는데, 계수는 스스로 선봉에 서서 달아나는 형을 추격하였다.

계수는 발기를 거의 잡아 죽일 뻔했지만 이때 발기가 "네가 늙은 형을 죽이려하느냐?"라고 꾸짖자 차마 형제를 죽일 수는 없다고 생각했는지 발기를 그냥 놓아 주었다. 그러나 계수는 달아나는 발기에게 폭풍간지의 명언을 날렸다.
연우가 나라를 넘겨주지 않은 것은 비록 의롭지 못한 것이지만 당신이 한때의 분함을 가지고 자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하니 이는 무슨 뜻입니까? 죽은 후 무슨 면목으로 조상들을 보겠습니까?"
이 말을 들은 발기는 그제서야 잘못을 뉘우치고 부끄러워하다가 결국 스스로 목을 찔러서 자살을 하는 실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계수는 사망한 발기의 시신을 거두어서 후히[3] 장사를 지낸 후에 다시 고구려로 돌아왔는데, 이를 알게 된 산상왕이 계수를 불러서 반역자를 그냥 놔준 것도 모자라서 장례까지 치러주고 왔냐고 꾸짖었다. 그러자 계수는 슬프게 울더니 또다시 폭풍간지의 명언을 날리며 되려 형의 잘못을 비판했다.
“왕후가 비록 선왕의 유명으로 대왕을 세웠더라도, 대왕께서 예로써 사양하지 않은 것은 일찍이 형제의 우애와 공경의 의리가 없었던 까닭입니다.[4] 신은 대왕의 미덕을 이루어 드리기 위하여 시신을 거두어 안치해 둔 것입니다. 어찌 이것으로 대왕의 노여움을 당하게 될 것을 헤아렸겠습니까? 대왕께서 만일 어진 마음으로 악을 잊으시고, 형의 상례(喪禮)로써 장사지내면 누가 대왕을 의롭지 못하다고 하겠습니까? 신은 이미 말을 하였으니 비록 죽어도 살아있는 것과 같습니다. 관부에 나아가 죽기를 청합니다.”
이 말을 들은 산상왕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는 계수에게 다시 화해를 청하였다. 이때 계수가 왕에게 절을 하였는데 산상왕도 계수에게 맞절을 하였다고 한다. 형제 다섯 명 중에 반란 2명, NTR 1명이다. 둘째와 막내가 제일 개념 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천제 하백
 
 
해모수
 
유화
 
 
 
부여 왕실 1대
동명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 온조
백제 왕실
 
 
 
 
 
 
고도절 고해명 왕녀 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 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 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 고막덕 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 9대
고국천왕
고발기 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 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 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 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 19대
광개토대왕
 
20대
장수왕
고익
 
 
 
 
 
고조다 고승우 공주 고승천
 
21대
문자명왕
 
 
 
22대
안장왕
23대
안원왕
고안학
 
 
24대
양원왕
왕자
 
25대
평원왕
 
 
 
 
26대
영양왕
27대
영류왕
평강공주 대양왕
 
 
고환권 28대
보장왕
 
 
 
 
 
고복남 고임무 고덕남 고덕무 공주
 
부흥
보덕왕
}}}}}}}}}}}}



[1] 그런데 고국천왕 6년 조에는 왕자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당시 고구려에 왕제(王弟)라는 개념이 없고 대신 선왕인 신대왕의 왕자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라 추측되기도 한다.[2] 이전에 고구려의 국상 명림답부도 좌원에서 한나라군과 싸워 크게 승리한 적이 있다.[3] 원문에는 草葬, 즉 적당히 시체를 풀로 덮어 장사지냈다고 나와 있다. 추격 중에 후히 장사를 지내줄 여유도 없을 테고, 후히 장사지냈다가는 진짜로 엄청난 문제가 될 수 있기에. 실제로 후에 나온 산상왕의 반응을 보면 답이 나온다.[4] 보통의 경우라면 '나는 왕위에 욕심이 없지만...' 을 내세우기 위해 한번 이상, 많으면 세 번까지 거절하기도 한다. 헌데 단 한 차례도 거절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냥 대놓고 왕위에 오르고 싶다고 말한 것이고 그나마도 위에 형이 있는데도 저랬으니 계수가 보기엔 당연히 "형을 생각했으면 사양하는 척이라도 했어야죠!" 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