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4 21:23:11

고노에 야스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친왕
친왕비
 
 
 
 
 
 
 
 
 
장녀
 
 
 
 
 
 
친왕
차녀
친왕
친왕
친왕비
   
 
 
 
 
 
여왕
여왕
[혼]: 결혼으로 인한 황적이탈
[궁]: 분가하여 새 미야케 창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덴표 8년(736년) 강하
덴표 11년(739년) 강하
<rowcolor=#FFF>
덴표 11년(739년) 강하
덴표칸포 3년(751년) 강하
덴표칸포 4년(752년) 9월 12일 강하
<rowcolor=#FFF>
덴표칸포 7년(755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덴표칸포 9년(757년) 강하
<rowcolor=#FFF>
덴표호지 3년(759년) 복귀
덴표호지 8년(764년) 강하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rowcolor=#FFF>
덴표진고 원년(765년) 강하
진고케이운 3년(769년) 5월 강하
호키 2년(771년) 복귀
<rowcolor=#FFF>
호키 2년(771년) 복귀
호키 2년(771년) 7월 복귀
호키 2년(771년) 9월 강하
호키 3년(772년) 12월 복귀
<rowcolor=#FFF>
호키 5년(774년) 12월 복귀
엔랴쿠 6년(787년) 2월 5일 강하
엔랴쿠 21년(802년) 12월 27일 강하
<rowcolor=#FFF>
엔랴쿠 23년(804년) 6월 21일 강하
엔랴쿠 25년(806년) 4월 16일 강하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rowcolor=#FFF>
고닌 5년(814년) 5월 8일 강하
덴초 2년(825년) 7월 6일 강하
덴초 3년(826년) 강하
<rowcolor=#FFF>
강하
덴초 5년(828년)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조와(承和) 2년(835년)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조와(承和) 11년(844년) 강하
닌주 3년(853년) 강하
조간 4년(862년) 강하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조간 12년(870년) 2월 14일 강하
간교 4년(880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간교 6년(882년) 강하
<rowcolor=#FFF>
겐나 8년(884년) 6월 강하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복귀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rowcolor=#FFF>
닌나 3년(887년) 8월 25일 취득
간표 원년(889년) 5월 13일 강하
간표 3년(891년) 12월 27일 복귀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엔기 20년(920년) 12월 28일 강하
강하
조헤이 6년(936년)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강하
강하
강하
강하
<rowcolor=#FFF>
덴랴쿠 4년(950년) 강하
덴토쿠 4년(960년) 10월 2일 강하
강하
고호 4년(967년) 복귀
<rowcolor=#FFF>
조겐 2년(977년) 4월 17일 복귀
강하
강하
<rowcolor=#FFF>
조와(貞和) 5년(1016년) 강하
간닌 2년(1020년) 12월 26일 강하
만주 2년(1025년) 12월 29일 강하
겐에이 2년(1119년) 8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지쇼 4년(1180년) 강하
분에이 7년(1270년) 12월 20일 강하
고안 10년(1287년) 10월 4일 복귀
에이닌 2년(1294년) 강하
<rowcolor=#FFF>
분포 3년(1319년) 2월 18일 취득
가랴쿠 3년(1326년) 6월 13일 강하
겐토쿠 2년(1330년) 2월 11일 복귀
랴쿠오 원년(1338년) 8월 11일 강하
<rowcolor=#FFF>
분나 5년(1356년) 1월 6일 강하
게이초 10년(1605년) 강하
게이초 14년(1609년) 강하
간분 3년(1663년) 11월 강하
<rowcolor=#FFF>
간포 3년(1743년) 10월 27일 강하
분세이 9년(1826년) 강하
게이오 2년(1866년) 강하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복귀
<rowcolor=#FFF>
메이지 21년(1888년) 6월 28일 강하
메이지 23년(1890년) 12월 24일 강하
메이지 25년(1892년) 12월 26일 강하
메이지 26년(1893년) 11월 15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32년(1899년) 9월 2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4월 6일 강하
메이지 34년(1901년) 11월 27일 강하
메이지 36년(1903년) 2월 6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37년(1904년) 11월 14일 강하
메이지 39년(1906년) 10월 28일 강하
메이지 41년(1908년) 11월 8일 강하
메이지 43년(1910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메이지 44년(1911년) 4월 17일 강하
다이쇼 3년(1914년) 1월 21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4월 30일 강하
다이쇼 4년(1915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4년(1915년) 9월 3일 강하
다이쇼 7년(1918년) 5월 29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7월 24일 강하
다이쇼 9년(1920년) 11월 9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12년(1923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5월 3일 강하
다이쇼 13년(1924년) 12월 9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0월 27일 강하
<rowcolor=#FFF>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2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7일 강하
다이쇼 15년(1926년) 12월 13일 강하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3년(1928년) 7월 20일 강하
쇼와 4년(1929년) 12월 2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4월 4일 강하
쇼와 6년(1931년) 5월 12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8년(1933년) 1월 17일 강하
쇼와 9년(1934년) 3월 26일 강하
쇼와 10년(1935년) 1월 7일 강하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11년(1936년) 4월 1일 강하
쇼와 14년(1939년) 4월 2일 강하
쇼와 15년(1940년) 10월 25일 강하
쇼와 16년(1941년) 4월 15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16년(1941년) 11월 7일 강하
쇼와 17년(1942년) 10월 5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6월 7일 강하
쇼와 18년(1943년) 12월 29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20년(1945년) 4월 22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쇼와 22년(1947년) 10월 14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25년(1950년) 5월 20일 강하
쇼와 27년(1952년) 10월 10일 강하
쇼와 35년(1960년) 3월 10일 강하
쇼와 41년(1966년) 12월 28일 강하
<rowcolor=#FFF>
쇼와 58년(1983년) 10월 14일 강하
헤이세이 17년(2005년) 11월 15일 강하
헤이세이 26년(2014년) 10월 5일 강하
헤이세이 30년(2018년) 10월 29일 강하
<rowcolor=#FFF>
레이와 3년(2021년) 10월 26일 강하
}}}}}}}}}


파일:external/adm.kt-hp.com/kaichou.jpg
이름近衞甯子
출생1944년 4월 26일([age(1944-04-26)]세)
가족아버지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어머니 다카기 유리코
남동생 토모히토
남동생 가츠라노미야 요시히토
여동생 센 마사코
남동생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
학력가쿠슈인 초등과
가쿠슈인 여자중등과
가쿠슈인 여자고등과
가쿠슈인대학 영문과

1. 개요2. 생애
2.1. 황실 가계도
3. 결혼4. 자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전 황족. 본래 이름은 야스코 내친왕(甯子内親王)이었다. 쇼와 덴노의 조카다. 현 천황인 나루히토의 당고모가 된다.

2. 생애

다이쇼 덴노의 막내아들인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다카기 유리코의 3남 2녀 중 첫째이자 장녀다. 1944년 4월 26일생으로, 패전 전에 태어났다. 일본 황족들은 가쿠슈인 학원 소속 학교만 다니는 것이 전통이었기에[1], 야스코 역시 가쿠슈인 초등과, 여자중등과, 여자고등과, 가쿠슈인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단 가쿠슈인 초등과 입학 전에는 가톨릭세이신 여학원 유치원에 다녔다.

2.1. 황실 가계도

         
  ╟─
  ╟─
  ╟─
         
         
         
다카쓰카사 도시미치
         
이케다 다카마사
  ╟─
  ╟─
  ╟─
시마즈 히사나가
구로다 요시키
  ╟─
고노에 다다테루
  ╟─
센 소시츠
  ╟─
센게 구니마로
모리야 케이



3. 결혼

1966년 12월 18일, 대학 재학 도중 일본적십자사 직원인 코노에 타다데루(近衛忠煇)와 혼인하고 고노에 야스코(近衞甯子)가 되면서 황적이탈했다. 일반인이 됐다는 얘기. 1960년대만 하더라도 여자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혼인하거나, 대학 재학 중에 혼인하거나, 대학을 중퇴하고 혼인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편 고노에 타다테루는 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친동생으로 본명은 호소카와 모리테루(細川護煇)였지만 외삼촌에게 양자로 간다. 외할아버지인 고노에 후미마로는 일본 귀족의 대장, 후지와라 집안 전체의 장손으로 일본 전 총리다. 그런데 타다테루의 외삼촌인 고노에 후미타카(近衛文隆)가 패전 때 소련에 잡혀갔다가 시베리아에서 사망하자 집안의 대를 잇기 위하여 후미타카의 사후양자 형식으로 고노에 타다테루가 됐다.

원래 후미마로 슬하에는 2남 2녀가 있었다. 차녀의 자녀가 대를 잇게 된 이유는, 일단 차남은 관동대지진 이후 대가 끊어질 위기에 처한 후미마로의 이복동생에게 입양되었으며, 장녀는 시마즈 다타히데 공작에게 시집가서 2남 1녀를 낳으나, 1945년 노구치라는 정체사와 눈이 맞아 도망치는 초유의 사태를 일으켰기에[2] 결국 2남을 남기고 1940년 결핵으로 사망한 차녀의 둘째 아들인 타다테루가 선택된 것이다.

고노에는 후지와라의 분파들 중 가장 위세가 강하던 고셋케(섭정 가문) 중에서도 우두머리이기 때문에 족보명으로는 후지와라노 타다테루(藤原護煇)가 된다. 황실전범이 제정되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황족은 황족이나 후지와라하고만 혼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야말로 높은 혈통이었던 셈. 고노에 야스코 또한 후지와라노 야스코(藤原甯子)라고도 볼 수 있다.

호소카와 가문은 무려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 씨의 분파로, 1467년 오닌의 난을 일으킨 유서깊은 집안이다. 가와치 미나모토 씨라고도 한다. 일본 센코쿠 시대에도 가와치, 사누키 등 오사카 주변을 제패한 유력 다이묘 집안이었다. 무로마치 막부 최후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배다른 형인 호소카와 후지타카를 배출했으며, 오다 노부나가, 토요토미 히데요시 때에도 유력 다이묘로서 세력을 유지했다. 에도 막부 때는 긴키 지방에서 구마모토 지방으로 옮겨서 13대 228년을 영주 노릇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최상위 귀족인 후작 작위를 받은 집안이었다.

둘의 결혼이 형 덕은 아니다. 형이 총리가 된 건 훨씬 훗날로, 당시엔 평범한 신문기자였다.

4. 자녀

1970년 고노에 야스코는 슬하에 장남 고노에 타다히로(忠大)가 있다

남편인 코노에 타다테루는 일본 적십자사 사장이 되었다.

고노에 타다히로는 구니 아사다케(久邇朝建)의 장녀인 구니 게이코(久邇桂子)와 혼인해서 자녀 3명을 낳는다. 일단 타다히로와 게이코의 슬하에 최소 1명의 아들이 있다는 것은 확인되었다. 야스코의 막내동생인 다카마도노미야 노리히토 친왕 사후에 찍은 사진에서, 게이코가 남자아이를 안고 있는 사진이 찍혔기 때문. 참고로 2002년경이면 타다히로가 30대 초반이며 게이코 역시도 최소 20대 중후반의 나이대일 것을 감안하면, 안고 있는 남아가 첫째일 가능성도 높다.

타다히로의 장인인 구니 아사다케는 히로히토의 아내 고준 황후(나가코)의 큰오빠 구니노미야 아사아키라(久邇宮朝融)의 차남이다. 본래는 세습친왕가 구니노미야 가문이었지만, 1947년 대규모 신적강하로 평민 구니 가문이 되었다.

[1] 2008년 쓰구코 공주와세다대학 국제교양학부에 입학한 것을 시작으로, 이 전통은 깨지고 있다.[2] 물론, 그렇지 않았더라도 이미 장남이 6살의 나이로 요절해서 외가로 입적할 아들이 없어서 최종적으로 타다테루가 선택될 가능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