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13:11:23

고한역

고한역
역명 표기
태백선 고한
Gohan
古汗 / [ruby(古汗, ruby=コハン)]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로 166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122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민둥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운영 기관
태백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고한선 1966년 1월 19일
태백선 1973년 10월 16일[1]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태백선
고 한
파일:IMG_5830.jpg
현 역사(1965년 준공, 1966년 개업)[2]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일평균 이용객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파일:고한역 스탬프.jpg
고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정암사 수마노탑을 형상화했다.
태백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로 166 소재.

2. 역 정보

1965년 12월 21일 역사가 준공되었고 1966년 1월 15일 고한선의 증산-고한 구간이 개통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1985년 3월 11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고 1985년 12월 21일에 역사가 증축되었다.

1996년 8월 6일에 6급역으로 격하되었고 1997년 10월 1일에 소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9월 1일에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제천방면으로 고한역 진입전에 분기되는 인입선이 있었다.[3][4]

역 앞에는 하이원스키장 셔틀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따라서 겨울에는 하이원스키열차라는 특별열차를 한두 대씩 편성하기도 한다.[5]

1970년대1980년대에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에 의해 여객수요가 간이역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이 역과 사북역 사이에 강원랜드, 스키장, 골프장 등이 들어서면서 근근히 여객수요가 살아 있는 편이다.

2.1. 승강장

사북
| 2 1 |
태백
1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태백·도계·동해 방면
2 영월·원주·청량리 방면

시민재해 예방을 위해 열차 도착 15분 전부터 승강장을 개방한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290명
2005년 246명
2006년 249명
2007년 311명
2008년 306명
2009년 289명
2010년 303명
2011년 296명
2012년 292명
2013년 307명
2014년 275명
2015년 245명
2016년 214명
2017년 192명
2018년 187명
2019년 203명
2020년 109명
2021년 114명
2022년 167명
2023년 185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기타

  • 2018년 8월 18일에 화물열차 탈선사고가 일어났으나, 화차 1량이 엎어진 수준에 불과하여 금방 복구를 끝냈다.
  • 태양의 후예 촬영지인 삼탄아트마인이 인근에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이용하는 역이다.
  • 강원랜드에서 도박으로 돈을 잃은 사람들에게 매주 3번 이 역 앞에서 무료 도시락을 제공한다.
  • 고한읍 모노레일 역시 이 역에서 가까이 있으며, 태백 방면으로 출발하면 진행방향 왼쪽에서 볼 수 있다.
  • 2004년에 이 역에서 근무한 역장이 삼성생명광고에 출연한 적이 있다(관련 글, 영상 보기).

5. 둘러보기

태백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안함
}}}}}}}}}



[1] 영월선·정선선 영월-증산 구간·고한선·황지지선이 통합된 날짜.[2] 1985년에 리모델링한 이후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3] 운탄선로라고 표기되어있으나 어떤 용도였는지는 불명[4] 파일:고한역인근운탄선로.png[5] E-Train이 레이디버드로 운행하던 시절에 주로 투입되었다.[6] 참고로 열차가 오기전에 좀 작은 소리로 서너번 울리고 나서 열차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