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역의 옛 이름과 같은 이름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증산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민둥산역 | |||||
청량리 방면 영 월 ← 35.1 ㎞ | 동해 방면사 북 6.0 ㎞ → | ||||
청량리 방면예 미 ← 17.7 ㎞ | 태백선 무궁화호 | ||||
A-train | | ||||
역명 표기 | |||||
태백선 | 민둥산 Mindungsan 秃山 / ミンドゥン[ruby(山, ruby=サン)] | ||||
정선선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1로 128 (무릉리) | |||||
관리역 등급 | |||||
관리역 (2급)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 |||||
운영 기관 | |||||
태백선 | 한국철도공사 | ||||
정선선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선선 | 1966년 1월 10일 | |||
고한선 | 1966년 1월 15일[2]~ 1973년 10월 16일 | ||||
태백선 | 1973년 10월 16일[3]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A-train | 2015년 1월 22일 | }}}}}}}}} | |||
철도거리표 | |||||
제천 방면자미원 ← 6.7 ㎞ | 태백선 민둥산 | 백산 방면사 북 6.0 ㎞ → | |||
기점 | 정선선 민둥산 | 구절리 방면별어곡 6.4 ㎞ → |
현 역사(1991년 준공) |
[clearfix]
1. 개요
민둥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각각 증기 기관차와 민둥산 억새풀을 형상화했다. 첫 번째 스탬프와 같은 그림의 역명 변경 전 증산역 스탬프도 비치 중이었으나, 폐기되었다. 두 종류의 별어곡역 스탬프도 함께 비치 중이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와 별개로 A-train 스탬프도 비치 중이다. |
1966년 석탄 수송 위한 역으로 출발
옛 역명 증산은 석탄 시대와 함께 퇴장
민둥산역은 증산역이라는 이름으로 1966년 영업을 개시했다. 석탄 수송을 위해 태어난 역으로 태백선에서 정선선으로 향하는 지선이 분리되던 역이었다. 증산역은 동쪽에 고부산, 북쪽에 지억산, 남쪽에 두위봉이 둘러선 가운데 시루봉이 있다는 증산이란 지명에서 유래된 역명이었다. 한때 번창했지만 석탄의 시대가 저물면서 증산역은 점차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지게 되었다. 1991년 새로운 역사도 지어졌지만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영광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듯했다. 그러던 2009년, 주민들은 민둥산역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통해 옛 증산역에 활기를 돌려주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태백선과 정선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무릉1로 128[4] 소재.옛 역명 증산은 석탄 시대와 함께 퇴장
민둥산역은 증산역이라는 이름으로 1966년 영업을 개시했다. 석탄 수송을 위해 태어난 역으로 태백선에서 정선선으로 향하는 지선이 분리되던 역이었다. 증산역은 동쪽에 고부산, 북쪽에 지억산, 남쪽에 두위봉이 둘러선 가운데 시루봉이 있다는 증산이란 지명에서 유래된 역명이었다. 한때 번창했지만 석탄의 시대가 저물면서 증산역은 점차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지게 되었다. 1991년 새로운 역사도 지어졌지만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영광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듯했다. 그러던 2009년, 주민들은 민둥산역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통해 옛 증산역에 활기를 돌려주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구 역사 (1966년 준공, 1991년 철거) |
원래 이 역의 이름은 증산역(甑山驛)이었으나 이 동네 주민들이 순우리말 역명으로 바꿔달라고 정부에 요청하였고, 마침 서울 지하철 6호선 증산역과의 혼동도 있던 터라[5] 2009년 9월 1일부터 민둥산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역 이름의 유래는 인근에 실제 있는 '민둥산'. 정선선을 타게 될 경우 출발해서 내려가면 오른쪽에 있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역무실에 비치되어 있다. 이 역에 있는 스탬프는 총 5개라서 스탬프 찍을 때 왠지 이득 본 느낌이 든다. 민둥산역, 별어곡역 스탬프 2개가 있고 민둥산역 스탬프와 동일한 디자인의 증산역 스탬프, 충북본부 스탬프가 있다.
1995년 방영된 KBS2드라마 젊은이의 양지에서의 초기 주 무대인 사북 마을 장면은 거의 다 이 역 인근에서 촬영되었다. 하지만 사북을 상징하는 역 내부나 주인공들이 기차를 타는 장면은 사북역에서 촬영했다. 2006년 영화 가을로에서도 주인공 엄지원이 이 역 플랫폼에서 열차를 타는 장면이 짧게 나온다. 이때는 역명이 바뀌기 전이므로 증산역으로 나온다.
이 역은 분기역이기 때문인지 태백선을 지나는 모든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6]가 정차하고 있다. 수요도 꽤 있는 편. 정선선 꼬마기차가 있을 적에는 한동안 정선선 비둘기, 통일, 통근, 무궁화호의 시발역이기도 했다.
정선선의 경우 이 역에서 분기되어 내려가는 각도가 후덜덜하기로 유명하며, 태백선도 자미원역 쪽으로 가면 고도가 꽤 높아져서 저 아래 정선선이 까마득하게 보일 정도가 된다.
3. 역 주변 정보
예미역에서 수리재(태백선) vs 마차령(38번 국도) 구도로 멀리 헤어졌던 태백선 철도와 38번 국도가 만나는 곳이 민둥산이다.한국철도공사 직원을 위한
4. 여담
다음 지도의 대중교통 길찾기 검색에서는 민둥산역 앞에 있는 증산정류소가 경북 김천의 증산정류소와 혼동되었는지, 김천에서 강원도로 가는 대중교통 길찾기를 검색하면 김천시외버스터미널→증산정류소→민둥산역→종착지로 검색됐었다(...)2015년 9월 19일부터 10월 31일까지 민둥산 억새축제에 맞춰 모 철도 동호회에서 철도 사진전을 진행하였다.
이 역과 사북역 사이에 철도용 폐터널(매몰되어 위치가 불분명함)과 폐철교 흔적이 있다. 과거 석탄 산업이 호황일 때 갱도로 들어가던 철도로 추정.
영화 레드아이에서 곡성역으로 등장했다.
5. 승강장
예미 | |||
↑ | 2 | 1 | ↓ |
사북·별어곡 |
1 | 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사북·태백·동해 방면 |
정선선 |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 | 정선·나전·아우라지 방면 | |
2 | 태백선·정선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A-train ]] | 제천·원주·청량리 방면 |
6.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271명 | |||
2005년 | 282명 | |||
2006년 | 264명 | |||
2007년 | 248명 | |||
2008년 | 239명 | |||
2009년 | 218명 | |||
2010년 | 226명 | |||
2011년 | 245명 | |||
2012년 | 248명 | |||
2013년 | 255명 | |||
2014년 | 238명 | |||
2015년 | 199명 | |||
2016년 | 153명 | |||
2017년 | 128명 | |||
2018년 | 117명 | |||
2019년 | 115명 | |||
2020년 | 67명 | |||
2021년 | 83명 | |||
2022년 | 108명 | |||
2023년 | 61명 | 122명 | 183명 | [7]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7. 둘러보기
태백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입석리† - - 연당† - 청령포† - - 탄부† - 연하† - 석항† - - - 조동† - 자미원† - - - - 추전† - - 문곡† - 백산† | }}}}}}}}} |
정선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구절리†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772b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772b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민둥산, 사북 | ||
무궁화호 | 고한, 예미 | ||
A-train | 나전, 별어곡, 선평, 아우라지, 정선 | ||
─ | 구절리, 자미원, 조동 | ||
}}}}}}}}} |
[운행중단] 민둥산~별어곡 구간 낙석으로 인한 선로 파손으로 열차 운행 중단[2] 철도거리표에 등재된 날짜(철도청고시 제208호, 1966년 1월 13일.)[3] 정선선 제천-증산 구간·고한선·황지지선이 통합된 날짜.[4] 무릉리 606-10번지[5] 그러나 사실 거리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니와 두 곳의 양평역과는 다르게 같은 요금 체계를 공유하는 시스템도 아니므로 6호선 증산역 때문에 역명이 바뀐 것은 아닐 것이다.[6] 중부내륙순환열차는 이 열차 때문에 2015년 6월 1일 태백선 미경유 변경하게 되었다.[7] ITX-마음의 운행일은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