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새마을호 등급 | |
레일크루즈 해랑 | 정선아리랑열차(A) | |
교육열차(E) | 서해금빛열차(G) | |
남도해양열차(S) | 백두대간협곡열차(V) | |
동해산타열차 | 에코레일관광열차 | |
무궁화호 등급 | ||
전통시장관광열차 |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 |
폐지 | ||
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 | 부울경테마관광열차 | |
환상선눈꽃순환열차 |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 |
중부내륙순환열차(O) | 경북나드리열차 | |
평화생명관광열차(DMZ) | 바다열차 | }}}}}}}}} |
일부 구간 운행이 중단된 노선입니다.
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하기 위해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서술을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노선이 폐지되면 틀을 틀:폐선으로 교체하여 주시고, 운행이 재개되면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하기 위해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서술을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노선이 폐지되면 틀을 틀:폐선으로 교체하여 주시고, 운행이 재개되면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
정선아리랑열차 JEONGSEON ARIRANG TRAIN (A-Train)[1] | |
<nopad> | |
열차정보 | |
<colbgcolor=#0b6e3f><colcolor=#fff> 관광목적지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열차 종류 | 관광열차 |
기점 | 청량리역 |
종점 | 아우라지역 |
정차역 수 | 11 |
운행개시일 | 2015년 1월 22일 |
운영 주체 | 코레일관광개발 |
사용 차량 | 8500호대 전기기관차[2] 리미트 객차 발전차 |
| |
캐릭터 | 열차사진 (구도색)[4] |
레츠코레일 공식 홍보 영상 | |
전 구간 주행영상 |
1. 개요
청량리와 아우라지역을 오가는 관광열차이다.매주 토, 일요일 그리고 정선5일장이 서는 2, 7, 12, 17, 22, 27일에만 운행하며, 청량리발 열차는 8시 30분에 출발, 아우라지발 열차는 17시 49분에 출발한다.[5]
2. 배경
적자 덩어리 정선선을 살리기 위한 한국철도공사의 야심찬 계획으로 탄생한 관광 열차. 정선선은 석탄 산업 등의 발전으로 한때 산업화의 최전선에 섰던 산업 철도였지만, 석탄 합리화 정책 및 이로 인한 인구 감소로 쇠퇴의 길을 걸었다. 한때는 마지막으로 비둘기호가 운행했던 노선으로, 이 열차의 도입 전까지는 객차 2량짜리 무궁화호가 운행되었던 외지 로컬선이다.[6] 물론 장날에는 청량리 출발 장대 무궁화호(#1643~1644, 매월 2, 7, 12, 17, 22, 27일만 운행)도 있었다.레일크루즈 해랑 잉여 객차 4량[7]을 다시 개조하였고, 타 관광열차처럼 새마을호 특실전용 열차로 운용중이다.[8] 발전차는 99410호가 전용 도색으로 운행되고 있다.
아우라지역까지 운행했었던 때에는 국내 정규 여객열차 중 유일하게 7600호대 디젤기관차가 견인하고있었다. 정선선은 전철화가 되지 않아 어차피 전기기관차 견인운전이 불가능한데다, 아우라지역에 전차대가 없어 기존의 특대형 디젤기관차의 경우 어느 한 방향으로는 장폐단 운전을 해야하기 때문이다.[9] 정선선 해빙기 낙석 사고 이후 민둥산역 ~ 아우라지역 구간이 단축되면서 현재 76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이 열차를 견인하지 않고, 대신 8500호대 전기기관차가 이 열차를 견인하고 있다.[10]
이 열차가 생김으로써 여객취급을 중단하고, 사실상 폐역수순을 밟고 있던 정선선의 역들이 부활했다.[11]
좌석은 ITX-새마을의 것과 똑같다.
위쪽 측면에 전망창이 있어 개방감이 더 있다.
의외로 청량리~원주 간 통근/통학 수요가 있다. 정차역은 KTX-이음 수준에 좌석도 편해서 은근 탈 만한 편. 다만 운행하지 않는 날이 있고 도착 시간이 은근 늦기 때문에 특수한 수요만 나오는 편이다.
3. 역사
2015년 1월 22일에 첫 운행을 시작하였다.이 열차로 인하여 2015년 6월 1일부로 중부내륙순환열차의 운행구간이 변경되었다. 이 열차와 운행구간이 상당수 중복되어 운행 효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인지, 추전역 정차를 포함한 태백선 구간 전체가 폐지되었다. 다만, 2015년 7월부터 중부내륙순환열차가 빠짐에 따라 원주역을 추가 정차한다. 더불어 이 열차로 인하여 정선선에서 더 이상 일반 여객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지 주민들에겐 요금이 비싸져서 손해 아니냐는 얘기가 있지만, 사실 정선군 내 구간(예미~아우라지)을 정선 군민이 이용할 때는 신분증 확인 후 무궁화호 기본요금과 똑같은 요금(성인의 경우 2,600원)으로 현장 발권해 주기 때문에 현지인들에게 크게 달라진 건 없다.[12] 이 부분이 백두대간협곡열차와 가장 큰 차이점인데, 백두대간협곡열차가 철저히 구간 수요를 차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정선아리랑열차는 도로교통도 열악한 정선군 내부의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이 열차를 무제한으로 이용하기 위한 정선아리랑 열차 패스가 발행되었으나, 2015년 5월 1일부로는 관광통합패스인 나드리 패스가 계승하였다.
2016년 7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정선역~아우라지역 구간 인근 도로확장공사로 인해 운행을 중지했었다.
2018년 2월에는 평창동계올림픽으로 인해 만종역에서 잠시 시종착했다 패럴림픽이 끝난 뒤 3월 23일부터 원래대로 환원됐다.
2020년 2월 4일부터 무기한 운휴한다. 본래 중정비 관계로 3월 6일까지 운휴하고 이후 운행을 재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운행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이 조치는 모든 관광열차에 해당한다. 그래서 정선역이 아예 문을 닫아 버렸다가, 8월 1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그러다 2020년 12월 23일부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운행을 중단하였고 2021년 11월 12일에 관광열차 운행 재개 때 공사로 재개하지 못하였다.
2021년 1월 5일 중앙선 대개편 이후부터 열번이 #4855, #4858에서 #2541, #2542로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15일부터 7월 14일까지 5개월간 민둥산역부터 정선역 사이 철도가도교 2개소(오반가도교, 황지가도교)에 대한 공사로 운행을 중단하였다. 이후 2022년 1월 14일까지로 연장되었는데, 2022년 3월 31일까지 추가 연장되었다.[13]
2022년 6월 2일에 운행을 재개하였다.
2022년 11월 말, 객차와 발전차가 중검수를 한 후 도색이 변경되었다. 신규 도색 소개 영상 하지만 전용기는 도색 변경이 되지 않았는데 레츠코레일에서는 전용기의 신도색이 나와 있다.
2024년 2월 19일 민둥산~별어곡 간 낙석 발생으로 선로가 파손되어 22일부터 민둥산~아우라지 구간 운행은 무기한 중지되었다. 해당 구간은 버스로 대신하고 있다. 그 이후로 8500호대 전기기관차가 이 열차를 견인하고있다. #
3.1. 정선아리랑유람열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선아리랑유람열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선아리랑유람열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새마을호에 운행하던 직각형 객차를 격하하여 2007년까지 운행했던 열차였고 열차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운행중단되었다.
4. 운행 계통
2025년 10월 16일 기준하행 (아우라지 방향) | ||||||||||||||
열차편성 | 정차역명 | 청량리 | 양평 | 원주 | 제천 | 영월 | 예미 | 민둥산 | 별어곡 | 선평 | 정선 | 나전 | 아우라지 | 비고 |
#2541 | 도착시각 | 출발 | 09:00 | 09:27 | 09:52 | 10:32 | 10:54 | 11:16 | 11:30 | 11:41 | 11:53 | 12:13 | 12:27 | [비고] |
출발시각 | 08:30 | 09:01 | 09:28 | 09:54 | 10:34 | 10:56 | 11:21 | 11:31 | 11:42 | 11:56 | 12:14 | 도착 | ||
정차시간 | - | 1 | 1 | 2 | 2 | 2 | 5 | 1 | 1 | 3 | 1 | - |
상행 (청량리 방향) | ||||||||||||||
열차편성 | 정차역명 | 아우라지 | 나전 | 정선 | 선평 | 별어곡 | 민둥산 | 예미 | 영월 | 제천 | 원주 | 양평 | 청량리 | 비고 |
#2542 | 도착시각 | 출발 | 18:01 | 18:19 | 18:32 | 18:42 | 18:52 | 19:13 | 19:36 | 20:10 | 20:37 | 21:05 | 21:34 | [비고] |
출발시각 | 17:49 | 18:02 | 18:21 | 18:33 | 18:43 | 18:53 | 19:15 | 19:38 | 20:13 | 20:39 | 21:06 | 도착 | ||
정차시간 | - | 1 | 2 | 1 | 1 | 1 | 2 | 2 | 3 | 2 | 1 | - |
하행열차는 입석리와 자미원역에서 교행을 하고, 상행열차는 석항역 에서 교행을 한다.
2016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평창동계올림픽 중봉 활강경기장 접근 도로망 개설사업의 일부로 정선-나전간 나전가도교 확장공사가 진행되면서 나전역과 아우라지역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고 해당 구간은 셔틀버스로 대체되었다.
평창올림픽으로 인한 선로용량 확보 차원에서 2018년 2월에는 만종역 시종착으로 단축 운행하였다.[16]
[1] A는 정선 아리랑과, 산악지형을 통과하는 정선선을 뜻하며 아리랑(Arirang), 놀랍고도 뛰어남(Amazing/Ace), 그리고 모험(Adventure) 등을 의미한다. 열차 디자인은 영국 탠저린사에서 디자인을 하였다.[2] 민둥산~아우라지 구간 운행이 중단된 이후에 7600호대를 대신하여 계속 충당되고 있다.[3] 정선선 운행이 중단된 이후에는 투입되지 않고 있다.[4] 기관차는 현재 일반 도장으로 환원되었다.[5] 민둥산역에서 착발하는 현재, 민둥산역 출발 시간은 18시 53분이다.[6] 2007년까지는 1982년에 제작된 직각형 새마을호 출신 통근열차(객차형, 정선아리랑 유람열차)이 다녔지만, 차령이 걸리면서 통근열차가 빠지고, 2008년 1월 시간표 대개정 때에 제천 - 아우라지 무궁화호(#1651~#1654)로 대체되었다. 그 과정에서 제천 - 태백선 - 동백산 - 영동선 - 영주 무궁화호가 폐지되었다. 2009년 7월부터는 #4405, #4406 무궁화호가 신설되어 서울 - 청량리 - 제천 - 아우라지를 운행했지만, 조용히 없어졌다.[7] 11320, 11321, 11324, 11325호[8] 해랑 객차의 경우, 초창기 10량 2편성으로 총 20량이 개조되었으나, 8량 2편성으로 영업운행에 들어가면서 4량의 객차가 남았고, 이를 개조한 것이 정선아리랑열차이다.[9] 가끔씩 특대형 디젤기관차가 견인하는 경우도 있다.[10] 민둥산역 구간까지는 전철화되어있어 전기기관차를 운행할 수 있다.[11] 단 레일바이크가 운행 중인 구절리역은 제외.[12] 입석 발권이라 관광객이 꽉 차면 서서 가야 하는거랑, 운행 안 하는 날이 있다는 게 단점이지만 정선군만을 오가는 열차는 외지인들은 이용할 일이 많지 않았다. 대부분 서울 등에서 오는 관광객이고 이 열차는 정선군만을 오가는데 KTX 기본 요금인 8,400원을 받으며, 무엇보다 정선군만을 오가기 때문에 복귀용으로는 맞지 않았다. 또한 현지인들이 이용하기에는 시간대가 안 맞았는 데다가 정선군의 인구가 적었기 때문에 수요가 적었고 결국 정선군만을 오가는 정선아리랑열차 #4856, #4857은(당시 열번 기준) 2019년 2월 1일에 폐지되었다.[13] 정선군청 공지사항 정선-민둥산 열차운행중지 안내 정선역 안내 사진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186186, 추가 연장 안내 사진 https://gall.dcinside.com/m/monorail/220986[비고] 매주 토~일요일 및 매월 2, 7, 12, 17, 22, 27일에 운행[비고] [16] 이미 왕십리역~청량리역~망우역 구간은 최악의 선로용량포화로 악명이 높다. 이 동영상을 참고하자. 한국철도공사 및 국가철도공단, 국토교통부도 바보는 아니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GTX-B 신설 등 다양한 방법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