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미사일 및 국산 어뢰 전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white> 대공 미사일 | <colbgcolor=#fffefc,#303030>신궁 맨패즈 | 천마 단거리 미사일 | 해궁 대공 미사일 | 천궁 Block-I 중거리 미사일 | 천궁 Block-II 중거리 미사일 | L-SAM | LAMD | 한국형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한국형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함대공 유도탄-II | ||
대지 미사일 | 현궁 대전차 미사일 | 천검 공대지 미사일 | 239mm 유도로켓 | 전술 지대지 유도 무기(KTSSM) | 현무-II(2021년 개량형[HP]) | 현무-III | 해성-II | 해룡 전술함대지 유도탄 | 천룡 공대지 미사일 | 현무-IV[HP] | 현무-IV-4 SLBM | 현무-V[HP] |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 |||
[HP]: 통칭 (초)고위력 현무 탄도 미사일 | ||||
대함 미사일 | 비궁 유도 로켓 | 비룡 유도로켓 | 해성 아음속 대함 미사일 |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 공대함-II 유도탄 | |||
어뢰 | 청상어 어뢰 | 백상어 어뢰 | 범상어 어뢰 | 홍상어 대잠 로켓 | 경어뢰-II | |||
퇴역 및 시제품 | KT-75 상어 경어뢰 | K-744 경어뢰 | 해룡 단거리 대함 미사일 | 현무-I 전술 탄도 미사일 | 백곰 탄도 미사일 | |||
}}}}}}}}} |
공대함-II 유도탄과 형상을 공유할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의 개념도 |
1. 개요
1. 개요
2021년 2월, 유럽의 해군력 뉴스 매체 네이벌 뉴스에서 차기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의 형상을 담은 개념도가 공개 되었으며, 해군의 초음속 대함미사일과는 별개의 프로젝트라고 발표되며 세상에 알려졌다. 해당 개념도는 국방과학연구소가 발간하는 계간 <국방과학기술 플러스> 2020년도 2분기판의 53쪽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개발전략"에서 처음 등장하며, KF-21 보라매 탑재 공대함 버전[1]으로 개발명은 '공대함-II 유도탄'이다.같은 자료의 59쪽은 직경 400mm를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직경 400mm는 함대함/지대함으로 개발된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의 추정 제원인 53cm보다 확실하게 소형화된 것이다.[2] 물론 이들보다 더 큰 미사일들인 러시아의 야혼트(700mm), 인도의 브라모스 초기형(600mm), 대만의 슝펑 3호(470mm)보다 당연히 작지만, 일본의 ASM-3(350mm)보다는 크다.#
이미 개발에 성공한 함대함/지대함 초음속 미사일을 계열화시키지 않고 더 작은 공대함 미사일을 따로 개발하는 이유는 아마도 KF-21에서의 운용에 부담이 없게 하기 위함일 가능성이 크다. 함대함/지대함 미사일의 추정 발사중량이 1.5톤에 이르는데, 이는 현재 F-15K 전투기에서만 운용 가능한 타우러스 미사일 보다도 약간 더 무거운 무게다. 같은 계열을 공대함화해서 경량화를 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을 것이다. [3]
DX KOREA 2022에서 KF-21N의 모형에 장착된 모형으로 공개 되었다.
ADD 안흥 시험장에서 첫 시험에 들어갔다는 기사가 떴다.
2024년 FA-50에서 시험발사 될 예정이며 탐색기를 교체해서 공대지로도 운용할 수 있게 한다고 한다. #
국방과학연구소의 '국방과학기술 발전전략' 개념도에서 '초음속 중거리 공대지'라는 개념도가 있는걸로 보아 공대함 임무 외에도 공대지 임무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미사일은 2024년 사천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