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c6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곡10 | 수완12 | 선운14 | 지원15 | 매월16 |
진월17 | 문흥18 | 송정19 | 첨단22 | 첨단23 | |
지원25 | 매월26 | 봉선27 | 일곡28 | 송정29 | |
첨단30 | 송암31 | 금호36 | 봉선37 | 일곡38 | |
문흥39 | 지원45 | 금호46 | 송암47 | 운림50 | |
운림51 | 운림54 | 금남58 | 금남59 | 첨단95 | |
송정98 |
| |
1. 개요
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대한적십자사) | ||
종점 행 | 첫차 | 05:40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2:40 | 막차 | 22:40 | ||
평일배차 | 5~10분 | 주말배차 | 7~10분 | ||
운수사명 | 대창운수 | 인가대수 | 22대[1] | ||
노선 |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운림중 - 홍림교 - (→ 학동무등파크 →/← 학동평화맨션 ←) - 학동증심사입구역 - 조선대병원 - 전남대병원/남광주시장 - 동구청 - 전남여고 - 대인시장(동) - 광주고/4.19역사관 - 동강대학교 - 서방시장(남) - 말바우시장(동) - 무등도서관 - 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 오치한전 - 북부경찰서 - (→ 광주공고 →/← 용봉주공 ←) - 매곡대화아파트 - 대한적십자사 |
3. 역사
- 구 27번이 전신이다.
- 2006년 개편 때 번호만 지원54번으로 바뀌었다.
- 2011년에 증심사가 기종점인 버스들의 권역번호가 '지원'에서 '운림'으로 바뀌면서 운림54번으로 바뀌었다.
- 시기 미상으로 지선버스에서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 2019년 7월 1일에 수완03번의 증차로 인하여 1대가 감차되었다.
4. 특징
- 구 27번과 비교하면 배차간격이 4~5분에서 5~7분, 2019년 경 다시 평시 8~9분으로 약간 벌어지긴 했지만, 다른 시내버스 노선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짧은 편이라 수요가 좋은 노선이다.[2]
- 급행간선노선과 다를 바 없는 배차간격[3]과 거의 올곧은 선형을 자랑하지만 왕복 인가거리가 짧은 편에 회차지의 성격상 지선으로 인가되었...으나, 2013년부터 모든 차량이 간선도색으로 재도색되면서 사실상 간선 취급... 그래서 본 노선에 다니는 차는 전부 노란색이다.
- 전남대학교를 지나가긴 하지만 대수요처인 전대후문이나 정문을 지나지 않으므로 대학생 통학버스로는 힘들지만, 운림중, 조대부고, 전남여고, 광주고, 동신중/여중/고/여고, 문화중, 광주공고 등의 학교와 광주의 대표 전통시장인 대인시장과 남광주시장, 서방시장, 말바우시장을 끼고 있어 주거지와 해당 학교, 상업시설을 잇는 수요가 많은 편이다.
- 더 놀라운 점은 광주 버스 중 이용객 수 상위권에 드는 이 노선이 정작 중심 상권 중 그나마 근접해서 지나가는 충장로, 전대후문 둘 다 간발의 차로 비껴간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이다. 금남로에서 한 블럭 북동쪽에 있는 전남여고와, 전대후문 권역의 북쪽 끝이라 할 수 있는 면앙로를 각각 경유하므로 흔히 생각하는 충장로, 전대후문과는 약간 떨어져있다. 매곡동에서 타서 충장로, 전대후문 바로 앞에 내리고 싶다면 진월07로 환승해야 한다.
- 도로사정이 영 좋지 않은 매곡동 지역과 구도심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출퇴근길에는 난폭운전이 심한 편이다. 또, 출근시간에는 매곡동대화아파트, 삼익아파트를 지나면 이미 만차가 되어 버리고 이후로는 거의 99%의 확률로 입석승객이 발생한다. 특히 지나가는 중고등학교가 많아 등/하교 시간에는 입석도 없어 앞문에 매달리다시피(!) 가는 경우도 상당히 자주 있다. 또한 증심사 종점 버스답게 무등산국립공원 등산객들 수요도 당연히 책임진다.
- 반면 등하교 시간 이외에는 종일 한산하기 때문에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등하교 시간 피해서 수강신청만 잘하면 앉아서 갈 수 있다. 도로교통공단/대신파크 정류장에서 내려서 좀만 걸으면 북문이 나온다.[4]
- 광주 시내버스에서 평균 배차간격이 가장 짧으며 운행횟수가 가장 많다. 그래서 빗자루질이 굉장히 자주 일어나는 노선이다. 공식 배차간격은 7분이지만 5분마다 1대씩 올 때도 많다.[5] 광주 시내버스에서 진월07번과 배차간격 투탑을 차지하고 있는 노선이다.[6]
- 그렇지만 진월07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승객의 승하차 흐름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진월07번은 충장로, 전남대 두 군데에서 크게 승객 물갈이가 이루어지지만 이 노선은 전남대학교 북쪽 끝을 스치는 것을 제외하면 딱히 이렇다 할 대수요처가 없고 동구와 구도심, 북구 매곡동을 이어주는 게 전부라 계속해서 적은 수의 승객이 타고 내리기 때문이다.
- 이 노선과 구 27번은 번호, 간선 전환, 저상버스 투입을 제외하면 코스에 큰 차이가 없다. 2006년 대개편의 와중에서 노선이 전혀 바뀌지 않고 살아남은 유일한 간선급 노선.[7]
- 증심사 방면에 한정해서 다른 노선들이 멈추는 오치한전 정류소에 멈추지 않고, 오치한전(북)이라는 개별 정류소에 정차한다. 이 곳에는 일곡180도 정차했으나, 노선 폐지로 인해 운림54만 정차중였다가 이후 신설된 마을788번이 기존 오치한전 정류소와 함께 해당 정류소도 정차한다. 오치한전 정류소와는 약 150m(2~3분)정도 떨어져 있다.
- 2022년 말 BIS상의 종점 명칭이 전남공무원교육원에서 대한적십자사로 변경되었다. 종점이 변경된 것이 아니고 종점은 그대로인데 2021년 1월에 전남공무원교육원이 전라남도 인재개발원으로 명칭 변경 후 동년 4월에 강진군으로 이전해 전남공무원교육원과 같은 자리에 위치해 있던 대한적십자사 광주전남지사로 명칭만 뒤늦게 바뀌게 된 것. 명칭 변경 이후 버스 LED 행선판과 측면 행선판에는 전남공무원교육원으로 기재되어 있었지만, 이후 순차적으로 개정되었다. 다만 안내방송은 여전히 전남공무원교육원이라고 나온다.
5. 사건사고
5.1.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6. 연계 철도역
[1] 공휴일 19대.[2]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 5위를 차지하는 노선이다.[3] 평시에도 2대씩 붙어다니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4] 이 때문에 전대 공대생들은 보통 북문을 대신파크라고 부른다.[5] 이는 정체구역인 말바우시장 일대를 지난 계림동, 동강대 근처로 여러 차가 몰려오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다.지선 시절에도 서방사거리에서 제일 자주오고 간선이 된 지금도 제일 자주 오는 버스다.[6] 다만 진월07번은 운림54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일이 더 잦다.[7] 2006년 이전과 이후 노선이 동일한 버스들은 이 노선을 제외하면 지선, 그 중에서도 시계외노선이나 공영노선 같은 것밖에 없다. 그게 아니면 구 1번, 구 20번, 구 222번과 같이 없어졌다가 부활한 노선들. 사실 구 51번과 구 60번도 있긴 한데, 구 51번-일곡28번은 종점을 서광주역으로 바꿨다가 민원크리 맞고 다시 매월동 종점으로 돌아갔고, 구 60번-송정19번은 처음에는 번호만 바뀌었지만 그 놈의 송정리 구간이 이리 바뀌고 저리 바뀌다 겨우 지금과 같이 정착한 케이스이다.[8] 증심사 행은 기존과 동일하게 계림사거리 정류소에 정차한다.[9] 동구청 정류장에서 도보로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