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립서울농학교 Seoul National School for the Deaf 國立서울聾學校 | |
| |
설립 연도 | 1913년 4월 1일[1] |
교장 | 임갑필 |
유형 | 청각장애인(농아) 특수학교 |
운영 형태 | 국립 |
성별 | 남녀공학 |
학급 수 | 25개[기준] # |
학생 수 | 100명[기준] |
교원 수 | 76명[기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103(신교동 1-1) |
홈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국립서울농학교 100주년 기념비 |
2. 상징 및 로고
3. 교육목표 및 특색사업
4. 교육활동
5. 교가
국립서울농학교 교가 제창 및 가사 |
6. 연혁
1913. 04. 01. | 제생원 맹아부 설치[5] |
1931. 04. 01. | 종로구 신교동으로 이전 |
1945. 10. 01. | 국립맹아학교로 개명[6] |
1946. 09. 01. | 초대 교장 윤백원(尹伯元, 1908년~1995년)의 한글 지문자(指文字) 창안 및 보급 |
1947. 09. 01. | 중학부 교실 설치(3년제) |
1950. 12. 25. | 6.25 전쟁으로 학교를 부산 및 제주도로 이전[7] |
1952. 06. 01. | 서울맹아학교로 개명 |
1954. 04. 01. | 농아부 사범과(3년제) 및 보통 사범과 신설 |
1959. 04. 01. | 서울농아학교와 서울맹학교 분리 |
1964. 01. 01. | 고등부(3년제) 교실 신설[8] |
1968. 07. 30. | 도서관 및 과학 실험실, 시청각 교실 준공 |
1968. 09. 15. | 강당 준공 |
1969. 09. 20. | 신축교사(5교실), 기숙사 준공 |
1970. 09. 01. | 후관 신관교실(5교실), 가사실, 음악실, 미술실 준공 |
1971. 09. 30. | 기숙사 신관 준공 |
1977. 12. 18. | 기숙사 식당 개축 |
1980. 04. 02. | 유치부 1학급 신설 |
1981. 03. 05. | 유치부 2학급 증설 |
1982. 07. 10. | 직업교육관 신축 이전 |
1983. 12. 30. | 남자 기숙사 개축 |
1985. 09. 26. | 요육실(2개 교실) 준공 |
1986. 12. 02. | 여자 기숙사 개축 |
1987. 05. 25. | 학교 신문 '선희' 창간 |
1987. 12. 17. | 회지 '조기교육' 창간 |
1988. 03. 01. | 서울선희학교로 개명 |
1988. 09. 20. | 본관 준공 |
1989. 12. 21. | 강당 겸 체육관 준공 |
1990. 12. 06. | 유치부 과정 3학급 증설 |
1992. 10. 19. | 초등부 교사 준공 |
1993. 04. 10. | 체육시설 및 교내 환경 조성공사 준공 |
1993. 09. 20. | 직업교육관 개수 |
1995. 01. 27. | 전공부 설치(2년제) |
1996. 12. 21. | 조기교육관 개축 |
2000. 12. 15. | 전공부 폐지 |
2002. 03. 01. | 국립서울농학교로 개명 |
2005. 06. 15. | 다목적 구장 및 농구장 우레탄 체육시설 착공 및 준공 |
2007. 10. 11. | 청각언어 훈련센터 개관 |
2013. 10. 25. |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
2018. 03. 01. | 공과 2개 과정 재설치(바리스타 과정 및 제과·제빵 과정) |
2020. 02. 14. | 2019학년도 5회 졸업식[9] |
2020. 09. 01. | 제27대 교장 취임 |
2024. 01. 11. | 2023학년도 유치부 43회, 초등부 103회, 중학부 73회, 고등부 58회 졸업, 전공부 9회 졸업 |
2024. 09. 01. | 제28대 교장 취임 |
7. 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지도기관은 교육부로, 지난 2019년에 국립서울농학교에서 설립한 센터이다.국립청각장애교육지원센터 전경 |
7.1. 주요사업
사업명 | 세부 내용 | 대상 | 일정 |
치료지원 | 교내 언어재활·감각통합·외부 바우처 치료비 지원(택1) | 교내 유초중고학생 | 연중 |
청능훈련 | 개별 청능훈련 프로그램 | 교내 유초중고학생 | |
청능평가 | 청력 및 말지각 검사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특성화프로그램 | 청각 맞춤형 프로그램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학습 신장 프로그램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역량 강화 아카데미 | 교내외 청각장애학생 | ||
전국청각장애학생대회 | 재능 발표 대회 | 전국 청각장애학생 | |
장애이해교육 | 청각장애이해교육 | 통합학급 청각장애 학생 및 교원 | |
예술·심리지원 | 지역주민과 학부모를 위한 예술·심리 프로그램 | 청각장애학생 학부모 및 지역주민 | |
청각보장구 | 외부 후원 청각보장구 지원 | 교내 재학생 | |
연수 | 청각장애교육지도 관련 교원 연수 | 교직원 및 전국특수교육담당자 | |
학부모 연수 및 아카데미 | 교내외 학부모 | ||
수어 | 시민수어 교실 | 학부모 및 지역주민 | |
수어 직무연수 | 교직원 및 전국특수교육담당자 | ||
수어연수 | 교직원 및 신임교사 |
8. 논란 및 사건사고
8.1. 수업시 수어 미사용 논란
지난 2019년, 한국일보에서 국립서울농학교 당시 재학생들이 수어로 수업을 원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냈다. 바로 국립서울농학교에선 유튜브로 반박하는 내용의 영상을 올렸다.[10] 하지만, 교원과 학생 그 누구도 수지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 수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11]9. 교통
9.1. 지하철
호선 | 역명 |
수도권 전철 3호선 | 경복궁역 |
9.2. 시내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신교동(01102), 효자동(10112) ||
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