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7:21:01

국비지원교육



1. 개요2. 상세3. 비판

[clearfix]

1. 개요

국비지원교육 과정은 고용노동부에서 주관 하고 분야별 직무 교육이 가능한 교육 기관들이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진행 하는 교육 과정을 의미 한다.

2. 상세

과거에는 바리스타, 요리,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국비지원과정이 주로 진행 되었다면, 디지털 가속화로 IT 분야에 중점 되어 다수의 교육 기관에서 IT 국비지원 교육 과정을 운영 하고 있다.

국비지원은 총 세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일반 NCS과정/ K-digital Training과 지자체에서 운영 하는 직업 교육 과정(EX: 서울시 새싹 프로그램)이 있다. '취업'을 목적으로 국비지원 교육 과정을 알아보고 있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취업률/고용 유지률/수강생 만족도를 기반으로 평가 한 내용을 기반으로 베스트 훈련 기관에서 교육 과정을 진행 하는 것이 수료 시점에 취업 연계를 확실히 받을 수 있으니 참고 해야 한다.

국비지원 과정 중 IT 분야는 고용노동부에서 많은 교육 과정을 지원 하고 있는 만큼 영세한 업체들의 경우 교육생의 취업 과정 보다는 우선적으로 학원의 매출을 우선적으로 판단 하기 때문에 개강을 목적으로 운영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강사 수준이 낮거나 혹은 취업 의지가 없는 학생 이라도 참여시키기 때문에 실제 국비지원 참여 시 교육 커리큘럼이나 학업 분위기로 인해 중도 이탈을 하는 경우도 있다.

국비지원 교육 기관 선택 시 주의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고용노동부에서 평가 하는 지표를 기반으로 선택.
2. IT 전반적인 산업 구조와 개개인의 취업 의지 등 체크 하는지
3. 교육 과정 이 외에 자격증, 포트폴리오 등 추가적인 준비 사항에 대한 안내.
4. 강사 수준, 취업 연계 등 체계적으로 진행 하는지에 대한 지표.

출처: https://allthatreview.com/1338

3. 비판

IT쪽은 수도권 10명 미만 중소기업 개발자 1명 모집하면 200~300명 이상 지원하는 상황이다.# 서울대 컴공 2021 졸업생 진로만 봐도 중소 기업에 다니는 비율이 높은데 공대 뿐만이 아니라 산업 전체가 경기가 안 좋아서 대기업들이 공채 공고가 없거나 계획이 취소 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중소 기업에도 개발자들이 엄청 몰리고 있다.# 가장 선호 하는 것은 3년차 이하 경력직이다. 가뜩이나 대학교 졸업 전공자 인력도 남아도는 와중에 값 싼 인력인 국비지원 때문에 IT 업계의 대우가 나빠지고 있기에 국비지원을 없애야 한다는 비판도 존재 한다. 그리고 이들이 사실 상 IT 업계 쪽에 연봉을 낮추는 주 원인 이다.[1] 그런데도 여전히 엄청나게 양성 되고 있다. 어쨌든 국내 IT 일자리는 별로 없어도 기술교육으로 많이 양성해 해외취업인 일본/취업[2], 미국/취업 등으로 외화를 벌어오면 나라 입장에서는 좋다. 단점은 인력이 유출 될 수도 있다는 점(귀화) 하지만 대부분이 국내로 돌아오며 귀화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IT 뿐만 아니라 바리스타 과정도 있는데 국제 바리스타 자격증은 미국/호주/캐나다에 취업도 가능하다. 바리스타 일만 가능해도 연봉이 한화로 5000이 넘으니. 그리고 여행영어 수준으로도 가능하니 높은 영어 실력도 요구되지 않는다.

애초에 이들이 생긴 이유는 과거에는 중소 기업에 일할 인력이 부족 해서 나라에서 저가 인력으로 일 할 수 있는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단기 교육을 시켜 취업 시킨 건데 현재 명문대 공대 뿐만이 아니라# # # 산업 전반이 취업난이 온 상황에서 굳이 세금 까지 투자 하면서 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워낙 일자리에 비해 청년 인력이 넘치다 보니 중소 기업도 신입은 필요 없고 경력직만 원하는 상황이다.[3] 대학교 4년제 졸업 전공자들도 취업 안 되는 상황이니 당연히 학원 수강생들도 취업이 안 되고(인생 낭비)[4] 정작 학원이나 배불려 준다는 비판이 존재 한다. 정 하고 싶다면 국비 지원이 아니더라도 과거 보다 혼자서도 쉽게 독학 할 수단(인터넷, 저서 등)이 많이 나왔기 때문.#

과거에 일자리가 많던 시절에는 국비교육 받은 고등학교 졸업생 신입도 쉽게 중소 기업에 입사 했지만, 현재는 일자리가 많이 부족해진 상황이라 신입은 중소 기업에 입사 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5][6][7] 공무원, 공기업 같은 필기 시험 비중이 높은 곳을 노리는 게 더 가능성이 높다. 공무원, 공기업은 중소기업보다 훨씬 경쟁률이 높지만 필기 시험 공부를 하다 보면 몇 년 안에는 붙게 되어 있으므로 경력자만 뽑는 중소기업보단 낫다. 공부 하기 싫다고 중소 기업 면접만 봐봤자 면접관에게 경력이 없다고 무시나 당하고 불합격 된다. 대부분 통보도 안 해주니 연락 없으면 불합격 한 것이다. 이들 면접관들은 현 청년 세대 보다 나은 점이라면 그저 시대를 잘 타고 났기에 쉽게 취업 하고 경력을 쌓을 수 있었다는 것 정도 이다. 대부분이 학력도 현 청년 세대들 보다 낮고 토익 시험도 봐 본 적도 없다. 이런 사람들에게 고의적으로 모욕적인 면접[8]으로 무시나 당하고 헛걸음에 시간 낭비 이다. 공기업, 대기업만 보더라도 면접관은 물론 체계화 된 면접의 수준이 정말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당연히 중소 기업 보다는 공무원이 수당, 근무 여건, 체계가 훨씬 낫다. 현재 취업 시장이 구직자 입장에서는 불리하겠지만, 회사입장에서는 1970년대~1990년대생[9]까지는 인력이 넘치기에 향후 30년은 건재하다. 다만 2000년대생부터는 본격적인 초저출산 세대이기 때문에 이들이 사회진출하는 2030년대부터는 어지간한 중소기업들은 다 구인난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1] 국비의 가장 안타까운 점은 벼랑까지 몰린 사람이 이거 아니면 더 이상 물러설 곳은 없다의 심정이라 실질적으로 최저임금보다도 못 받는 현실이다. 대부분이 재능이나 관심이 있어서 하는 것도 아니고 이것 저것 다 해보다 마지막에 어쩔 수 없이 하는 사람이 많다. 그렇기에 절실한 사람이 많기에 임금이 매우 낮다. 일단 합격 하고 경력을 쌓기 위해 최저임금 연봉을 부른다. 그렇기에 만약 괜찮은 대학교 4년제를 졸업 하였다면 차라리 좀 더 공부 해서 최소한 공무원 이라도 하는 게 훨씬 낫다. 공무원 연봉이 대기업에 비해 작다고 하지만, 중소 기업 신입 보다는 훨씬 낫다. 체계화 된 근무 조건, 각종 수당, 상여금, 식비, 교통비 지원 등.[2] 국비지원교육 받고 한국에서는 취업이 안되어 일본 IT 중소에 취업한 사람들이 꽤 있다.[3] 그렇다고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이 신입을 많이 채용하느냐? 그것도 아니다. 중소기업보단 신입 채용이 많기는 하나 기존의 경력직들이 신입으로 지원하는 중고 신입이 압도적으로 유리하기에 결국 이쪽도 경력자들이 다 해먹는다.[4] 고시 낭인과 다를 바가 없다. 국가 입장에서도 매우 좋지 않다.[5] 우리나라 중소 IT회사 대부분이 SI 파견회사다. IT 업계 중에 제일 피해야 하는 기업이 무급 대기인데, 신입을 수십명씩 뽑는다 길래 갔더니 교육기간이 몇주~몇달 정도라 하는데 이 교육기간 동안 무급 이라고 한다. 채용 공고랑 다르게 프로그래밍 언어도 과거에 쓰이던 매우 마이너 한 것이고 별로 가르쳐주는 것도 없고 혼자 공부해야한다. 게다가 회사에 있을때 교육은 커녕 무급으로 잡일(무상노동)이나 하게 된다. 사수 있다고는 하나 아무 도움이 안된다. 이 사람도 직장인 이기에 당연히 누구를 가르칠 시간이 없다. 본인 일만 해도 벅차다. 교육독학, 무상노동이 끝난 후 보통 신입을 경력 5~6년 차(뻥튀기)라고 속여서(사기) 해서 파견으로 보낸다. 문제는 파견 회사에서도 면접을 봐야하는데, 떨어지면 소속회사에서 혼나는 상황이다. 그리고 다시 원래 회사로 돌아가서 무급 대기로 또 있어야 한다. 이렇게 6개월 정도 채우면 본인이 지쳐서 그만 둔다. 차라리 처음 부터 국비지원교육을 들었다면 어쨌든 공부만 한거니 훨씬 나은 셈.[6] 만약 파견회사 면접에 합격했는데 쓰는 언어가 전혀 다르면 엄청 구르고 매일 야근 확정이다. 주 52시간은 당연히 지켜질리가 없다. 신입은 울며겨자먹기로 어렵게 취업했으니 경력을 쌓아 이직하려고 어쩔수 없이 다니는 현실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기간이 끝나 원래 회사로 돌아가면 다시 무급 대기로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계약 형태도 매우 특이한데, 프리랜서로 보통 이렇다. 경력도 공백기가 생기므로 매우 애매하다. 이런 회사는 평판이 안 좋아져서 일감이 잘 안들어 오면 폐업하고 다시 회사 이름만 바꾸는 식으로 운영 하는 곳도 꽤 된다. 면접 후기 사이트 보면 끝까지 쫓아다니며 회사 이름이 바뀐 것과 만행을 폭로하는 전직원들도 보인다.얼마나 원한이 되었으면[7] 예전에는 일자리도 많아서 중소 지원율이 낮기에 마감하면 다시 열고하는 방식으로 지원자가 많아 보이게 했는데, 요즘은 취업난 때문에 서울 IT중소 1자리 뽑는데 한달만 되어도 2~300명 이상 지원하니#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 뽑은 사람이 며칠~3개월 다니고 연봉 더 주는 곳으로 이직하면 회사가 새로 공고를 다시 올리면 0명 부터 차곡 차곡 차는 것을 반복. 면접관도 요즘 취업난때문에 지원자가 너무 많다고 언급할 정도. 지원자가 저조한 곳도 있긴 한데 SI 풀스택 경력직을 지방과 해외(중국)를 수년간 근무하며 신입 연봉에 쓰는 곳이나 현재는 잘 안쓰는 오래된 기술을 사용하는 곳이다. 젊을때 일하는 게 손해고 이직할때 물경력 된다. 게다가 중소기업은 청년을 채용하면 정부 보조금까지 지원 받는다. 괜히 중소에서 나이 제한 걸어 논게 아니다. 그렇기에 필요할때 쓰다가 필요가 없으면 본인이 스스로 나가게 해서 알바처럼 단기적으로 부려먹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퇴직금 조차 줄 필요도 없다.[8] 신입에게 경력이 없다. 이력서를 보니 물어 볼 것 없다. 고의적으로 모르는 것이 나올 때 까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꼬투리 잡으려고 전공 지식 + 사적인 질문 이것 저것 물어보기.(대기업은 현업에 필요한 지식을 물어보지 괴롭히려고 물어보는 것이 아니다.) 등 사실 필요한 사람이라서 부른 게 아니라 이력서도 읽기 귀찮아서 그냥 시간 날 때마다 다 불러 보는 것이다. 재밌는 점은 작은 회사의 경우 1~2년차도 같이 면접관을 하는데, 젊은 사람들도 이런 꼰대 짓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면접관이 꼰대 짓을 하면 싸우지 말고 그냥 면접 포기 한다고 하고 나가자. 어차피 불합격에 화풀이 대상이다. 그리고 채용 할 생각도 없으면서 면접에 불러서 자신의 회사를 대놓고 홍보 하는 회사들이 있다. 작은 회사일 수록 이런 것들이 심하다. 작은 회사들이 구인난에 시달리는 건 다 이유가 있는 법.[9] 2000년생까지는 출생인구가 60만명대 수준이 유지됐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