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4:53:57

군포문화예술회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공연장'''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잠실 돔구장(예정) · 인천문학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경기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파라다이스시티 컬처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티켓링크 라이브 아레나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마산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금정실내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한남대학교 성지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마포아트센터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인천문화예술회관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대전예술의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세종예술의전당 · 경기아트센터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성남아트센터 · 부천아트센터 · 안산문화예술의전당 · 군포문화예술회관 · 청주예술의전당 · 제천예술의전당 · 천안예술의전당 · 계룡문화예술의전당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익산예술의전당 · 군산예술의전당 · GS칼텍스 예울마루 · 영광예술의전당 · 완도문화예술의전당 · 경주예술의전당 · 성산아트홀 · 김해문화의전당 · 경남문화예술회관 · 통영국제음악당 · 서귀포예술의전당
1,000석 미만 JS 아트홀 · JTN 아트홀 · KT&G 상상마당 대치아트홀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NOL 서경스퀘어 · 가빈아트홀 · 광림아트센터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대학로 예술극장 · 대학로 자유극장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브릭스씨어터 · 서울숲 씨어터 · 세티 라이브홀 · 스카이아트홀 · 스페이스브릭 · 신한카드 SOL 페이 스퀘어 · 아르코 예술극장 · 아트포레스트 · 연남스페이스 · 예그린씨어터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오방가르드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제비다방 · 푸르지오 아트홀 · 플러스씨어터 · 한전아트센터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제임스레코드 ·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 HD아트센터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속초문화예술회관
★: 전문 공연장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군포문화예술회관
파일:fdgfd54.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이름 군포문화예술회관
우편번호 15820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재지 경기 군포시 고산로 599
전화번호 031-390-3500
개장일 1998년 5월 7일

1. 개요2. 특징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공연장.

2. 특징

군포문화예술회관은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한 다목적 문화예술 시설로, 지역 주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중심 공간이다. 이 회관은 공연장, 전시실, 회의실 등 다양한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뮤지컬, 연극, 클래식, 무용, 국악 등 여러 장르의 기획 공연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또한 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역 예술 축제를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하면서 군포시 문화예술 발전의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군포문화예술회관은 1998년 5월 7일에 정식 개관했다. 이 회관은 군포시가 시민들의 문화예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건립한 공공 공연 공간으로, 개관 이후 다양한 기획 공연과 전시, 교육사업을 진행해 왔다. 회관 운영은 군포문화재단이 맡고 있으며, 이 재단을 통해 지역 예술인과 시민 대상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된다.

공연 기능 면에서 군포문화예술회관은 규모 있는 대공연장과 수리홀(소공연장), 전시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 대공연장은 뮤지컬, 대형 콘서트, 클래식 연주 등 많은 관객을 수용하는 공연에 적합하고, 수리홀은 보다 친밀한 느낌의 연극, 실험 공연, 강연 등에 맞는 공간이다. 또한 회관 내 전시실은 지역 작가 혹은 외부 기획전 전시장으로 활용되며, 전시와 공연이 상호 보완하며 문화예술의 다양성을 담아내는 무대로 작동한다.

군포문화예술회관은 예술교육 기능도 중요하게 수행한다. 군포문화재단은 이 공간을 활용해 지역 주민 대상 강좌와 워크숍을 운영하며, 시민들이 예술 활동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를 통해 어린이,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문화예술 체험의 장이 제공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예술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3. 여담

또한 군포문화예술회관은 지역 문화 행사와 연계된 중심 공간으로 활용된다. 군포시 주최의 축제, 시민 음악회, 아트 페스티벌 등이 이 회관에서 열리며, 지역 예술가들의 작품 발표 무대로도 자주 사용된다. 특히 군포 미술협회와의 협업 전시회, 시민 합창단 공연, 지역 오케스트라 연주 등 지역 예술 단체와의 공동 프로젝트도 활발하다.

교통과 접근성 측면에서도 군포문화예술회관은 유리한 위치에 있다. 군포문화재단 안내에 따르면, 지하철 1호선 군포역과 금정역 등이 인접하며, 여기에 버스 노선도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어 대중교통을 통해 방문하기 편리하다. 또한 주차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는 시민들도 접근이 비교적 수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