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1:45:59

기가

1. 단어
1.1. SI 단위 접두어 giga(10의 9승)1.2. 중·고등학교 교과목 중 하나인 '기술·가정'의 줄임말
2. 고유명사3. '기가'가 표제어에 포함된 것

1. 단어

1.1. SI 단위 접두어 giga(10의 9승)

<colbgcolor=#ddd,#000> SI 접두어
배수 명칭 기호 <colbgcolor=#ddd,#000> 배수 명칭 기호
[math(10^1)] 데카 [math(\rm da)] [math(10^{-1})] 데시 [math(\rm d)]
[math(10^2)] 헥토 [math(\rm h)] [math(10^{-2})] 센티 [math(\rm c)]
[math(10^3)] 킬로 [math(\rm k)] [math(10^{-3})] 밀리 [math(\rm m)]
[math(10^6)] 메가 [math(\rm M)] [math(10^{-6})] 마이크로 [math(\textμ)]
[math(10^9)] 기가 [math(\rm G)] [math(10^{-9})] 나노 [math(\rm n)]
[math(10^{12})] 테라 [math(\rm T)] [math(10^{-12})] 피코 [math(\rm p)]
[math(10^{15})] 페타 [math(\rm P)] [math(10^{-15})] 펨토 [math(\rm f)]
[math(10^{18})] 엑사 [math(\rm E)] [math(10^{-18})] 아토 [math(\rm a)]
[math(10^{21})] 제타 [math(\rm Z)] [math(10^{-21})] 젭토 [math(\rm z)]
[math(10^{24})] 요타 [math(\rm Y)] [math(10^{-24})] 욕토 [math(\rm y)]
[math(10^{27})] 론나 [math(\rm R)] [math(10^{-27})] 론토 [math(\rm r)]
[math(10^{30})] 퀘타 [math(\rm Q)] [math(10^{-30})] 퀙토 [math(\rm q)]

10의 9 제곱(109, 10억)을 뜻하는 접두사. 그리스어 γίγας (gígas, 거인)에서 유래하였다.

영어에서 'g'는 [ㄱ]와 [ㅈ] 2개의 발음이 있기 때문에[1] 발음 논란이 좀 있다. 미국식 영어에서 그중에서도 특히 물리학계 같은 자연과학 분야에서 지가 라고 발음했었다. 그러나 '기가'라고 발음하던 컴퓨터 공학이 강세를 보이면서 미국에서도 1980년대를 전후로 하여 '지가'라는 발음은 사장되고 '기가'로 대체되었다. 가끔 '기그'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 109이지만 컴퓨터 분야에서 210(1024)을 흔히 103(1000)으로 표기하는 관행으로 인해[2] 대개 230에 해당한다. 때문에 분명 '기가'는 '10억'을 의미하지만, 컴퓨터에서는 230 = 10억 7374만 1824 바이트를 의미하게 된다. 즉, 10억보다 약 7% 더 많은 공간이 1기가바이트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억장치/표기 용량과 실제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109B는 GB, 230B는 GiB로 구별하여 표기하기도 한다.
    오늘날에 주로 '기가'라고 하면 주로 이것을 의미한다. 2000년대에 본격적으로 컴퓨터가 일반인에게 보급된 이래 하드 디스크의 가장 일반적인 단위였지만 2010년대 후반을 즈음하여 다음 단계인 '테라'가 자주 쓰이게 되었다. 2000년대 초중반만 해도 1테라 용량은 은행 같은 데서나 쓰던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 1기가미터(Gm)는 100만km(1000Mm)이다.
    다만 이 정도 되는 거리는 대개 천문학에서나 등장하는데 천문학에서는 후술할 천문단위광년(LY), 파섹(PS)을 쓰기 때문에 실제로 이 단위를 보는 일은 드물다.
  • 1기가초(Gs)는 약 31.7년이다. 위 기가미터와 마찬가지로 등의 더 긴 단위가 많으므로 잘 쓰이지 않는다.
  • 기가줄(GJ)
    • TNT 1톤의 위력은 4.194 기가줄이다.
  • 기가와트(GW)
    • 스타크래프트 2에 등장하는 드라켄 레이저 천공기의 출력은 175기가와트이다.
    • 우리나라 한해 평균 발전 전력은 약 70 GW(기가와트)이다.[3]
    • 2013년 추산 EDF는 자국에서 140.4 기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했다.
    • 스타워즈에 나오는 터보레이저의 출력은 900기가와트이다.

1.2. 중·고등학교 교과목 중 하나인 '기술·가정'의 줄임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실과(기술·가정)(교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고유명사

3. '기가'가 표제어에 포함된 것



[1] 대개 로망스어+영어에서 C와 함께 2개의 발음이 공존하며 각각을 soft c/g, hard c/g라고 부른다. 독일어 같은 여타 게르만어, 러시아어 같은 슬라브어 계열에는 이러한 현상이 없다. 근본적으로 라틴어 연구개음의 구개음화에 의한 현상이기 때문이다.[2] 이유인즉 기계는 이진법을 쓰지만 사람은 십진법을 쓰기 때문이다.[3] 한해 총 발전량과는 다름을 유의. 초당 발전량이 70 GJ(기가줄), 시간당 발전량이 70 GWh라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력량의 단위는 W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