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2:55

김옥균(고종, 군밤의 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조선의 역대 총리대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직함 이름 임기 정당 비고
취임 퇴임
통리기무아문 총리대신 1 박규수 1866년 1871년
개화당
을축변법 시행
명전법 시행
2 이유원 1871년 1880년 - 연병법 시행
국제 제정
영의정 겸 총리대신 3 홍순목 1880년 1884년 - 조일동맹 체결
교린삼장 반포
4 심순택 1884년 1888년 - 경복궁 중건
5 최익현 1888년 1892년
자유당
첫 직선 총리대신
신촌향약 시행
유라시아 동맹 체결
6 민태호 1892년 1894년
만민공산당
양력 및 개국 연호 도입
계사황란
7 김옥균 1894년 1898년
개화당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시행
을미정난
만국평화회의 개최
8 김홍집 1898년 1902년
자유당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시행
격치물성청 설치
9 전봉준 1902년 1906년
만민공산당
평양 아주대회 개최
10 김옥균 1906년 1912년
개화당
1910년 이후로 전시거국내각
11 박은식 1912년 현재
자유당
}}}}}}}}}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김옥균 내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속 직책 1기(1894~1898) 2기(1906~1912)
의정부 영의점 겸 총리대신 김옥균 김옥균
좌의정 어윤중 김홍집
우의정
이조 판서
호조 판서 이용익
재무참판
예조 판서 박영교
외무참판
문교참판 이건창
병조 판서 홍영식
형조 판서 서광범
공조 판서
공상참판
기기참판 변수
}}}}}}}}}
김옥균
金玉均
출생 1851년 2월 23일
충청우도 공주부 공주군
사망 남해 절도에서 파킨슨병으로 사망.[1]
본관 안동 김씨
백온(伯溫)
고균(古筠)
시호 충문(忠文)
당적 개화당
약력 경연관
동아시아철도회사 이사
개화당 영수
제7대 영의정 겸 총리대신
광통이도국 이사
제10대 영의정 겸 총리대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모 친부 김병태, 친모 은진 송씨
양부 김병기, 양모 풍양 조씨
부인 기계 유씨
자녀 1남 1녀[2]
사생아 김안장(안느장 푸아송-킴)
}}}}}}}}}
1. 개요2. 상세3. 행적4. 기타

[clearfix]

1. 개요

대체역사물 고종, 군밤의 왕에서 등장하는 김옥균이다.

2. 상세

김좌근의 조카 김병기의 양자. 나폴레옹 워너비. 정학 등 조선의 전통적인 가치를 근대화의 걸림돌이라고 생각한다. 원 역사대로 여자 관계가 아주 복잡하다.[3] 다른 점이 있다면 본처가 적자를 낳았다는 것.

3. 행적

귀남이 대원군에게 젊은 인재를 모아달라는 부탁을 한 결과 등용되어 경연관이 되었다. 함께 등용된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과 함께 사총이라고 불리며 친분을 쌓았다. 사총 중 가장 어리면서도 자신의 재주에 자부심이 강해 자기주장에 거리낌이 없다.

귀남이 추구하는 온건한 개혁과 도덕주의적 외교정책에 불만을 품던 차에 서태후의 조선파천을 주도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월권이었고 조정의 정책기조와도 어긋난 행동이었기에 반쯤 타의로 사직해야 했다.[4] 이후 귀남의 추천을 받아 서태후의 보좌관 겸 동철의 이사로 일하면서 여러 인간군상을 접해 정신적으로 조금은 성장했다. 유학은 이미 쓰임이 다했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지만.

박규수 사후 그저 벌열가의 모임이 된 개화당을 쇄신할 기회를 노린다. 벌열가의 자제인 만큼 반공 성향이 강하다. 그래서 만민공산당의 실체를 밝히겠다고 이완용을 이용해 공작을 시도했다가 이완용이 정보를 흘리면서 실패하고 귀남에게 어떤 일이든 깊이 생각한 연후에 행하고 사람을 좀 가려서 사귀라는 조언(?)을 들었다. 이후 자신의 부족한 점이 공산당, 자유당의 경쟁자들과 같은 대의가 없음을 깨닫고 대의를 고민하던 중 민족주의를 생각해낸다.

제2회 전국 추거를 앞두고 개화당과 척을 지게 된 이완용이 자유당에서 자신의 입지를 만들기 위해 명문세족들의 부정부패를 기삿거리로 만들었는데, 귀남이 이를 해결하고자 김옥균에게 결자해지 겸 대미지 컨트롤 수단으로 가문의 잘못을 스스로 폭로하라 지시한다. 이에 이를 기회로 돈을 풀어 민심을 잡으면서 자신을 좋게 보지 않는 벌열가 원로들을 뒷전으로 밀려나게 하고 개화당의 권력을 잡아 민족주의를 기치로 신분의 벽을 허물고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한 초석을 다지려 한다.

박정양이 당 영수 자리에서 물러난 뒤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리고 기세를 몰아 민태호의 사임으로 치러진 총리대신 보궐 선거에서 경제 공약을 내세워 당선, 영상의 자리에 오른다. 역대 총리대신 중 가장 급진적이고 재기 넘치는 인물인 만큼 기무회의에서 귀남이 흔히 도맡던 참신한 발상 내놓는 역할을 채갔는데, 이 일을 소소한 보람으로 여기던 귀남은 부럽기도 하고 못내 질투나기도 하는 모양.

이후 보궐선거로 인한 임기가 끝나가고 있는 상황에서도 의욕이 남은지라 자신의 임기를 연장하려고 하다 흥선대원군에게 한소리 듣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충고를 듣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원군이 세상을 떠나면서 알아서 분위기를 파악하고 얌전히 임기 연장안을 철회했다.

본디 나폴레옹 워너비이자 극한의 실용주의자였으나 최익현이 부르짖는 명분론이 작중의 조선에게 실익이 된 것이 분명한 사실이었기에 자신의 가치관에 혼란을 느꼈고 결국 조선이 세계에 맞출 수 없다면 세계를 조선에 맞추면 된다는 방식으로 전환, 명분론도 수용하는 방향으로 가치관을 바꾸게 된다. 작중 조선측 등장인물 중 유일하게 대서의 큰 전란을 예견하여 건함을 서두를 것을 귀남옹에게 간하지만, 과연 조선의 역량으로 구주 나라들의 해군을 따라잡을 수 있겠느냐는 반문에 일단 갓 창설한 개화당 직속 싱크탱크가 군부 정강사[5] 이름을 빌려 이를 연구해 보기로 한다.

1906년 총리대신 추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1913년, 종전이 다가오는 시점에서 만국연합과 이와 관련된 국제정세에 대하여 박은식과 함께 어전에서 논의하던 중, 돌연 주상이 양위하겠다고 이야기하자 기겁하여 제일 먼저 엎드려 박은식과 함께 만류한다. 한 시진 지난 후엔 안양대군을 만나 그에게 아버지를 말려달라고 부탁 받지만 돌연 주상의 선언에 일조했다고 말해 안양대군을 아연하게 만든다. 주상이 말하는 것이 선대시절 양위 쇼 같은 게 아니라 정말 진심으로 말하는 것을 알자 엎드린지 일각도 지나지 않아 찬성하는 쪽으로 태도를 바꿨고 이를 지켜보던 박은식과 사관은 기겁한다. 주상의 덕으로 동양의 평화를 유지하고 구주에 종전을 가져온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그만큼 그 빈자리가 클 것을 예상했기 때문에 차라리 귀남이 상왕이 되어 여러 나라를 주유하며 평화대사로 활동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판단으로 양위에 찬동한 것. 물론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 한동안 팔도 전역에서 악평 쏟아질 것도 각오하고 있지만 마음 착한 주상이 감싸주지 않겠냐며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넘기는 중이다.

이후 개화당 당사로 돌아갈 생각을 하던 차에 파킨슨병에 걸리고 만다. 만년에 고질 하나쯤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냐만, '멋지지 않은 고균은 고균이 아니다'는 생각에 주변에 사정을 알리지 않고 남해 절도에 있는 별장에 칩거하였다.

그 후 귀남의 묘호가 정해지고 사흘이 지난 뒤 고종대왕 행장 초고를 완성하고 숨을 거두었다. 왕이 성인도, 현인도 아니었지만 성(聖)이라고 칭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공덕을 이루었다며 성(聖)이면서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하는 경지, 곧 신(神)이라고 평했다. 최종적으로 귀남보다 몇 개월 더 오래 살았다. 사후 시호로 선조 김조순과 동일한 '충문'을 받았다. 옥균이 희대의 명신으로 남아 이제 충문공이라 하면 옥균을 떠올리지 누구도 김조순을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이런 평가와는 별개로 귀남이 양위하는 것을 말리기는커녕 외려 부추겼다는 행적 때문인지 주상의 양위를 부추긴 업보로 병에 걸렸다느니 같은 묘하게 미움받는 야사가 돌기도 하는 모양이다(...).

다만 미래를 잠시 보고온 귀남이 김옥균이 말년에 골골대는걸 안타깝게 여겨 김옥균을 치료할 방법을 강구하려 한다. 어쩌면 치료법을 발견해 역사가 바뀌어 고생도 덜 하고 더 오래 살지도 모를일이다.

4. 기타

프랑스 유학 당시 그랑제꼴에서 학위를 수여받았고, 때문에 종종 프랑스 출신 인물들과 얽힐 때 학벌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1] 1930년대에 졸한 것으로 추정되는 김귀남보다 수 년 정도 더 살았다. 따라서 몰년도 그 즈음으로 추정된다.[2] 1남은 가공의 인물이다. 원 역사에서 옥균은 정실 유씨 사이에서 딸 하나만 얻었다.[3] 프랑스 유학 중 관계를 맺은 여인이 최소 3명이며, 심지어 그 중 한명이 낳은 사생아가 있다. 안느장이라 이름 붙여진 이 아들은 본디 아버지에 대해 조선에서 온 귀공자 킴이라고 이름만 알다 김옥균의 이름이 서구에 알려지면서 혹시나 하고 찾아와서 어머니께 들은 이야기를 했는데 딱 들어맞아 일단 김옥균의 비서로 일한다.[4] 귀남 왈, 그대의 재능이 쓰이기에는 이 나라가 너무 작네.[5] 개화하고 얼마 후 대원군이 운현궁에 무관들 불러모아 북벌 논하던 모임의 이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