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남도 광양군) | ||||
제헌헌법 공포 | → | 초대 김옥주 | → | 2대 엄상섭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김옥주 金沃周 | |
<colbgcolor=#f0ed30><colcolor=#000> 출생 | 1915년 6월 3일 |
전라남도 광양군 진상면 지원리 지랑마을[1] | |
사망 | 1980년 9월 12일 (향년 65세) |
평양시 | |
학력 | 광양공립보통학교 (졸업)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전문부 (법률과 / 졸업) |
가족 | 형 김선주 |
의원 선수 | 1 |
의원 대수 | 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제6대 국회의원 김선주가 그의 형이다.2. 생애
1915년 6월 3일 전라남도 광양군(現 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지랑마을의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광양공립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일본 와세다대학 전문부 법률과를 졸업하였다.[2]와세다대학 재학 시절 불온 학생으로 예비검속 대상이 되기도 했다. 졸업 후에는 귀국해 평안남도 순천시에 있던 조선화학공업주식회사에 입사하였는데, 사원으로 재직 중 조선인 노동자 대우 개선 투쟁을 전개하다가 반일사상 혐의로 10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8.15 광복 후 광양 진상국민학교 교사를 역임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광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6월 대한민국 헌법 및 정부조직법을 기초할 때 기초위원으로 참여했고 10월 여순사건에 연루되었다.
1949년 3월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 6년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다. 이듬해인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출옥하였는데, 그 해 7월 노일환 등과 함께 월북하였다.
이후 1957년 7월 재북평화통일협의회(在北平和統一協議會) 상무위원을 역임하다가 1959년 1월 숙청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지병인 위장병을 앓다가 1980년 9월 12일 북한 평양시에서 사망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남 광양군[3])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978표 (53.55%) | 당선 (1위) | 초선[4] |
4. 둘러보기
전라남도 제헌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광주 | 담양 | 곡성 | ||
정광호 | 강선명 | 박종남 | 정균식 | 서우석 | |
구례 | 여수 을 | 순천 갑 | |||
김종선 | 공석 | 김문평 | 황병규 | 황두연 | |
순천 을 | 고흥 갑 | 고흥 을 | 보성 | 화순 | |
조옥현 | 오석주 | 류성갑 | 이정래 | 조국현 | |
장흥 | 강진 | 해남 갑 | 해남 을 | 영암 | |
김중기 | 차경모 | 송봉해 | 이성학 | 김준연 | |
무안 갑 | 무안 을 | 나주 갑 | 나주 을 | 함평 | |
김용현 | 장홍염 | 이항발 | 김상호 | 이성우 | |
영광 | 장성 | 완도 | 진도 | ||
조영규 | 김상순 | 김장열 | 공석 | ||
* 목포 이남규 사퇴 (1948.10.18.) * 광양 김옥주 자격상실 * 진도 김병회 자격상실 | |||||
제2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