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AGT | 철제 차륜 | ||||||||||
부산김해경전철 | 인천 2호선 | 우이신설선 | ||||||||||
김포 골드라인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
고무 차륜 | ||||||||||||
부산 4호선 | 의정부 경전철 | 신림선 | ||||||||||
| | | ||||||||||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 ||||||||||||
대구 3호선 | ||||||||||||
LIM | ||||||||||||
용인 에버라인 | ||||||||||||
노면전차 (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 |
동남권 전철 노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부산김해경전철 | 동해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건설 중 1 | 계획 중 2 | |||||
5호선 |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 ||||||
추진 중 3 | |||||||
강서선 | |||||||
1 실착공 상태 2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법적 착공 포함 3 기본 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
회색: 노선 색상 미확정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 김해 트램 金海 公交车 Gimhae Tram | }}} | ||||
<nopad> | |||||||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노면전차) | ||||||
기점 | 수로왕릉역 | ||||||
종점 | 장유역 | ||||||
역 수 | 41개소 | ||||||
구성노선 | 김해트램 | ||||||
개업일 | 미정 | ||||||
소유자 | 김해시 | ||||||
운영자 | 미정 | ||||||
사용차량 | 노면전차 | ||||||
차량기지 | 미정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6.65km | ||||||
선로 수 | 1(단선) | ||||||
통행 방향 | 우측통행 |
1. 개요
|
김해 트램 노선도 |
수로왕릉역에서는 부산김해경전철로 환승이 가능하며 장유역에서는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연계된다.
2. 역사
2001년 12월 제1차 지방5대도시권 광역교통5개년계획에 포함된 것이 이 노선의 시발점이였다. 이후 2004년에 2020년 부산권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되었고, 2007년 11월 21일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의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 포함되었다. 2008년 6월, 부산 도시철도기본계획 용역 착수전 (안)에 당 노선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7월에 김해시에서도 경전철 추진을 구상하였다.이후 2022년 8월, 김해시가 3개의 도시철도 노선을 본격 추진하였고,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 신청을 하였다. 당시 계획으로는 1, 2호선을 2029년에 동시 착공하여 2034년에 완공 예정이었으며, 3호선은 장기계획으로 2040년 완공 예정이었다.
2023년 4월,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확정되었으며 확정된 노선으로는 김해 1~3호선과 창원 1~3호선이 있다.[3]
2025년 8월, 김해시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신청했다. 수로왕릉역~주촌선천지구~장유역~율하지구, 총연장 26.65㎞, 정거장 41개소로 계획됐고 수소 기반 3모듈 친환경 트램 차량이 투입된다. 운행 간격은 10분,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30년 기준 47,663명으로 예상되고 사업비는 약 6954억원 규모다. 사전타당성조사에서 타당성(B/C) 0.67로, 기준치인 1.0에 미달해 경제성만으로는 사업성이 낮지만 정책적 필요성, 균형발전, 탄소중립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고, 대통령 공약이라는 가점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