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경전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AGT | 철제 차륜 | ||||||||||
부산김해경전철 | 인천 2호선 | 우이신설선 | ||||||||||
김포 골드라인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 ||||||||||
고무 차륜 | ||||||||||||
부산 4호선 | 의정부 경전철 | 신림선 | ||||||||||
| | | ||||||||||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 ||||||||||||
대구 3호선 | ||||||||||||
LIM | ||||||||||||
용인 에버라인 | ||||||||||||
노면전차 (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 |
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부산김해경전철 | 동해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건설 중 | 건설 확정 1 | |||||
5호선 | |||||||
C-BAY-Park선 | |||||||
추진 중 2 | |||||||
강서선 | 송도선 | ||||||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 ||||||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법적 착공 포함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
회색: 노선색상 미확정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8181d> | 울산 도시철도 2호선 蔚山 都市鐵道 二號線 Ulsan Metro Line 2 | }}} | ||||
<nopad> | |||||||
노선도 | |||||||
| |||||||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노면전차) | ||||||
총사업비 | 4,400억 원[1] | ||||||
기점 | 북울산[2] | ||||||
종점 | 214정거장(야음사거리) | ||||||
역 수 | 14개 | ||||||
구성노선 | 울산 도시철도 2호선 | ||||||
개업일 | 2030예비타당성조사 통과시 | ||||||
소유자 | 울산광역시 | ||||||
운영자 | 미정 | ||||||
사용차량 | 수소전기트램 | ||||||
차량기지 | 효문공단 (예정)[3]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3.69㎞ | ||||||
궤간 | 미확정[4] | ||||||
선로구성 | 복선[5] | ||||||
동력원 | 수소연료전지, 전기 배터리 | ||||||
표정속도 | 24.77㎞/h[6] | ||||||
지상 구간 | 전 구간 | ||||||
통행 방향 | 우측통행 |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에서 2029년 이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울산 도시철도의 두 번째 노선으로, 북울산역과 야음사거리를 잇는다.2. 상세
번영로를 중심축으로 하여 지어질 노선으로, 울산공항에서부터 울산경제진흥원앞까지 약 2.6km 구간에서는 동해남부선 이설에 따른 폐선구간 부지를 활용하여 운행할 예정이고[7] 나머지 구간은 노면에 철로가 지어질 예정이다. 투입될 열차는 수소전기트램이고 차량기지는 효문공단에 지어질 계획이다. 1호선이 태화강역과 신복로터리를 잇는 동서축 노선이라면, 2호선은 울산공항, 시립미술관, 문화예술회관 등 북구, 중구, 남구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남북축 노선이라 할 수 있다.[8] 번영사거리(울산 도시철도 1호선/104정거장)에서 1호선, 효문동 행정복지센터에서 3호선, 복산성당 앞에서 4호선, 그리고 북울산역에서 동해선 광역전철과 환승할 수 있게 연계할 예정이다.울산 도시철도 2호선이 2020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사업으로는 선정되지 못하였다.[9] 시는 2021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사업으로 재신청할 계획이다. #
2021년 8월, 울산 도시철도 2호선이 예타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 당초 2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는 2023년 내로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울산 도시철도 1, 2호선 모두 경제성 부족이 지적되자 울산시 측에서 울산 도시철도 2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취소를 요청했다.
2023년 8월 23일 1호선이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하여 2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가능성이 약간이나마 올라갔다.울산지방언론기사
2024년 8월 28일, 울산광역시는 울산 도시철도 2호선을 10월~11월에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며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할 경우 울산 도시철도 2호선이 2030년에 개통 가능하다고 밝혔다. 울산광역시 측은 울산공항에서 효문동까지 2.6km 구간은 동해남부선 이설로 인한 폐선부지를 활용해 사업비를 4400여 억원대까지 절감 가능하다고 밝혔다.#
3. 역 목록
역번 및 역명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
2021년 당시 14개 역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넣었다가 취소한 상태로, 북구에서 폐선 부지에 정거장 3개 추가 신설을 요청한 적 있기 때문에 역이 더 늘어날 수 있다.[10]
역번 | ㎞ |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201 | 0.0 | 북울산 | 北蔚山 | ||||
202 | ? | 202정거장 | |||||
203 | ? | 203정거장 | |||||
204 | ? | 204정거장 | |||||
205 | ? | 205정거장 | |||||
206 | ? | 206정거장 | -- ● 울산 3호선 -- | ||||
207 | ? | 207정거장 | |||||
208 | ? | 208정거장 | |||||
209 | ? | 209정거장 | -- ● 울산 4호선 -- | ||||
210 | ? | 210정거장 | |||||
211 | ? | 211정거장 | |||||
212 | ? | 212정거장 | ● 울산 1호선 | ||||
213 | ? | 213정거장 | |||||
214 | 13.69 | 214정거장[11] |
4. 논란
4.1.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 활용
- 북구 일각에서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울산 도시철도 2호선을 건설할 경우 철도 소음과 도심 단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반대하고 있다. # 그러나 트램 부지는 일반 기차와 다르게 도심재생의 역할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고 소음 피해가 심하지 않다. 이후 울산시 관계자 및 해당 문제를 제기한 관련 시민단체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분원을 방문하여 트램 시승 및 기술 설명을 들은 뒤 소음 및 진동이 우려할 필요가 없는 수준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트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생긴 일종의 해프닝으로 일단락된 셈. #
4.2. 개운포역 미연계
- 야음사거리에서 수암로를 타고 남동쪽으로 내려가면 동해선 광역전철이 지나가기 때문에 2호선을 개운포역까지 더 연장하거나, 태화강역과 개운포역 사이[12]에 동해선 추가역을 신설해서 환승하자는 의견도 있으나, 해당 지역은 철도 주변이 모두 완충녹지로 설정되어 있는 데다, 바로 건너편에 가급 국가중요시설인 울산석유화학단지가 위치해 있어 국가안보 및 보안상의 이유로 노선 연장이 무산된 것으로 추정된다.[13]
5. 미래
5.1. 불국사역, 포항역까지 연장 추진
- 경주시와 포항시 그리고 울산광역시 세 도시가 모여서 결사된 게 '해오름동맹'인데 최근 이 동맹도시들이 모여 2호선을 불국사역 또는 포항역까지의 연장 방안을 두고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세히 말하자면 포항역은 장기적으로 추진, 불국사역은 경주시와 이번 협의하면서 의논이 되었으며 수소트램 건설 타당성 용역을 공동으로 시행해 최적 노선을 선정하고, 수요와 비용, 경제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6. 여담
- 울산 북구청, 중구청, 남구청을 모두 경유하는 노선이다.
[1] 2024년 울산광역시 자체 추산액[2] 추후 불국사역까지 연장 추진중[3] 원래 계획은 북울산역 인근이었으나 경제성을 고려해 변경되었다.[4] 표준궤가 될 가능성이 높다.[5] 일부 구간 단선, 단선병렬[6] 울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추정[7] 울산시 계획으로는 폐선구간 부지에 3개 정거장을 건설할 예정이다.[8] 선로상으로도 북구청, 중구청, 남구청을 모두 지나간다.[9] 기획재정부는 도시철도의 경우 2개 노선을 동시에 예타 대상으로 선정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2호선은 선정되지 못한 것이라 하였다.[10] 진장역 설치 요구가 대표적이다.[11] 동해남부선 야음역에서 서쪽으로 약 1.1km 떨어진 곳.[12] 야음동 변전소사거리 일대[13] 해당 석유화학단지 지역은 태화강 건너 울산대교 전망대의 망원경 배율까지도 조정해야 할 만큼 보안상 민감한 지역이다. 같은 이유로 국내 위성지도에서 권역단위로 블러 처리되어 서비스되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마저도 다음지도 위성사진 서비스 첫 해 당시에는 군사관련시설처럼 논밭으로 합성했다가, 도심지 인근에 운정신도시보다 더 큰 면적이 논과 밭인 건 말이 안 된다고 판단한 건지 이후로는 블러로만 처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