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표정속도(表定速度 / Commercial speed 또는 Scheduled speed)는 교통수단의 운행거리를 정차시간을 포함한 소요시간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1] 쉽게 말해서 표준속도이자 실질적인 속도이다. 특히 철도계에서 많이 쓰인다. 운행의 빠르기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가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정차시간을 포함하는 이유는 정차하지 않을 때의 평균 속도는 정차시간이 길어지면 실질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그만큼 교통수단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2. 수도권 전철
- 2024년 3월 25일, 07시 이후 하행 첫 차 기준
- 표정속도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 계산식: [math(\displaystyle \text{표정속도(km/h)} = \frac{\text{거리(km)}}{\text{소요시간(분)}} \times 60\text{(분/h)})]
노선명 | 운행계통 | 운행구간 | 거리(km) | 소요시간(분) | 표정속도(km/h) | 기타 | |
| - | 경원선/경인선 완행 | 연천역 ~ 인천역 | 107.2 | 171 | 37.6 | |
경부선/장항선 완행 | 광운대역 ~ 신창역 | 129.3 | 174 | 44.6 | |||
경부선 완행 | 의정부역 ~ 서동탄역 | 64.2 | 109 | 35.3 | |||
동두천 급행 | 동두천역 ~ 인천역 | 86.9 | 139 | 37.5 | [2] | ||
동인천 급행 | 용산역 ~ 동인천역 | 33.6 | 48 | 42.0 | |||
동인천 특급 | 용산역 ~ 동인천역 | 33.6 | 43 | 46.9 | |||
경부선 A급행 | 청량리역 ~ 천안역[3] | 123.8 | 145 | 51.2 | [4] | ||
경부선 B급행 | 서울역(지상) ~ 천안역[5] | 96.6 | 91 | 63.7 | |||
광명셔틀 | 영등포역 ~ 광명역 | 12.9 | 20 | 38.7 | |||
| 을지로순환선 | - | 시청역 ~ 시청역 | 48.8 | 91 | 32.2 | |
성수지선 | 성수역 ~ 신설동역 | 5.4 | 9 | 36.0 | |||
신정지선 | 신도림역 ~ 까치산역 | 6.0 | 11 | 32.7 | |||
| - | 전 구간 | 대화역 ~ 오금역 | 57.4 | 96 | 35.9 | |
서울 지하철 3호선 | - | 지축역 ~ 오금역 | 38.2 | 68 | 33.7 | ||
일산선 | 대화역 ~ 지축역 | 19.2 | 28 | 41.1 | |||
| - | 진접선 계통 | 진접역 ~ 사당역 | 43.7 | 69 | 38.0 | |
과천선·안산선 계통 | 불암산역 ~ 오이도역 | 71.5 | 115 | 37.3 | |||
안산선 급행 | 불암산역 ~ 오이도역 | 71.5 | 110 | 39.0 | [6] | ||
진접선 | - | 진접역 ~ 불암산역 | 14.2 | 15 | 56.8 | ||
서울 지하철 4호선 | 불암산역 ~ 남태령역 | 31.1 | 56 | 33.3 | |||
과천선 | 남태령역 ~ 금정역 | 14.4 | 22 | 39.3 | |||
안산선 | 금정역 ~ 오이도역 | 26.0 | 37 | 42.2 | |||
| - | 본선 계통 | 방화역 ~ 하남검단산역 | 52.9 | 98 | 32.4 | |
마천지선 계통 | 방화역 ~ 마천역 | 47.6 | 89 | 32.1 | |||
서울 지하철 5호선 | - | 방화역 ~ 상일동역 | 45.2 | 85 | 31.9 | ||
하남선 | 상일동역 ~ 하남검단산역 | 7.7 | 13 | 35.5 | |||
마천지선 | 강동역 ~ 마천역 | 7.1 | 14 | 30.4 | |||
| 본선 | - | 응암역 ~ 신내역 | 29.8 | 62 | 28.8 | |
응암순환선 | 응암역 ~ 응암역 | 6.6 | 13 | 30.5 | |||
| - | 전 구간 | 장암역 ~ 석남역 | 61.3 | 113 | 32.5 |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전 구간 | 암사역 ~ 모란역 | 17.7 | 33 | 32.2 | |
| - | 일반 | 개화역 ~ 중앙보훈병원역 | 40.6 | 93 | 26.2 | |
급행 | 김포공항역 ~ 중앙보훈병원역 | 37.0 | 60 | 37.0 | |||
| - | 전 구간 | 판교역 ~ 여주역 | 56.0 | 49 | 68.6[전국] | |
| - | 본선 계통 | 문산역 ~ 용문역[8] | 122.3 | 177 | 41.5 | |
서울역 지선 계통 | 문산역 ~ 서울역 | 46.3 | 63 | 44.1 | |||
서울역 급행 | 문산역 ~ 서울역 | 46.3 | 56 | 49.6 | |||
경의선 구간 급행 | 문산역 ~ 용문역 | 118.7 | 158 | 45.1 | [9] | ||
중앙선 구간 급행 | 수색역 ~ 용문역 | 80.5 | 107 | 45.1 | [10] | ||
임진강 셔틀 | 임진강역 ~ 문산역 | 6.0 | 11 | 32.7 | |||
도라산 셔틀 | 도라산역 ~ 임진강역 | 3.7 | 5 | 44.4 | [11] | ||
| - | 본선 계통 | 청량리역 ~ 춘천역 | 85.3 | 95 | 55.9 | |
본선 계통 | 상봉역 ~ 춘천역 | 81.3 | 81 | 60.2 | |||
본선 급행 | 청량리역 ~ 춘천역 | 85.3 | 80 | 64 | |||
| - | 일반 | 서울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 | 63.8 | 67 | 58.1 | |
직통 | 서울역 ~ 인천공항2터미널역 | 63.8 | 52 | 75.3 | |||
| - | 전 구간 | 일산역 ~ 원시역 | 47.2 | 69 | 41.0 | |
| - | 전 구간 | 왕십리역[12] ~ 인천역 | 106.9 | 163 | 39.3 | |
분당선 급행 | 왕십리역 ~ 고색역 | 55.6 | 81 | 41.2 | [13] | ||
수인선 급행 | 오이도역 ~ 인천역 | 19.9 | 23 | 51.9 | |||
경원선 | - | 청량리역 ~ 왕십리역 | 2.4 | 5 | 28.8 | ||
분당선 | 왕십리역 ~ 수원역 | 52.9 | 86 | 36.9 | |||
수인선 | 수원역 ~ 인천역 | 51.6 | 71 | 43.6 | |||
| - | 전 구간 | 신사역 ~ 광교역 | 33.7 | 42 | 48.0 | |
새서울철도 구간 | - | 신사역 ~ 강남역 | 2.4 | 5 | 28.8 | ||
신분당선(기업) 구간 | 강남역 ~ 정자역 | 17.3 | 16 | 64.9 | |||
경기철도 구간 | 정자역 ~ 광교역 | 13.7 | 20 | 41.1 | |||
| - | 전 구간 | 양촌역 ~ 김포공항역 | 23.6 | 32 | 45.0 | |
| - | 전 구간 | 샛강역 ~ 관악산역 | 7.5 | 17 | 26.5 | |
| - | 전 구간 | 기흥역 ~ 전대·에버랜드역 | 18.0 | 26 | 41.5 | |
| - | 전 구간 | 북한산우이역 ~ 신설동역 | 11.0 | 23 | 28.7 | |
| - | 전 구간 | 발곡역 ~ 차량기지임시승강장 | 11.3 | 24 | 28.2 | |
| - | 전 구간 | 계양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30.3 | 56 | 32.5 | |
| - | 전 구간 | 검단오류역 ~ 운연역 | 29.1 | 54 | 32.3 |
3. 비수도권 전철
동남권 전철 | |||||||
노선명 | 운행계통 | 운행구간 | 거리(km) | 소요시간(분) | 표정속도(km/h) | 기타 | |
부산 1호선 | - | 전 구간 | 다대포해수욕장역 ~ 노포역 | 40.6 | 79 | 30.8 | |
부산 2호선 | - | 전 구간 | 장산역 ~ 양산역 | 45.2 | 86 | 31.5 | |
부산 3호선 | - | 전 구간 | 수영역 ~ 대저역 | 18.1 | 34 | 31.9 | |
부산 4호선 | - | 전 구간 | 미남역 ~ 안평역 | 12.0 | 25 | 28.8 | |
부산김해경전철 | - | 전 구간 | 사상역 ~ 가야대역 | 22.6 | 41 | 33.1 | |
동해선 광역전철 | - | 전 구간 | 부전역 ~ 태화강역 | 63.8 | 81[14] | 47.3[15] | |
대구 도시철도 | |||||||
노선명 | 운행계통 | 운행구간 | 거리(km) | 소요시간(분) | 표정속도(km/h) | 기타 | |
대구 1호선 | - | 전 구간 | 설화명곡역 ~ 안심역 | 28.4 | 55 | 31.0 | |
대구 2호선 | - | 전 구간 | 문양역 ~ 영남대역 | 31.4 | 55 | 34.3 | |
대구 3호선 | - | 전 구간 | 칠곡경대병원역 ~ 용지역 | 23.1 | 49 | 28.3 | |
광주 도시철도 | |||||||
노선명 | 운행계통 | 운행구간 | 거리(km) | 소요시간(분) | 표정속도(km/h) | 기타 | |
광주 1호선 | - | 전 구간 | 녹동역 ~ 평동역 | 20.6 | 38 | 32.5 | |
대전 도시철도 | |||||||
노선명 | 운행계통 | 운행구간 | 거리(km) | 소요시간(분) | 표정속도(km/h) | 기타 | |
대전 1호선 | - | 전 구간 | 판암역 ~ 반석역 | 22.7 | 40 | 30.7 |
4. 고속철도
- 2020년 7월 14일 기준
- 출처: 레츠코레일 홈페이지
- 열차의 열번 순으로 작성하였다. 중간역, 행신역 발착과 호남선 계통 서울역 발착은 생략하였다.
열차 등급 | 운행 계통 | 운행구간 | 표정속도 |
KTX | 경부고속선 | 서울역~부산역 | 144.8~185.5㎞/h |
SRT | 경부고속선 | 수서역~부산역 | 143.7~186.0㎞/h |
SRT | 호남고속선 | 수서역~광주송정역/목포역 | 140.6~190.9㎞/h |
KTX | 호남고속선 | 용산역~광주송정역/목포역 | 139.8~203.0㎞/h |
KTX | 경부고속선-동해선 | 서울역~포항역 | 136.0~161.9㎞/h |
KTX | 경부고속선 (수원 경유) | 서울역~부산역 | 124.1~136.0㎞/h |
KTX | 경부고속선-경전선 | 서울역~진주역/마산역 | 121.1~141.1㎞/h |
KTX | 경부고속선 (구포 경유) | 서울역~부산역 | 120.0~141.1㎞/h |
KTX | 경강선 | 청량리역~강릉역 | 114.8~148.9㎞/h |
KTX | 경강선-영동선 | 청량리역~동해역 | 113.5~122.7㎞/h |
KTX | 호남고속선-전라선 | 용산역~여수엑스포역 | 105.8~146.9㎞/h |
KTX | 경강선 (서울역 착발) | 서울역~강릉역 | 105.2~123.5㎞/h |
KTX | 호남고속선(서대전 경유)[16] | 용산역~익산역/목포역/여수엑스포역 | 102.5~121.9㎞/h |
KTX | 경강선-영동선 | 서울역~동해역 | 98.5~103.5㎞/h |
철도사전 등에서는 특급열차의 표정속도는 열차의 최고속도의 70~80%가 적정한 수준이라고 하는데 한국의 KTX는 이에 못미치는 실정이다. 서울-부산 KTX의 운행시간은 정차역이 최소일 때 2시간 17분이 소요되므로 표정속도는 대략 183km/h. 최고속도인 305km/h의 60% 수준이다. 비교하자면 일본 도카이도 신칸센의 경우 최고속도 285km/h에 표정속도 최고 220km/h(최속달 노조미)로, 77% 정도다.
낮은 표정속도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은 인구밀도가 높아 많은 역을 집어넣을 수밖에 없고, 인구밀도가 낮아 역 사이 공백지가 많은 프랑스의 사정에 맞춰 설계한 TGV에 기반을 둔 KTX의 표정속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지역 이기주의와 정치논리로 고속철도가 꼭 정차할 필요 없는 소도시에까지 너무 많은 정차역을 만들고 선로도 무리하게 뒤틀어 이름 뿐인 고속철도가 되었다는 비판적 견해도 있다.[17] 하지만 실제로 KTX의 표정속도가 낮아진 주 원인은 2020년 현재, 일반열차와 선로를 공유해 기존선을 지나가야 하는 서울 시내구간에서의 속도 감소 문제가 제일 크다. 서울-대전-동대구-부산(서대동부)만 정차하는 KTX가 현재 최단 소요시간이 2시간 15분인데, 서울 - 광명간 기존선(시흥연결선 포함) 20여km 운행에서 평균 15분이 소요되고 있다. 현재 경부선 KTX는 최단 소요시간 열차 기준으로 광명 ~ 부산의 고속선 구간에서는 202 ~ 203km/h의 준수한 표정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적정 표정속도라 할 수 있는 최고속도의 70%에 근접하는 수치다.[18]
표정속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도입되는 KTX-청룡은 동력분산식으로 제작되었다. 동력분산식으로 만들 경우 가감속에 유리해 정차에 의한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어서 정차역이 많은 한국 특성에 잘 맞는다.
[1] 정차시간을 제외한 순 소요시간으로 나눈 값은 평균속도로 칭한다.[2] 급행운전 구간: 동두천역 ~ 광운대역 34.9km, 40분, 52.4km/h[3] 일부 시간대에는 신창역에서 시종착[4] 급행운전 구간: 가산디지털단지역 ~ 두정역 79.5km, 72분, 66.2km/h[5] 일부 시간대에는 신창역에서 급행열차 출발[6] 급행운전 구간: 산본역 ~ 정왕역 22.3km, 24분, 55.8km/h[전국] 광역전철 / 도시철도 중 1위[8] 일부 시간대에는 지평역에서 시종착[9] 급행운전 구간: 문산역 ~ 용산역 47.5km, 58분, 49.1km/h[10] 급행운전 구간: 이촌역 ~ 용문역 69.3km, 84분, 49.5km/h[11] 해당 운행계통은 현재 운행중단 중이기에, 이 항목의 표정속도만 2022년 1월 운행시간표로부터 산출되었다.[12] 일부 시간대에는 청량리역에서 시종착[13] 급행운전 구간: 죽전역 ~ 수원역 19.3km, 22분, 52.6km/h[14] 노대피 시 76[15] 노대피 시 50.4[16] 운행계통은 호남고속선 서대전경유이나 호남고속선을 1도 이용을 안 한다.[17] 이런 이유로 흔히 비판받는 오송역이나 공주역, 김천구미역이 설치된 건 충북도와 충남도, 경북도에서 제기한 "정차역도 없이 열차만 다니게 땅만 내주는 것은 불합리하다"하는 의견을 받아들인 측면이 크다.[18] 생각보다 경부고속선 대전, 대구 도심구간은 KTX 표정속도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 어쨌든 舊 대전북연결선 구간이 열차 운행에서 취약개소인 것은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선형개량이 계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