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평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9d537><colcolor=#569a49> 수도권 | 안성평야 | 여주평야 | 김포평야 | |
파주평야 | 부평평야 | ||||
강원도 | 철원평야 | 소야평야 | |||
충청도 | 예당평야 | 장남평야 | |||
전라도 | 호남평야 김제평야 | 만경평야 | 논산평야 | 나주평야 | |||
경상도 | 김해평야 | 상주평야 | 금호평야 | 진영평야 | |
황해도 | 재령평야 | 연백평야 | 취야평야 | ||
평안도 | 평양평야 낙랑평야 | 강동평야 | 안주평야(열두삼천리벌) 평원평야 | |||
용천평야 | 박천평야 | 정주평야 | |||
함경도 | 함흥평야 정평평야 | 영흥평야 | 안변평야 | ||
수성평야 | 길주평야 | }}}}}}}}} |
김해평야 金海平野 | |
<colbgcolor=#fff,#1f2023>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일대, 경상남도 김해시 |
규모 | 면적 130km², 너비 6~12㎞, 길이 20㎞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평야. 원래는 이름처럼 김해에 있었으나 부산이 확장하면서 대부분 부산으로 넘어갔다.[1]2. 특징
부산시내에 분산된 평지들을 모은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낙동강 하구가 퇴적되면서 생겨난 삼각주 위에 생겨났다보니 대저도를 비롯해 섬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하지만 토사가 퇴적되어 생겨났기 때문에 엄청난 연약지반이다. 기반암이 70m 아래[2]에 있어 지하차도와 지하철을 놓기 어렵다. 그렇다보니 부산김해경전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모두 지상으로 다니고 계획 중인 강서선도 트램으로 계획되어 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최첨단 기술로 야심차게 도전했으나 부전-마산 복선전철 터널 붕괴 사고가 일어나 잠정중단 되었다.부산광역시 시가지가 포화되자 논밭밖에 없었던 이곳에도 개발붐이 일어나고 있다.[3] 그린벨트가 대량 해제되면서 거대한 신도시[4]들이 조성되는 중이다. 즉 부산 권역 내에 마지막으로 남은 대규모 개발이 가능한 곳이다. 다만 연약지반 특성상 마천루 보다는 저층 빌딩 위주로 건설될 것이다. 이 지반 문제는 생각보다 커서 당장 남해고속도로의 김해구간은 대대적인 보수를 하기 전에는 연약지반 문제로 도로 노면의 요철이 심했고, 삼성자동차는 부산녹산공장을 세울 때 연약지반 문제로 설비비가 과도하게 들어가 회사가 휘청거렸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대저 토마토, 명지 대파같은 특산물들이 많이 나오는 매우 비옥한 땅이기도 해 개발에 대한 우려 또한 존재한다. 명지 대파 재배지는 원래 매우 넓게 깔려 있었으나 지금은 옛말이 되었다.
3. 환경
한 때 국내 최대의 철새 도래지였다. 비록 개발로 자연환경이 상당히 훼손됐지만 아직도 그 위상은 남아 있다. 그래서 환경 관련해서 민감한 지역이기도 하다. 을숙도 개발과 낙동강하굿둑 건설부터 반발이 심했으며 물류센터 조성 계획이 발표되자 환경단체에서 반발하였다. 대저대교 건설도 환경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반대했다. 을숙도대교가 무지개같이 휘어져 건설된 이유도 환경 때문이다.[5] 때문에 부산신항도 환경 보전을 위해 낙동강 하구 근처가 아닌 가덕도에 건설했다.이곳의 인문환경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강서구 문서 참고.
[1] 사실 완전히 부산광역시 관할인 것은 아니다. 김해시 대동면과 대다수 칠산서부동을 포함한다.[2] 이정도면 지하 65m인 만덕역 보다도 더 깊다.[3] 만약 수영공항이 유지되고 김해국제공항이 건설되지 않았다면 부산 시가지가 김해평야로 확장됐을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다.[4]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에코델타시티 등[5] 을숙도대교 건설 당시 전국의 수많은 환경단체들이 대교 건설을 저지하기 위해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그곳에 모였다고 하며, 선언문을 낭독하고 공사 가처분 소송전을 벌일 정도로 격렬히 반발했다. 출처는 "을숙도, 거대한 상실." 다만 출처가 원효터널을 반대한 지율을 옹호한 만큼 과장되거나 미화된 면이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