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8:49:56

을숙도대교

낙동강의 교량 (부산 · 경남)
[ 대구 · 경북 ]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7px"
율지교 - 합천창녕보 - 적포 - 박진 - 남지 - 남지대교 - 창녕낙동강 - 낙동대교창녕 - 창녕함안보 - 본포교 - 수산교 - 수산대교 - 낙동강철교 - 낙동인도교(구 삼랑진교) - 삼랑진 - 낙동대교삼랑진 - 낙동대교양산 - 양산낙동강 - 낙동강대교부산 - 대동화명대교 - 구포낙동강 - 파일:Busan3.svg구포철교 - 구포대교 - 강서낙동강 - 낙동강횡단수관교 - 대저대교 - 파일:BGL_logo.svg감전철교 - 사상대교 - 서부산낙동강 - 엄궁대교 - 낙동강하구둑 - 을숙도대교
상류 → 하류 방향
}}}}}}
남강 | 덕천강 | 밀양강 | 양산천 | 태화강 | 수영강 | 온천천 | 동천(부산) | 해안순환도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해안순환도로의 교량
거가대교 - 가덕대교 - 신호대교 - 을숙도대교 - 남항대교 - 부산항대교 - 광안대교
서쪽→동쪽 방향


乙淑島大橋 / Eulsukdo Bridge
홈페이지

1. 개요2. 건설배경3. 요금4. 특징5. 효과6. 대중교통

[clearfix]
파일:/image/082/2009/12/29/20091229000101_0.jpg[1]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사하구 신평동을 잇는 길이 1,941m, 높이 40m의 교량. 외부순환도로의 한 구간이다. 2005년 1월 31일에 착공해, 2009년 10월 29일에 개통됐다. 다리 중간에 을숙도를 지나며 다리 이름 역시 여기서 따왔다.[2] 전 구간 을숙도대로에 속해 있다.

명지도에 있는 명지 요금소에서 통행료를 내야 하는 유료 교량이다.[3] 부산시의 낙동강을 횡단하는 교량 중에서는 유일하게 민간자본으로 건설된 교량이다.

여기서부터 부산광역시도 도시고속도로 중 하나인 강변대로가 시작된다. 반대편은 명지신도시로 이어지며 계속 직진할 경우에 신호대교를 건너서 르노삼성대로를 통해 창원시거제시로 갈 수 있다.

2. 건설배경

우선 부산항의 물동량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서부산 방면의 물동량을 처리하려면 남포동, 괴정동, 하단동 등의 시가지를 지나야 하는데 부산 시내의 도로상황이 좋지 않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부순환로를 구상, 을숙도대교도 그 구간 중 하나였다.

하지만 굳이 순환도로가 아니더라도 이미 낙동강하구둑교통 체증이 극에 달하였고 명지오션시티가 개발되었고 명지국제신도시가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감에 따라 추가적인 교량 건설이 시급했었다. 바로 옆의 낙동강하구둑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헬게이트가 열리기 때문에 추가 교량 건설이 시급하였던 게 대표적인 이유이다.

3. 요금

차종출퇴근 시간[4]출퇴근 외 시간
경차 500원 700원
소형 1,000원 1,400원
중형, 대형 요금은 하이패스 사용여부에 따라 다르며 링크[5]

4. 특징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교량이 직선 형태가 아니라 안쪽의 생태공원쪽으로 휘어진 곡선형태이다. 본래는 여느 교량처럼 직선으로 건설하려했으나 한때 동양 최대의 철새도래지였던 을숙도를 관통하는 교량이었기에 건설 당시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컸다. 한때 해저터널 형태까지 검토했으나 워낙 연약지반이었기에 공사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기 때문에 결국 없던 일이 되었다.[6] 그 결과 철새보호지를 우회하는 방향으로 설계가 변경되어 곡선 교량이 되었다. 부산광역시 해상 교량 구간 중 한 곳이 되었다.

5. 효과

이 다리의 개통으로 인하여 사하구 신평동이나 다대포 등지에서 강서구 명지동(명지오션시티)나 신호산업단지, 녹산공단으로의 이동시간이 훨씬 단축되었다. 반대로 강서구에서도 도심 방향으로의 진입이 한층 더 원활해졌으며[7] 낙동강하구둑의 교통혼잡을 어느 정도 분산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을숙도대교가 민간자본으로 건설되어 요금을 받아서 요금을 내기 싫은 운전자들이 기피하게 되고 차들이 하구둑으로 몰려 늘 변함없이 차들로 꽉꽉 막힌다. 출퇴근 시엔 천원이지만 비출퇴근 시엔 승용차 기준 1400원 이라는 점이 크다. 요금 문제는 언론사나 정치권에서 빈번히 언급 될 정도로 비싸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덕분에, 낙동강을 횡단해서 부산 시내로 진입하는 교량 중에서는 가장 쾌적한 편이다.

을숙도대교 기피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장평지하차도 공사로 인한 을숙도대교 동쪽 진입구간의 정체 및 노면 불량도 한몫 했었으며, 이는 2023년 2월 20일 장평지하차도 개통으로 해결되었다.

남포동, 감천동 일대 출퇴근 그럭저럭 수요가 있는 편이다. 해운대 방면으로는 공항로 - 동서고가로 - 황령터널 - 광안대교가 시간이 비슷하게 걸린다. 다르게 말하면 공항로에서 해운대까지의 거리가 더 가까운데도 시간이 비슷하게 걸린다는 의미다. 실제로도 남부순환도로보다 동서고가로의 정체가 더 심하다.

6. 대중교통

2015년 11월 28일 신설된 1011번 시내버스가 유일하게 을숙도대교를 지난다. 예전에는 520번, 강서21번 버스도 지나갔으나 자동차전용도로 시내버스 입석금지 정책에 따라 2014년 7월 26일 낙동강하굿둑 경유로 변경되면서 더 이상 다니지 않는다. 하구둑을 건너면 있는 하단역 주변이 버스 환승센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을숙도대교를 건너는 노선이 생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 1011번이 부산의 동서를 잇는다는 특징(정책 노선)이 있는데다 강서구에서 이 버스를 탄 승객들은 최소 영도구, 멀리는 해운대까지 가는 장거리 수요라는 점으로 인해 매우 특이한 케이스다. 시내버스의 경우에는 승객 수요를 절대로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8]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출발하여 거제도, 통영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이 다리를 지난다. 다만 통영 방면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차량만 해당된다.[9]

[1] 개통 직후 사진으로, 오션시티를 제외한 현 국제신도시 부지가 하신, 중신, 상신, 해척, 평성, 조동마을 등 자연부락이 있던 시절이다.[2] 공사명과 개통 직전까지 명지대교로 불렸으며 과거 계획은 을숙도 철새도래지의 환경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을숙도를 회피하는 노선이였으나, 명지오션시티 매립지가 IMF로 인해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을숙도를 정확히 관통해버리는 문제로 을숙도대교로 최종 개통되었다.[3] 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 차량은 요금소 진입시 우측에 있는 면제차로로 들어가서 해당 증서를 보여주면 요금이 면제된다.[4] 06:30~09:00, 18:00~20:00[5] 정확히는 출퇴근 시간에 한해 하이패스 사용 차량만 할인 해주는 것이다.[6] 인근 경전선 하저터널 구간을 보면 답이 나온다. 계속되는 침수와 붕괴사고로 터널 전면 재시공이 불가피한 상황이다.[7] 을숙도대교~신평~구평동~감천~송도~부산역~서면 루트.[8] 사실 산성터널처럼 본도로를 표면적으로 일반도로로 격하하고 오토바이, 초소형전기차 등을 금지시키거나 구덕터널처럼 오토바이까지는 통행을 허용하되 자전거와 보행자 통행을 금지하면 해결 될 문제이긴 하다.[9]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통영으로 가는 버스들은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마창대교 ~ 고성으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