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5:05:42

서부산낙동강교


낙동강의 교량 (부산 · 경남)
[ 대구 · 경북 ]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7px"
율지교 - 합천창녕보 - 적포 - 박진 - 남지 - 남지대교 - 창녕낙동강 - 낙동대교창녕 - 창녕함안보 - 본포교 - 수산교 - 수산대교 - 낙동강철교 - 낙동인도교(구 삼랑진교) - 삼랑진 - 낙동대교삼랑진 - 낙동대교양산 - 양산낙동강 - 낙동강대교부산 - 대동화명대교 - 구포낙동강 - 파일:Busan3.svg구포철교 - 구포대교 - 강서낙동강 - 낙동강횡단수관교 - 대저대교 - 파일:BGL_logo.svg감전철교 - 사상대교 - 서부산낙동강 - 엄궁대교 - 낙동강하구둑 - 을숙도대교
상류 → 하류 방향
}}}}}}
남강 | 덕천강 | 밀양강 | 양산천 | 태화강 | 수영강 | 온천천 | 동천(부산) | 해안순환도로


西釜山洛東江橋 / Seobusannakdongganggyo(Way Bridge)

파일:/20140618_293/sblee0923_1403094020923h2dSa_PNG/20140618_211506.png
파일:attachment/서부산낙동강교/SasangIC.jpg
사상IC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안내표지판.

1. 개요2. 특징3. 역사4. 효과5. 경유 노선
5.1. 시외버스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사상구 감전동을 잇는 연장 1,765m, 너비 22m, 제한속도 80km/h의 낙동강교량.[1]

초기 명칭은 낙동대교였다가 왕복 8차선으로 확장되면서 지금 이름으로 개명했다. 그래서 아직도 옛날 명칭인 낙동대교로 부르는 사람이 많고, 부산 시내에서도 여전히 낙동대교라고 써놓은 표지판을 찾아볼 수 있다.

2. 특징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의 일부, 즉 고속도로이지만 이 교량은 통행료를 징수하지 않으며 하류 쪽 펜스 밖에 인도가 설치되어 있어 엄연히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는 고속도로임에도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교량이다.[2] 확장 이전 기록까지 포함하면 고속도로 구간이나 중앙분리대가 없는 구간인 점[3], 가변차로가 운영된 점도 특이한 사항. 하구언과 서부산낙동강교가 만들어지기 전, 이 곳을 넘는 방법은 나룻배, 지금은 없어진 구포교 또는 남해고속도로를 지나는것이 유일했다.

서울 올림픽대로노량대교가 놓이기 전까지는 전국에서 가장 긴 4차로의 다리였다.

3. 역사

1978년 5월 22일에 착공하여 1981년 9월 4일에 개통되었다.

상부구조는 국내 최초의 강상판(鋼床板) 강 박스거더의 형식이고, 길이 84.6m의 3경간 연속교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주행이 쾌적하고 시공이 쉬우며 공사기간 단축이나 공사비 절감이라는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진 구조이다.

강상판은 장대경간 도로교에서 많이 채택되는 형식으로서 철근콘크리트 상판에 비해 자중(自重)이 뚜렷이 적어 경제적이다. 상부하중과 지질조사결과를 근거로 하여 계획된 하부기초는 강관파일기초로, 교대 및 교각은 철근콘크리트 반중력식(半重力式)으로 결정하였다.

2009년 7월 27일부터 2012년 말까지 가변차로가 시행된 전적이 있었다. 구간은 서부산TG~감전IC. 06:00~08:00까지 부산방면 1개차로, 냉정방면 3차로로 운영되었다. 시간조정을 두번이나 거쳤는데, 시범운용 기간에는 06:30~7:30이였다가 06:00시작으로 바뀌고, 나중에는 08:00까지 운영되도록 바뀌었다. 가변차로는 신설교량 임시통행기간부터 폐지되었다.

2014년 4월 28일에 왕복 8차로로 확장 개통하였다. 기존 교량은 사상방향 전용 4차로로 전환하고 냉정방향 전용 4차로 교량을 북쪽에 신축하여 올린 것. 그런데 확장 이후에 정체가 더 심해졌다.[4] 다만 확장 이전에는 심심하면 장유부터 막히던 도로가 확장 이후에는 서부산IC 이후로 막히는 정도가 되었다.[5] 확장 이전엔 2차선에서 감전램프 방면 차선이 별도로 생기고, 현재는 양 두차선씩 나뉜다.

과거에는 부산에서 가장 일찍 정체가 시작되고 가장 오래 지속되는 구간으로 악명이 높았다. 출근 시간대에는 냉정 방향으로의 정체가 심각했으며 이게 정오 즈음까지 지속되었고, 퇴근 시간대에는 사상 방향으로 심각했다.

2018년 10월 말부터 2020년 6월까지 1개차로씩 순차적으로 막으며 보수공사를 실시하는 중이다. # 보수공사는 부산 방향에만 적용된다. 냉정 방향으로는 확장하면서 신축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동서고가로 합류후 다리가 갈라지는 구간 전까지는 옛날도로의 일부이기 때문에 여기도 보수공사중이나 이쪽으로는 차선 여유가 있어서 과속시 사고 위험을 제외하면 큰 불편은 없다.

4. 효과

이 다리의 완공으로 부산의 중심지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의 거리가 약 15㎞, 주행시간이 약 20여분 단축되었고 부산광역시 상수도관 매설과 전선 설치 등에 관하여 관련기관과 종합적인 계획을 세우고 유기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국가예산 절감에도 한몫을 담당하였다.

특히, 이 다리는 국내 기술진에 의하여 최초로 시도된 3경간 연속교이나, 강상판 포장에 대하여는 경험 및 기술부족으로 많은 애로점이 있었다. 근대화 이후 비약적인 경제발달을 거듭한 우리나라에 있어서, 이제는 적은 투자로 최대의 효과만을 찾는 시기를 지나 좀 더 새롭고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구조물을 건설하려는 의지가 점차 높아가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부산∼마산간 4차선 고속도로의 부산측 시점에 건설된 서부산낙동강교는 교량형식 및 기초공법 결정에 있어서의 상당한 제한을 극복하면서 도로 전체의 선형과 조화를 이루고 유지관리가 쉽도록 세심한 주의가 기울여졌다.

5. 경유 노선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고속도로 구간을 통과하는 1005번, 2029번 이 바로 이 다리를 거친다.

5.1. 시외버스


[1] 부산방향은 평시에도 이속도로를 못내긴 하지만고속도로 종점이 코앞이기에 이해가 되는 제한속도이나 냉정방향으로도 제한속도가 80이며 서부산IC 공항방면 출구직전에 이동식 단속카메라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과거 서부산TG 및 중앙분리대도 없었던 시기의 잔재라 볼 수 있다. 옛 서부산TG를 기점으로 중앙분리대가 생겼으며 다리를 건너는 순간 일단 차의 속도를 줄였어야 했으니.[2] 강서구에서 부산 시내로 들어오는 구 교량의 양쪽에 인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상류 쪽은 교량 확장 공사 이후 사상구 방향에서는 삼락체육공원 쪽으로 진출 가능한 경사로를 개설하였다. 하류 방향에는 인도를 개량하고 진출입로를 확장시켜서 동서 방향 모두 낙동강 강둑에서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자전거, 오토바이의 접근성을 더욱 향상시켰다.[3] 부산방면 서부산낙동교는 2, 3차선 사이에 실선이 쳐져있는 이유가 이때의 잔재이였는데, 전면 보수공사 이후 차선의 위치를 완전히 수정해 과거 로드뷰를 참조하지 않는 이상 이제는 볼 수 없다.[4] 그도 당연할 것이 서부산낙동강교 구간만 확장하여서 그렇다. 동서지옥은 왕복 4차로 구간이기 때문에 도로가 급격히 좁아지는 병목 현상이 필연적이다.[5] 동서고가로교통 체증이 엄청난 지라 확장해봤자 별 의미가 없다.[6] 시외버스 부산서부-고현, 시외버스 진해-부산서부 같이 하단 쪽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제외.